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일이 바쁠때는 책상청소도 재밌는데 딱 그런 타이밍에 채굴을 접하게 되어 신이 납니다.(ㅋㅋ ㅠㅠㅠㅠㅠ)
그냥 Windows 10 Home이 집에 있어서 한대를 설치해서 mining 돌려놓고 anydesk로 가끔 필요할 때 원격으로 보면되는데, 우연히 채굴 전용 OS가 있는데 무려 공짜라고 해서 쓱쓱 읽어보고 설치를 마쳤습니다.
설치 방법은 Youtube에 많지만... 죄다 영어라서 다음번에 올려볼까 생각만 하고 있어요. (아무리 월급 루팡이지만 또 할 일은 하는 루팡이라.)
이번에는 그냥 소개와 간략 후기만...
공홈 - https://hiveos.farm/
프로모션 코드($10 제공) : CMB10USDPROMO (레퍼럴아님, 구글링해서 찾은거라..)
1. 간략 특징
- 채굴 전용이므로 여타 다른 기능이 아무것도 없는 정말 가벼운 SW이고 실제로 용량도 8GB 정도만 준비하면 됩니다.
근데 신기한 건 저는 16GB USB에 설치했는데 남은 용량이 10GB네요. 그러면 OS는 달랑 5GB??
- 모니터링이 정말 직관적이라 여러 대의 장비를 운영할 때는 정말 좋아보입니다. 근데 저처럼 1개만 하는 분들은 무쓸모!
- 그리고 원격접속이 내장되어 있어서, web이나 app으로 접속해서 모니터링은 물론 오버클럭을 조정하거나 mining관련 모든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 설치만 하고 나면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가 전혀 필요없어지죠.
- 장비 1대까지는 무조건 무료이고, Hive mining pool에서 채굴을 하면 4대까지 무료입니다. 이후는 장비 당 매월 $3입니다. 1년이면 36불이니까 만만치는 않네요. 엇 생각해보니 비싸네 ㅋㅋ
그래서 저는 장비를 추가하더라도 1대는 ethermine에서, 이후는 Hiveon pool에서 채굴을 할까 하구요.
2. 설치 후기
- USB 16GB가 굴러다니는걸 주워서 먼지를 닦고, 공홈에서 받은 img 파일을 rufus를 이용해서 flashing 했습니다. 당연히 포맷되니까 내용은 지우구요.
- 근데 저의 착각이, 이게 설치 미디어를 만든거고 이제 장비의 SSD를 포맷하고 OS를 설치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무려 이 USB가 OS drive가 되는것이었던 것이었습니다.(기다리고 있던 SSD 무안하게...)
- USB 굽고나서 안에 rig.config 라는 텍스트 파일이 있는데 여기에 나의 Hiveon 주소, ID, 비번 적어주고 장비에 USB, 랜선 꽂아서 부팅해주면 그냥 모든게 끝!! 입니다. 자동으로 마이닝 돌기시작하구요.
-wifi를 쓰실때는 USB/network/wifi.txt 파일에 SSID, 비번 써주면 되는데 저는 실패했습니다. 아마 당시 접속문제였지않나 싶네요. -추가: 덧글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wifi면 된다고 합니다.
- 그러고 나면 장비는 내팽겨쳐 놓고 Web이나 App에서 원하는대로 오버클럭 해주고 시작 눌러주면 끝이네요.ㄷㄷㄷ
3. 정리
- 자 이렇게 윈도우 OS 비용과, 500GB의 NVMe SSD가 남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16GB USB는 7천원이면 살 수 있습니다.
- 이걸 설치하고 나니 장비 한 대(와 그래픽카드 한 개)가 허전해서 한 두대 더 들이고 싶어졌습니다. 지금 전력 리밋을 130W에 걸었으니 한달이면.... 0.13kw * 24hr * 30day = 93.6kw/month 네요. 흠 2-3대면 누진구간 뚫겠는데요.
- 사용하다가 특이사항이 있으면 추가할게요~
출처: https://earlymin.tistory.com/79 [Start with NEX-5]
상업용 전기 쓸 수 있는 분들은 이걸로 충분히 먹고 살겠네요?
HiveOS 측에서도, nvidia에서 걸어논 리밋을 풀 가능성이, 아직은 없는 것으로 보이네요...
https://forum.hiveos.farm/t/rtx-3060-hash-rate-limit-some-linux-driver-info-from-support/29897
약 열흘전에, nvidia가 걸어논 리밋을 조만간 풀어논 드라이버의 지원에 관한 질문에,
HiveOS 측이 답변한 게시물입니다.
혹시 하이브에서 지원하는 wifi 카드 대표적인건 뭐가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한 번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게시물이네요 ㅋㅋㅋ
특히 라데온 4G 그래픽카드는 덱사이즈때문에 이더리움 채굴이 이제 안되는데요.
특정조건(16배속 슬롯에 직결)에서 롤마이너를 쓰면 좀비모드(?)로 돌아가면서 22해시정도가 나옵니다.
3월달에 종료된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잘돌아가고 있네요.
계속 될거 같기도 합니다. 집에서 3070과 RX470같이 돌리면 80해시 나옵니다.
대신 마이너는 두개라 이더마인에서 워커가 두대로 잡히지만 하이브에서는 워커가 한대라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ㅎ
조건이 복잡합니다.
1. pci-e 8배속 이상
2. 개발자버전 드라이버 설치
3. 모니터가 물려있어야함.
이조건을 만족하면 마이닝 가능하다고 하네요.
실수(?)로 풀었답니다.
지금은 저 버전의 드라이버가 다운이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https://miningcalc.kr/calc/eth
그런분 대부분이 기본 임호로 그대로 사용하다가 당한 분들이죠.
우분투 보안이 그렇게 쉽게 뚫리지 읺습니다.
공유기 암호만 바꿔뇌도, 하이브 임호만 바꿔놔도 99%는 안 당합니다.
다들 몰라서 귀찮아서 그대로 사용하다가 털린거죠.
하긴 자신의 이더리움 주소 입력 할줄도 모르고 그대로 사용하면서 채굴 안된다고 징징 데는 사람들이 천지니 ㅋㅋㅋ
전 세계 여름철 채굴량과 상관관계가 궁금하네요
무슨 방금 만든 이메일도 사용중이라고 나오는지,,, 있는거 다 해봤는데 역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