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밀리터리당 ·굴러간당 ·아이포니앙 ·MaClien ·주식한당 ·방탄소년당 ·자전거당 ·밀리터리당 ·일본산당 ·나스당 ·바다건너당 ·가상화폐당 ·소셜게임한당 ·개발한당 ·노젓는당 ·안드로메당 ·땀흘린당 ·콘솔한당 ·걸그룹당 ·키보드당 ·골프당 ·날아간당 ·클다방 ·꼬들한당 ·PC튜닝한당 ·냐옹이당 ·와인마신당 ·스팀한당 ·테니스친당 ·덕질한당 ·VR당 ·KARA당 ·소시당 ·육아당 ·사과시계당 ·레고당 ·IoT당 ·맛있겠당 ·야구당 ·축구당 ·디아블로당 ·방송한당 ·이륜차당 ·패스오브엑자일당 ·리눅서당 ·임시소모임 ·그림그린당 ·시계찬당 ·라즈베리파이당 ·퐁당퐁당 ·LOLien ·심는당 ·전기자전거당 ·찰칵찍당 ·소리당 ·스타한당 ·영화본당 ·블록체인당 ·젬워한당 ·활자중독당 ·미드당 ·WOW당 ·캠핑간당 ·포뮬러당 ·뚝딱뚝당 ·e북본당 ·윈폰이당 ·개판이당 ·패셔니앙 ·터치패드당 ·문명하셨당 ·노키앙 ·WebOs당 ·빨콩이당 ·DANGER당 ·여행을떠난당 ·총쏜당 ·대구당 ·갖고다닌당 ·안경쓴당 ·가죽당 ·물고기당 ·3D메이킹 ·X세대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블랙베리당 ·곰돌이당 ·뽀록이당(당구) ·보드게임당 ·볼링친당 ·클래시앙 ·요리한당 ·쿠키런당 ·동숲한당 ·날아올랑 ·이브한당 ·도시어부당 ·FM한당 ·차턴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인스타한당 ·어학당 ·Mabinogien ·땅판당 ·헌팅한당 ·오른당 ·MTG한당 ·적는당 ·소풍간당 ·품앱이당 ·리듬탄당 ·Sea마당 ·SimSim하당 ·심야식당 ·윈태블릿당 ·미끄러진당 ·나혼자산당 ·파도탄당 ·테스트당 ·공대시계당 ·트윗당 ·창업한당
© CLIEN.NET
공지오늘 밤 10시부터 약 40분간 서버 작업이 진행됩니다. 더보기
l

팁과강좌

PC/모바일 화웨이 모바일 LTE 라우터 E5885의 펌웨어 교체하기 3편 - 펌웨어 올리기 32

11
따끈따끈
14,045
2019-10-16 02:33:02 수정일 : 2020-07-21 15:43:15 203.♡.145.172

** 2020-07-21 추가 - 더 좋은 방법을 찾았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4582022CLIEN




시작하기에 앞서 몇 가지 적어봅니다.


** 주의사항

- 이 글은 중국어만 지원하는 중국 내수용 화웨이 모바일 LTE 라우터 E5885Ls-93a에 해외용 펌웨어를 강제로 덮어씌워 한국어 혹은 영어가 나오도록 만드는 방법을 담고 있습니다.

- 제품을 분해하는 과정이 있으며, 이 때 제품 라벨 스티커가 파손되므로 제품보증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분해가 생각보다는 그리 쉽지 않으므로 전자기기 분해/조립에 지식이 없는 분은 가급적 시도하지 마세요.

- 펌웨어 강제로 덮어씌우기는 E5885를 10만원짜리 벽돌로 변신시킬 수 있는 위험한 작업입니다. 저는 제 삽질기를 공유할 뿐이므로, 발생하는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 중국어가 정말로 불편해서 못 쓰겠거나 혹은 모험심이 불타는 분 외에는 시도하지 마세요. KT에서 한국에 정식 발매한 글로벌 원 에그(HW-E5885)나, 영문으로 나오는 제품을 가지고 계신 분도 대상이 아닙니다.



** 이 글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참고한 곳

https://4pda.ru/forum/index.php?showtopic=842340

https://blog.minori.moe/?cat=17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2571201CLIEN



** 구성

1편. S/W 준비 : MS 윈도우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설치하고 여기에 리눅스를 올린 뒤 펌웨어 도구를 준비하기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4154381CLIEN

2편. H/W 준비 : 도구를 이용하여 E5885의 배를 따기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4155260CLIEN

3편. 펌웨어 올리기

  - [H/W] E5885의 특정 단자를 합선시켜 마음(?)의 문을 열도록 조교(?)한 뒤

  - [S/W] E5885에 강제로 펌웨어를 주입시켜 세뇌(?)하고, 잘 됐는지 검증하기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4167412CLIEN



** 예상 난이도

리눅스 준비 : 초급 (윈도우만 쓸 줄 알면 따라할 수 있는 레벨)

E5885 분해 : 초-중급 (카드 또는 헤라를 써서 앞뚜껑을 여는 부분이 미경험자에게는 좀 어려울 수 있으며 파손 위험이 있음)



** 준비물 (S/W → 1편에서 다루었습니다.)

1. MS Windows7, 8.x, 10가 설치된 PC의 경우

  - VMWare Workstation Player - 2019년 10월 13일 현재 v15.5.0

https://www.vmware.com/kr/products/workstation-player/workstation-player-evaluation.html

  - Ubuntu Desktop 18.04 LTS 설치파일 (ISO)

https://ubuntu.com/#download


2. 리눅스가 설치된 PC 혹은 mac의 경우

  - Ubuntu Desktop 18.04 LTE 기준으로 작성됐으므로, 사용하는 OS 방식에 맞춰서 진행하거나 다른 방법을 강구하세요. 제 경우 mac을 쓰며 mac의 shell을 더럽히기 싫어서 VMWare Fusion에 Ubuntu를 설치해 작업했습니다. (이 글은 윈도우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 집 윈도우 컴퓨터에서 처음부터 다시 설치를 진행하면서 쓴거라능...)



** 준비물 (H/W → 2편에서 다루었습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0-1.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0-1.JPG</a></span>

- 최소한 T5 6각별 드라이버와 사용하지 않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이 필요합니다. 플라스틱 카드는 앞면 케이스를 강제로 벌려서 여는 역할을 하므로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니 쓰지 않는 카드를 사용하세요. E5885는 당연히 있어야 되겠지요.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0-2.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0-2.JPG</a></span>

- 플라스틱 헤라와 금속핀셋, 칼이 있으면 작업이 더욱 수월해집니다. 헤라는 플라스틱 카드의 역할을 대신합니다.




================================================================================

                                                               3.1 본격적으로 펌웨어 강제로 올리기

================================================================================


시작하기에 앞서 E5885의 전원을 끄세요.

여기부터는 얘가 깨어났을 때 특정 핀의 상황에 따라 얘가 정상 모드로 부팅할지, 부트 모드(마음이 강제로 열린, 조교받을 준비가 된 상태)로 부팅할지가 결정됩니다.


1. 부트 모드로 이끌어주는 핀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1.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1.JPG</a></spa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2.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2.jpg</a></span>

사진에서 빨간색 원에 있는 구리색 단자가 바로 이 녀석의 마음의 문을 강제로 열기 위한 열쇠구멍입니다.

저 단자를 그라운드(쉽게 말하면 음극)에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이 녀석은 그 어떤 펌웨어도 달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이상(?)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그라운드는 어디에 있느냐?

다행히 파란색 원 부분, 즉 USIM을 고정하는 철판이 그라운드에 연결돼 있습니다.

즉, USIM 고정 철판과 빨간색 원 안의 단자를 쇠붙이로 연결한 뒤 전원을 넣으면 됩니다.


아직 전원은 켜지 말고, USB 케이블을 PC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이 녀석에게만 연결해 둡시다.

제 경우 이렇게 했습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JPG</a></span>

드라이버도 쇠붙이라 전기가 아주 잘 통하거든요.

금속 핀셋이 있으면 더 쉽게 가능합니다.

이 때 다른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릅니다. (화웨이 개발자는 알 지도?)




2. 부트 모드로 켜기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구멍에 그라운드를 쑤셔넣은 상태에서 전원을 넣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본체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서?

아닙니다.

E5885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PC에 USB를 꽂으면 지가 알아서 켜집니다.

(단, 부트 모드로 켜지면 전면 LCD에는 아무것도 안 나옵니다.)

이 때 PC에는 아까 설치한 우분투 가상머신이 돌아가고 있어야 합니다.

USB를 꽂은지 몇 초 안 지나서 이런 창이 뜰겁니다.




(Windows 10의 경우)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3.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3.png</a></span>



※ 이 창이 나오면 아래 [3. 윈도우의 레지스트리 수정하기] 로 가세요!!

※ 이 창이 안 나오면 아래 [4.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 E5885를 연결하기] 로 가세요!!

쫄지 마세요.

우리 멍청(?)한 윈도우는 화웨이 라우터의 오픈 마인드 모드를 알 턱이 없습니다.

저건 드라이버가 없다고 징징대는 겁니다.

그보다도 가상머신에서 쏘는 창에 주목하세요.


아, 참고로 USB를 꽂고 약 5~10초 정도까지만 단자를 그라운드에 연결해주면 됩니다.

그 이후에는 이미 부팅이 되었기 때문에 떼도 무관합니다.

메인보드를 뒤집어서 LCD를 봐도 아무것도 표시 안 됩니다. 정상입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4.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4.png</a></span>

어이쿠, 제 디바이스의 일부가 나오고 있네요.

하지만 정작 화웨이 라우터는 안 보입니다.

mac에선 안 그랬는데... 흠... 역시 윈도우가 멍청한가봅니다.


저 말은 새 장치가 꽂힌게 확인됐는데, 그거 가상머신으로 끌어올 수 있어! 라고 알려주는겁니다.

더 쉽게 말하자면 "너가 방금 꽂은 그 녀석, 가상머신 안의 리눅스에 꽂은 것처럼 가로챌 수 있어."



펌웨어를 강제로 쑤셔넣기 위해 리눅스를 깔았으니, 이 녀석을 리눅스에 붙여줍시다.

저 창은 [OK] 눌러서 닫고, 가상머신 우상단의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려서 이름을 하나하나 확인해봅시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5.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5.png</a></span>

그 와중에 Huawei Unknown USB Device 어쩌구 하는, 나는 E5885라고 주장하는 녀석을 찾습니다.

그리고 우클릭 해보세요.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6.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6.png</a></span>

이거 당연히 Connect 눌러야 하는거 직감하시죠?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7.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7.png</a></span>

가상머신이 경고합니다.

"너가 하려는 짓은, 예를 들어 컴퓨터에 쓰고 있는 USB 장치를 갑자기 확 뽑아서 다른데 꽂는 것과 똑같은 짓이야. 잘못하면 데이터 날아갈 수 있거든? 괜찮겠어?"

USB 메모리도 아니고, 그냥 [OK] 눌러줍시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8.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8.png</a></span>

(제 컴퓨터에서는 이 시점에 이 창이 나왔지만, 시스템에 따라서는 E5885 꽂았을 시점에 나올 수도 있습니다. 사실 그게 정상입니다.)

와... 뒷북 5G네요.

가상머신이 "너 지금 Huawei... 막 꽂은거 확인했거든? 이거 가상머신으로 끌어올 수 있어!"라고 당당히 말하는 이 똥멍충이 보소...

니 가로채기 기능 이용해서 E5885를 윈도우 컴퓨터에서 가상으로 뽑은 뒤 니 리눅스에 가상으로 꼽았거든?


아무튼 정상적으로 E5885가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 연결되겠거니 싶었는데...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9.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9.png</a></span>

!!!!!!!!!!!!!!!!!!!!!!!!!!!!!!!!!!!!!!!!!!!!?

윈10이 지가 뭔지도 모르는 주제에 다시 빼앗아가네요?


여기에서 막혀서 약 2일의 시간이 그냥 흘러갔습니다.

그리고 결국 이유를 알아내어 해결하는 방법을 만들었습니다.




3. 윈도우의 레지스트리 수정하기


일단 E5885의 USB를 뽑으세요. (USB 뽑아도 E5885는 계속 부트 모드 상태로 살아있습니다.)

그리고 윈도우에서 아래 링크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시고요.

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19-10-13/huawei-e5885-reg.zip


압축 풀면 레지스트리 파일(huawei-e5885_skip-usb-bos-descriptor-request.reg) 하나가 튀어나옵니다.

더블클릭 해서 실행하세요.


레지스트리를 만지는 건 위험한 작업이므로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0.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0.png</a></span>

이거 제가 만든겁니다. (내용 까보면 별거 없어요...)

절 못 믿으시면 [아니오]를 누르신 뒤 브라우저의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서 펌웨어 강제 덮어쓰기를 포기하시고,

믿으시면 [예]를 누르시고 이 글을 계속 진행하세요.


설치가 끝났으면 혹시 모르니 시스템을 재시작해 주세요.

재시작 후 VMware Workstation Player를 실행하면 아까 설치한 우분투 화면이 안 나오고 다음과 같이 나올겁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1.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1.png</a></span>

[Ubuntu 64-bit] (혹은 리눅스 설치시에 정한 임의의 이름)을 더블클릭 하면 아까 그 화면으로 되돌아옵니다.




4.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 E5885를 연결하기


화면이 돌아왔으면 컴퓨터에 E5885 USB를 꽂으세요.

(이미 부트 모드로 켜져있으므로 핀을 합선시켜줄 필요가 없습니다.)


아까와는 달리 요런 녀석이 안 나올겁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2.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2.png</a></span>




한 10초~1분정도 기다리세요.

그러면 이런 창이 나올겁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3.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3.png</a></span>




여기까지 왔으면 거의 끝입니다.

이제 이 녀석에게 마우스를 올려서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4.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4.png</a></span>




우클릭 → [Connect (Disconnect from host)] 를 클릭하세요.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5.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5.png</a></span>




여기서 [OK] 누르세요.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6.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6.png</a></span>




자 여기까지 왔으면 가상머신 안의 리눅스에 E5885가 연결되었습니다.

즉, 이 리눅스에 E5885 USB를 직접 꽂은 셈입니다.



리눅스 상에서 E5885가 보이는지 확인해봅시다.


$ ls /dev/* | grep ttyUSB

| 는 [shift] + [₩(영문키보드면 \)]를 누르면 나옵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7.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7.png</a></span>




화면처럼 /dev/ttyUSB0 가 나오면 99% 성공입니다.

만약 안 나오면 핀 합선이 제대로 안 되어서 부트 모드가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는 /dev/ttyUSB0 가 안 나올 경우에만 진행하세요!!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서 장치를 분리한 다음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8.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8.png</a></span>

(이 작업 안 하고 USB 뽑으면 드라이버 문제가 생겨서 좀 귀찮아져요. 컴퓨터 재부팅 해야 함.)


E5885의 전원버튼을 기~일게 눌러서 (약 10~20초) E5885가 정상 부팅되는걸 LCD로 확인하고 다시 전원을 끈 뒤 [2. 부트모드로 켜기]부터 다시 진행하세요.




5. E5885에 펌웨어 로더(safe usbloader) 올리기


마음이 열린 E5885에게 목마(balong-usbdload)를 이용하여 머리를 말랑말랑하게 조교해줄 여왕님을 주입합니다.


$ sudo ./balong-usbdload/balong-usbdload -p /dev/ttyUSB0 -c e5885_usblsafe.bi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9.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19.png</a></span>




펌웨어 로더가 정상적으로 올라가면 E5885가 재부팅되면서 LCD에 화살표가 나옵니다.

이러면 머리가 말랑말랑해져서 새 펌웨어를 받아들일 준비가 완료된 겁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0.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0.jpg</a></span>




** 문제 발생시 대처방법


다음처럼 에러가 났을 경우 (꼭 이렇게 나지 않고 숫자가 100%까지 안 올라가고 중간에 멈춘 경우도 해당)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1.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1.png</a></spa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2.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2.png</a></spa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3.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3.png</a></spa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4.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4.png</a></span>




쫄지 말고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서 장치를 분리한 다음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5.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5.png</a></span>

(이 작업 안 하고 USB 뽑으면 드라이버 문제가 생겨서 좀 귀찮아져요. 컴퓨터 재부팅 해야 함.)


E5885의 전원버튼을 기~일게 눌러서 (약 10~20초) E5885가 정상 부팅되는걸 LCD로 확인하고 다시 전원을 끈 뒤 [2. 부트 모드로 켜기]부터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6. 펌웨어를 강제로 플래싱하기


자, 이제 남은건 세뇌시키기(펌웨어 올리기)뿐입니다.

세뇌를 시작하기 전에 현재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 ls /dev/* | grep ttyUSB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6.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6.png</a></span>




아깐 ttyUSB0만 있었지만, 새로 ttyUSB1이 생겼습니다.

새로 생긴 ttyUSB1 에게 양초+채찍(balong_flash)으로 세뇌자료를 흘려보내주면 끝입니다.

단, 얘는 퍼센트가 올라가다가 멈짓멈짓 합니다. 몇 초 기다리면 다시 올라가니 쫄지 마세요.


$ sudo ./balongflash/balong_flash -p /dev/ttyUSB1 ./E5885Ls-93a_UPDATE_21.182.63.00.148_WEBUI_21.100.37.00.148_NE5.ZIP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7.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7.png</a></span>




Перезагрузка модема... 은 E5885를 재부팅한다는 뜻입니다.

제가 맥의 가상머신에서 할 땐 *** stack smashing detected ***: <unknown> terminated 오류를 못 봤는데, 윈도우에서는 나오네요.

하지만 정상적으로 펌웨어가 다 구워지고 재부팅 신호까지 보냈으니 별 문제 없더군요.



현 시점에서 E5885는 LCD에 HUAWEI 로고를 띄운 채 얼어있을겁니다.

정상상태입니다. 갑자기 세뇌당하고 얼빠져 있는 거거든요.

USB 케이블을 제거하고 1분정도 스스로 세뇌당한 머리를 정리할 시간을 준 뒤, 전원버튼을 10~20초 정도 로고가 꺼질때까지 길게 눌러서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을 켜면 끝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이제 조립만 남았군요.

조립은 분해의 역순입니다.




** 펌웨어 업로드하다가 문제 발생시 대처방법


아까와 마찬가지로 쫄지 말고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서 장치를 분리한 다음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8.pn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1-28.png</a></span>

(이 작업 안 하고 USB 뽑으면 드라이버 문제가 생겨서 좀 귀찮아져요. 컴퓨터 재부팅 해야 함.)


E5885의 전원버튼을 기~일게 눌러서 (약 10~20초) E5885가 정상 부팅되는걸 LCD로 확인하고 다시 전원을 끈 뒤 [2. 부트 모드로 켜기]부터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

                                                                               3.2 작성 후기

================================================================================


와... 윈도우 10 1903에서 하나하나 재현해 가면서 작성하는데, 중간에 드라이버 문제 때문에 막혀서 진땀 흘렸네요.

E5885에 대한 굇수들의 관심이 멀어져서인지 아무도 해결법을 안 내놨더군요.

생각보다 방법은 쉬웠지만 결국 제가 레지스트리 수정 파일을 직접 만들어야 했습니다.


여튼, 아무도 성공 못한 최신버전 윈10에서 펌웨어 올리기에 성공해서 기쁘네요.

모두들 별 탈없이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덧. 전 더 이상 E5885을 뜯기 싫어서 해당 핀에 삐삐선을 납땜해서 붙여버렸습니다. ㅎㅎ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1.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1.JPG</a></span>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2.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2.JPG</a></span>

이렇게 안 뜯고 부트 모드로 켤 수 있습니다.




<span class='outlink'><a class='url' href='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3.JPG'target='_blank'>http://www.xain.pe.kr/zonx/image/clien/2020-02-07/3-2-3.JPG</a></span>

평소에는 이렇게 넣고 다닙니다. (microSD도 잘 들어갑니다. 쓸 일 없어서 지금은 뽑아놨지만요.)




* 2020-02-08 : 이미지 깨짐 수정 (외부링크로 돌림)

따끈따끈님의 게시글 댓글
SIGNATURE
나는 어디? 여긴 누구?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11명
댓글 • [32]
을 클릭하면 간단한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메모동기화
Oh호라
LINK
#106448815
IP 175.♡.154.92
19-10-16 2019-10-16 02:37:26 / 수정일: 2019-10-16 02:38:18
·
용자 십니다.~~!!
직접 하면 100퍼.. 날려 먹을게 예상이 되네요..
혹시.. 소정의 비용 드리면.. 업글 해주실 의향도 있으신가요?

재작년 타오바오에서 직구로 구매해서 이래저래 출장가서 잘 써먹기는 하는데..
중국어로 나와서 좀 불편하기는 하네요.. ㅠㅠ
푸른광야
LINK
#106448906
IP 217.♡.166.251
19-10-16 2019-10-16 02:53:24
·
한 번 해보시면 생각만큼 어렵지는 않습니다.
헤라 등 몇 가지 도구와 몇 번의 소소한(?) 실패를 경험하시면 금새 기기 분해와 친숙해지게 될 겁니다.
그 사이에 몇 개의 기기가 맛이 갈 수는 있습니다만 그 정도야 문제를 해결한 뒤의 기쁨에 비하면 지불할 만한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따끈따끈
LINK
#106457922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30:51
·
좀 불편하다 ← 그냥 쓰시는 편이 좋을거 같아요.
전 간체자 읽지도 못하고 시각적으로 극혐이라 어찌저찌하다가 여기까지 왔거든요.
(번체자가 나왔으면 이 짓 시작도 안했을 듯...)
푸른광야
LINK
#106448893
IP 217.♡.166.251
19-10-16 2019-10-16 02:50:21
·
드디어 윈10에서 문제점을 찾아내셨군요. 와우~
수고하셨습니다. 저는 우분투 라이브로 해결했지만 님의 강좌가 아니었다면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따끈따끈
LINK
#106457844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29:05
·
이게 참... 정확힌 윈도우 8부터 생긴 문제더군요.
레지스트리까지 만지게 될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습니다.

3번째 글 없이도 성공하셔서 다행이네요. 사실 우분투 라이브 같은 네이티브 리눅스로 하는게 제일 쉽긴 하죠.
그걸 못 만드는 분들이 있어서 가상머신에 까는 방식으로 설명을 진행하다가 똥 밟아버렸지만요. ㅎㅎ

부디 잘 쓰시길 바래요. :)
ㅣㅇㅅㅇㅣ
LINK
#106449862
IP 211.♡.153.115
19-10-16 2019-10-16 07:25:54
·
글을 읽기 시작하다가 초반부에 '조교'라는 단어를 보고 정신이 아득해져서 읽기를 멈추었습니다. 절대 이 라우터가 없어서 그런게 아닙니다 ㅋㅋㅋㅋㅋ
용자님 글 잘 봤습니다 ㅎㅎㅎ
따끈따끈
LINK
#106457871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29:44
·
SM 티가 너무 났나요? ㅎㅎ
중간에 쓰다가 스스로 지겨워져서 끼워넣어 봤거든요.
알배기
LINK
#106451600
IP 1.♡.115.190
19-10-16 2019-10-16 08:51:45
·
대단하십니다. 쵝오~!
따끈따끈
LINK
#106457932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31:12
·
비루한 하수 프로그래머일 뿐입니다.
오기를 가지면 누구라도 할 수 있을거에요, 이거.
아범테크
LINK
#106458186
IP 211.♡.214.158
19-10-16 2019-10-16 11:38:06 / 수정일: 2019-10-16 11:41:55
·
그게 COM 디바이스였나보네요. 제 경험상 VMware가 윈도우에서 COM디바이스 등 몇몇 특정 USB장치들 패스쓰루가 기본 상태에서는 전혀 안되더군요.
버추얼박스를 쓰니 저런 레지스트리 수정없이 USB장치 패스쓰루가 잘 되서 VMware 버리고 버추얼박스 씁니다.
하드웨어 개발하고 있는데 몇년 째 네이티브 리눅스만 쓰다가 GUI지원이 희망이 안보여서 최근에 윈도우+버추얼박스로 하고 있네요...
혹시라도 기회되시면 버추얼박스로도 시도해보심이 좋을 것 같아요 ㅎ
따끈따끈
LINK
#106458341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41:43 / 수정일: 2019-10-16 11:44:08
·
예. COM 디바이스 맞아요.
윈도우가 막 연결된 USB 장치에 BOS 요청을 하는데 fastboot 상태의 E5885가 대답을 안 하는 바람에 OS단에서 E5885 자체를 거절해 버리는거라, 이건 패스쓰루를 해주고 자시고의 단계 이전의 문제더군요.
저 레지스트리는 특정 ID를 가지는 USB 장치 (여기선 E5885)의 BOS 요청을 하지 말고 그냥 통과하라는 내용입니다.
아범테크
LINK
#106458470
IP 211.♡.214.158
19-10-16 2019-10-16 11:45:20
·
@님ㅎ오 포스팅이랑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E5885 쓰는데 함 시간날때 해봐야겠네용 ㅋㅋ
따끈따끈
LINK
#106458747
IP 203.♡.145.172
19-10-16 2019-10-16 11:52:08 / 수정일: 2019-10-16 11:53:30
·
@님 VMware의 패스쓰루를 위한 드라이버가 많이 멍청하긴 합니다.
패스쓰루 상태에서 USB를 그냥 뽑아버리면 그 다음 꼽았을 때 패스쓰루 해주지도 않으면서 한 걸로 착각하고 죽어도 연결 안해주더군요.
이 때엔 윈도우 재부팅이 답이더란...
본문에 "가상머신 내 리눅스에서 장치를 분리한 다음(이 작업 안 하고 USB 뽑으면 드라이버 문제가 생겨서 좀 귀찮아져요. 컴퓨터 재부팅 해야 함.)"이 멍청한 VMware 패스쓰루 드라이버를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시간 나실 때 심심풀이로 한번 펌웨어 올려보세요.
KT 정발이 아닌 이상 한국 내에서는 워런티를 바라보는 물건도 아닐테니까 말예요.
하이순
LINK
#106462133
IP 112.♡.85.146
19-10-16 2019-10-16 13:27:37
·
저도 중국어판 e5885 사용중인데 영문으로 변경하려고 벼르고 있긴한데,
설명을 아주 자세하게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시간날 때 한글 펌웨어 씌워봐야 겠어요.
따끈따끈
LINK
#106489964
IP 203.♡.145.172
19-10-17 2019-10-17 10:28:54
·
영문만 나와도 된다면 이 펌웨어가 더 좋을 수도 있어요. 광대역이나 CA 잡았을 때 4G+로 표시해서 알려주거든요.
본문 참고하세요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4144194CLIEN
특수멀더
LINK
#106466767
IP 1.♡.115.221
19-10-16 2019-10-16 15:28:33
·
자세한 후기 감사드립니다. 후기중에 펌웨어 편하기 하기위해 납땜해서 선 뽑아 내는거 보고 초보가 납땜하다가 망했네요. ㅠㅠ 납이 잘 안 붙어서 다시 할려고 붙여있던 납 뽑아 내다가 동판까지 떨어져서 쇼트해도 반응이 없네요. 그냥 쎠야 할 운명인가 봅니다. 으앙 ㅠㅠ
특수멀더
LINK
#106477314
IP 1.♡.203.58
19-10-16 2019-10-16 21:22:08
·
20191016_203749_1.jpg
집에서 정말 정밀하게 쇼트 시켜서 성공했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그리고 윈도우10에서 진행할 수 있게 정보 알려주셔서 성공했습니다. 한글을 보니 이렇게 반갑다니 ㅎㅎㅎ
따끈따끈
LINK
#106489995
IP 203.♡.145.172
19-10-17 2019-10-17 10:29:35 / 수정일: 2019-10-17 11:37:10
·
@특수멀더님 아아... 펌업 하기 전에 납땜 실패하셨던 거군요 ㅎㄷㄷㄷㄷ 그래도 무사히 펌업 하셔서 다행입니다 ㅎㄷㄷ
현재 한글 펌웨어는 광대역이나 CA 잡혔을 때에도 아무런 표시를 안 해주는데, 전에 님께서 댓글 남기셨던 영문/아랍어 펌웨어는 4G+라고 표시해주니, 굳이 한글이 필요없으면 그 펌웨어를 올리는 것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4144194CLIEN

한글 펌웨어 상태에서 KT망의 광대역 + CA 동시에 잡은 걸로 보이는 속도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168001CLIEN
muns
LINK
#106473083
IP 110.♡.27.151
19-10-16 2019-10-16 18:40:04 / 수정일: 2019-10-16 18:43:59
·
kt에서 kt 정발 e5885 글로벌원에그로는 데이터 쉐어링용 라우터로 이용 못하는데요
펌웨어 바꾸면 라우터로 쓸수있을까요?
따끈따끈
LINK
#106490050
IP 203.♡.145.172
19-10-17 2019-10-17 10:30:56 / 수정일: 2019-10-17 10:31:10
·
단말기 고유번호인 IMEI로 관리하는거라 펌웨어와는 무관합니다.
즉, 펌웨어 바꿔도 안돼요. (IMEI를 바꾸면 가능한데, 이건 국내에서는 불법이라더군요.)
TRAXXAS
LINK
#106474579
IP 203.♡.200.246
19-10-16 2019-10-16 19:38:09
·
저도 WIn10 1903인데, VM 대신 Ubuntu Subsystem으로 해보려고 했었습니다. 빌드까지 문제없이 되었는데, 이게 WLS환경은 USB COM 패스스루가 지원이 안되더군요..ㅠㅠ 그래서 결국 Workstation 으로 했습니다.
그리고 혹시 Win10 에서 VM 구동이 안되시는 분들은 프로그램 추가삭제- 윈도우 구성요소 관리에서 Hyper-V 및 Windows 샌드박스 체크 해제하고 OS 재부팅 2회 하고나면 VMware 환경 VM 구동 됩니다.
따끈따끈
LINK
#106490110
IP 203.♡.145.172
19-10-17 2019-10-17 10:32:11
·
윈10에 우분투 서브시스템이 존재했다는걸 까맣게 잊고 있었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한여름밤의꿈
LINK
#106479296
IP 211.♡.33.174
19-10-16 2019-10-16 22:29:38
·
잘 봤습니다.
제건 영문버전이라.. 겁많은 저는 그냥 써야겠네요.
추천합니다.
따끈따끈
LINK
#106490123
IP 203.♡.145.172
19-10-17 2019-10-17 10:32:30
·
영문버전이면 손 안대시는게 좋아요. ㅎㅎ
사랑꽃
LINK
#106510292
IP 222.♡.214.81
19-10-17 2019-10-17 19:55:29 / 수정일: 2019-10-17 19:55:56
·
관심있는 제품이긴 한데 배터리 일체형이라 몇 년 지나면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게 걱정이라서..
배터리 셀 교체가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푸른광야
LINK
#106545947
IP 154.♡.253.187
19-10-18 2019-10-18 19:17:43
·
몇년 쓰면 5G 라우터로 넘어가야하지 않으려나요?
사랑꽃
LINK
#106547039
IP 222.♡.214.81
19-10-18 2019-10-18 20:00:27
·
@푸른광야님
그러려나요.. 4G 정도면 속도도 괜찮으니 오래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어요..
atom73.4
LINK
#107665694
IP 59.♡.21.185
19-11-25 2019-11-25 03:15:23
·
스크랩 해 놓고 해야지 해야지 생각만 하다,
밤중에 문득 생각나서 방금 성공했습니다.
한글이 이렇게 반가울 수가 없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일랭
LINK
#107735844
IP 222.♡.2.1
19-11-27 2019-11-27 10:18:37
·
진행중 막힌 부분이 있다가 해결해서 공유합니다.
윈도우 10 에서 레지스트리를 먹여도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속 드라이버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Reg 를 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있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usbflags\12D114430001]
"SkipBOSDescriptorQuery"=dword:00000001

여기서
"SkipBOSDescriptorQuery"=dword:00000001
를
"SkipBOSDescriptorQuery"=binary:01000000 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아니면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가서 동일한 값을 넣고 binary 로 한 뒤 01 00 00 00 으로 등록하면 동작합니다
따끈따끈
LINK
#109843675
IP 203.♡.158.5
20-02-08 2020-02-08 16:02:24
·
@일랭님 정보 감사합니다. 리틀/빅 엔디안 문제가 생겼나보네요.
쒸프트키
LINK
#117815382
IP 221.♡.52.130
20-09-20 2020-09-20 22:51:17
·
뒤늦게 복습중인데 혹시 맥주소 바꾸는 방법도 있을까요?
따끈따끈
LINK
#117819447
IP 223.♡.163.31
20-09-21 2020-09-21 08:09:42
·
@님 유선, 무선 랜 MAC 바꾸기는 시도해본 적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