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린님 우리도 은행 높은 금리 찾아서 돈 예금하고.. 금리 낮은 곳을 찾아서 대출받죠? 똑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돈 빌려서 미국에 돈 예금한다 보시면 됩니다. 즉 우리나라 자금이 빠져나와서 미국으로 흘러들어간단 말입니다. 그럼 미국에 자금이 많아지고 쌓이고, 자금의 순환, 흐름이 좋아지겠죠. 우리나라의 경우는 돈이 점점 줄어들어서 말라가는거구요.
@이카린님 한국은 작년 8월부터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를 올렸고, 이번 미국의 금리 인상전까지는 한국이 코로나 이후 가장 금리 인상폭이 큰 국가였습니다. 한국은행 총재의 인터뷰를 보면 미국보다 금리가 낮다고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단언했습니다. 전세계 금리가 미국보다 낮은데 왜 한국의 자본만 빠져나가겠습니까? 굥정권의 거시위험 관리능력이 엉망이지만, 통화정책에 관해선 한국은행이 주관이고 어느정도 역할을 해줄거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금리를 급격히 올릴경우 부동산 버블이 터져서 일본처럼 디레버리징 올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디레버리징은 대출로 자산가격이 오를때 까지 오른 경우 금리상승이 원리금 상환 부담을 늘려 버블이 터지고 장기침체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리에르
IP 59.♡.221.48
07-28
2022-07-28 11:08:23
·
@이카린님 쉽게 생각하세요. 원화보다 달러가 더 가치있다보니 원화가 금리가 높아야 투자할 이유가 됩니다. 근데 달러 금리가 더 높다? 원화에 투자할 이유가 1도 없지요. 2금융보다 1금융 이자가 높은데 왜 2금융에 저금을 할까요?
woogalga
IP 125.♡.162.197
07-28
2022-07-28 03:21:28
·
어제 코스피가 오른건 오늘 떨어지기 위해서 였네요ㅋㅋ
퓸퓰
IP 59.♡.241.140
07-28
2022-07-28 10:18:27
·
@마분5님 코스피, 코스닥 아직 선방 하고 있네요 ㅎㅎ 신기하네요 장 중반 파사삭 할지...
woogalga
IP 106.♡.195.125
07-28
2022-07-28 10:24:49
·
@퓸퓰님 코로나 이후 주식 접어서 정말 다행입니다..ㅜㅜ뭐 예측이 맞는경우가 없네요ㅋㅋㅋ
퓸퓰
IP 59.♡.241.140
07-28
2022-07-28 12:10:08
·
@마분5님 전....ㅠㅠ 할말하않
마우시스트
IP 220.♡.23.171
07-28
2022-07-28 03:21:28
·
지옥이 다가오고 있군요 ㅎ 덫에 걸려 옴짝달싹 못하는 형국이네요 ㅠ
lattice
IP 104.♡.8.105
07-28
2022-07-28 03:22:15
·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오르다보니 주식시장 불타네요. 주식시장에 찬물 못 끼얹으면 인플레 절대 안잡힐텐데 어쩌려고 저러는지 모르겠군요.
chyulining
IP 119.♡.160.8
07-28
2022-07-28 03:26:10
·
흠... 앞으로 0.5p 두번~ 0.25p 한번 하면.. 연말 금리 3.4p 상향 달성하겠네요.
IP 176.♡.220.41
07-28
2022-07-28 03:27:34
·
아 큰일이네요. 식료품 물가는 이제 오르기 시작했고, 수입품도 환율 때문에 비싸지고 있는데 😭
역금리로 금리상 메리트없는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자본이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환보유고가 날아갈수있고.
국내는 그래서 금리를 따라가야하고 국내는 금리인상으로인해 개인당 소득대비 이자비용증가로 소비저하가 올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선택에 따라서 외화유출 가속화 혹은 가계부채 떡상이요 (부동산 하락신호 들어가죠)
하던대로 굥정부가 아몰랑 금리 올리지 마 라고 배째면 외화가 다 빠져나가게 되지요.
우리도 금리 올리면 이자부담으로 집값 하락 등이 있겠죠.
기업도 어려워지고 경제도 어려워지고
우리나라에서 돈 빌려서 미국에 돈 예금한다 보시면 됩니다.
즉 우리나라 자금이 빠져나와서 미국으로 흘러들어간단 말입니다.
그럼 미국에 자금이 많아지고 쌓이고, 자금의 순환, 흐름이 좋아지겠죠.
우리나라의 경우는 돈이 점점 줄어들어서 말라가는거구요.
한국은 작년 8월부터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를 올렸고, 이번 미국의 금리 인상전까지는 한국이 코로나 이후 가장 금리 인상폭이 큰 국가였습니다. 한국은행 총재의 인터뷰를 보면 미국보다 금리가 낮다고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단언했습니다. 전세계 금리가 미국보다 낮은데 왜 한국의 자본만 빠져나가겠습니까? 굥정권의 거시위험 관리능력이 엉망이지만, 통화정책에 관해선 한국은행이 주관이고 어느정도 역할을 해줄거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금리를 급격히 올릴경우 부동산 버블이 터져서 일본처럼 디레버리징 올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디레버리징은 대출로 자산가격이 오를때 까지 오른 경우 금리상승이 원리금 상환 부담을 늘려 버블이 터지고 장기침체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신기하네요
장 중반 파사삭 할지...
세계엔 악몽…
미국 주식 폭등중.
인플레를 잡는게 아니라 더 키우는… ㅋㅋㅋ
다음 금통위가 8월 25일 인데.. 좀 선제적으로 대응했으면 좋겠습니다.
외환위기가 더 무서워요.
그래서 미국도 100bp 아니라 주가 오른거 같은데;
1퍼 올리려는 생각도 분명있었던 거 같은데 인플레이션이 피크 찍었다고 보고 0.75퍼로 참은 거 같습니다.
독하다 독해.... 인가요 ㅋㅋ
75bp정도는 다들 예상했는지라
시장 킹반영 수준일듯.....
코로나 때 유동성을 너무 많이 풀어서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업하는 입장에서 너무 힘듭니다.
금리를 안올리면 금융시장이 박살이 난다던데…
이 정권은 부동산을 지킬것 같네요.
하필이면 굥똥 같은 개sG가 나라 팔아 먹고 있으니..
국운이 크게 기울어진 것 같습니다. 에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