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닝 구세대 케이블이긴 한데 역시 관련 재고가 아직은 너무 많아서 별 도리가 없나 보네요. 그래도 아이패드는 usb-c로 출시해줘서 다행입니다. 그리고 아이폰은 나중에 usb-c 넣어줘도 프로모델 부터 넣어주지 않을까 싶네요. 아이패드가 9세대까지 기본 모델만 홀로 라이트닝이었죠...
슈라이크
LINK
#137760626
IP 39.♡.231.183
22-09-09
2022-09-09 13:36:41
·
지금이야 욕 먹고 있지만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참 좋았죠 ㅎㅎ
Helen&Adam
LINK
#137760648
IP 50.♡.103.116
22-09-09
2022-09-09 13:38:10
·
Iphone 7 플러스 유저입니다.. 유에스비씨로 바꾸면 기변한다고 기다린게 몇 년인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씨 나오면 바꿉니다.
김사요
LINK
#137760825
IP 39.♡.25.17
22-09-09
2022-09-09 13:49:31
·
디자인은 나쁘지않은데 커넥터 노출이 치명적인거 같아요. 잘못 닿으면 찌릿에다가 물 튀면 즉사했었네요.
쉴드는 아닌데 MFI 인증 비용으로 장사하는거죠. 15 c타입 대체 누가 만든건지.. 유럽인가 그거땜에 그런 것 같은데 차라리 물리심 제거처럼 포트만 없애고 팔겠네요
coreeha
LINK
#137761021
IP 27.♡.24.150
22-09-09
2022-09-09 14:03:00
·
USB 대비 라이트닝의 장점(?)은 본문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크기가 작다는게 있죠.
써니
LINK
#137761089
IP 223.♡.36.227
22-09-09
2022-09-09 14:06:52
·
요새 라이트닝 케이블이 떨이처럼 싸게 많이 나와서 주윤발 권총 쟁여놓듯이 사방에 두고 씁니다 ㅋㅋ
Myayu
LINK
#137761144
IP 112.♡.32.181
22-09-09
2022-09-09 14:10:37
·
사용자들의 안전을 생각했으면, 진작에 버렸어야 할 규격이죠. 요즘 건강&안전 마케팅 하던데, 왜 저건 고집부리며 유지하는지 의문입니다.
coreeha
LINK
#137761232
IP 27.♡.24.150
22-09-09
2022-09-09 14:17:52
·
@Myayu님 라이트닝에서 안전 관련 문제가 발생한적 있나요? 위에 댓글에도 잘 못 닿으면 찌릿하다고 해서 지금 라이트닝 (평소 손 닿을 일도 거의 없는)끝부분을 손가락으로 아무리 문질러 봐도 아무렇지도 않아서 제가 모르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Myayu
LINK
#137761369
IP 112.♡.32.181
22-09-09
2022-09-09 14:28:09
·
@coreeha님 라이트닝은 전기화상 문제가 가장 심각하죠. 이거 라이트닝 초반부터 꾸준히 지적되어온 문제인데, 애플은 의도적인건지 아무런 언급도 안하더군요. 전기화상 입으면, 진짜 피부가 기괴하게 까만색으로 파이듯이 타들어가고, 잘 낫지도 않아요.
coreeha
LINK
#137761437
IP 27.♡.24.150
22-09-09
2022-09-09 14:33:40
·
@Myayu님 그런 지적이 있었군요. 몰랐던 내용이네요. 어떻게 화상을 입게되는지는 모르겠지만 혹시라도 모르니 라이트닝 부분 안닿게 해야겠네요.
Myayu
LINK
#137761588
IP 112.♡.32.181
22-09-09
2022-09-09 14:43:29
·
@coreeha님 220v 전기처럼 순간적으로 입는 형태는 아니고, 주로 잠을 잔다거나 할 때 케이블 깔고 있다가 화상을 입는 식이기 때문에 평소에 손으로 안 만지는 식으로 조심할 필요는 없고, 잠자리 주변에 케이블 안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집에 아기가 있다면 특히 케이블 관리에 조심하는게 좋죠.
coreeha
LINK
#137761626
IP 27.♡.24.150
22-09-09
2022-09-09 14:46:33
·
@Myayu님 그렇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토페
LINK
#137761271
IP 223.♡.47.54
22-09-09
2022-09-09 14:20:50
·
뿌러질것 같아서 늘 불안해요 고장도 잦고... 환경때문에 충전기 뺀다면서 라이트닝 고집하는게 말이되나요 아주 괘씸합니다
coreeha
LINK
#137761400
IP 27.♡.24.150
22-09-09
2022-09-09 14:30:47
·
@토페님 정품 케이블의 내구성 문제는 저도 겪어봤습니다만 케이블이 아닌 라이트닝 자체가 뿌러질 수 있나요. 길어야 7mm 정도로 보이는데 일부러 뿌러뜨리려 해도 힘들것 같은데요.
니케니케
LINK
#137762414
IP 1.♡.140.37
22-09-09
2022-09-09 15:36:02
·
내구성과 호환성이.... 한숨만 나오죠.
LINK
#137762583
IP 106.♡.195.127
22-09-09
2022-09-09 15:48:05
·
다른 기업들이라고 독자 규격이 싫어서 통일한게 아니죠. 소니 독자규격 욕먹었던 걸 생각하면. 통합에 반대하는 부분은 잘못이 크다고 봅니다.
TigerWoods
LINK
#137765569
IP 58.♡.66.104
22-09-09
2022-09-09 19:43:51
·
아이폰 15 또는 아이폰 16에서는 바뀌게 될 것 같네요.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확실히 됐다라는 느낌을 주니까요
/Vollago
라이트닝은 애플 인증값을 받는 만큼 품질 하한선이 웬만큼 있지만 c타입은 그런게 없는 대신에 조악한 품질의 케이블이 시중에 많이 돌아다닙니다.
바꿔서 이득이다? 당장 바꿉니다..ㅋㅋ
게다가 여샌 왠만하면 다 무선이라…
/Vollago
/Vollago
c타입 제품 쓰다보면 기기 단자 주변에 흠집나기 쉬워요
/Vollago
그래도 아이패드는 usb-c로 출시해줘서 다행입니다.
그리고 아이폰은 나중에 usb-c 넣어줘도 프로모델 부터 넣어주지 않을까 싶네요.
아이패드가 9세대까지 기본 모델만 홀로 라이트닝이었죠...
15 c타입 대체 누가 만든건지.. 유럽인가 그거땜에 그런 것 같은데 차라리 물리심 제거처럼 포트만 없애고 팔겠네요
주윤발 권총 쟁여놓듯이 사방에 두고 씁니다 ㅋㅋ
요즘 건강&안전 마케팅 하던데, 왜 저건 고집부리며 유지하는지 의문입니다.
위에 댓글에도 잘 못 닿으면 찌릿하다고 해서 지금 라이트닝 (평소 손 닿을 일도 거의 없는)끝부분을 손가락으로 아무리 문질러 봐도 아무렇지도 않아서 제가 모르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이거 라이트닝 초반부터 꾸준히 지적되어온 문제인데, 애플은 의도적인건지 아무런 언급도 안하더군요.
전기화상 입으면, 진짜 피부가 기괴하게 까만색으로 파이듯이 타들어가고, 잘 낫지도 않아요.
평소에 손으로 안 만지는 식으로 조심할 필요는 없고, 잠자리 주변에 케이블 안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집에 아기가 있다면 특히 케이블 관리에 조심하는게 좋죠.
통합에 반대하는 부분은 잘못이 크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