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직장인이라면 주 1회 스크린, 월 1회 필드 정도일 겁니다. 일반적으로 그 이상은 시간도 비용도 인맥도 쉽지 않죠. 꾸준히 연습장 가는 사람도 많지 않아요. 여가 생활로 월 50 정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장비는 100~200 정도 듭니다만 욕심 안부리면 10년 이상 쓰는 것이구요, 신발, 옷은 특별히 돈 쓸 필요없어요. 특히 옷은 평소 입는 티셔츠, 니트에 면바지면 충분. 스크린 갈 때는 추리닝이 최고죠. 필드는 부담되면 굳이 안나가도 스크린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필드가 더 재미있다는게 문제긴 합니다만. ^^ 저도 처음 몇년간은 스크린만 갔습니다. 지금도 재미있는데 굳이 비싼 필드를 왜 가나 싶기도 했고 욕구가 없었죠. 필드는 부담되요. 연봉 1억이라도 부담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자제를 해야죠. 이건 어지간한 월급쟁이들 다 마찬가지일겁니다.
3~11월 총 9개월 정도 한달 평균 필드 1.5회 나갑니다. 그린피, 카트비, 캐디피 및 뒷풀이 비용까지 하면 평균 1회 라운딩비가 30만원은 훌쩍 넘어서 35만원 정도하네요 ㅠㅠ... 9*1.5=약 14회 *35>>490여만원, 레슨비 및 연습장이용비 1달에 35만원*12달 >> 420만원.... 1년 순수 지출만 900여만원 정도입니다. 장비 및 의류는 욕심이 없어져서 초기만 들어가고 거의 안들어갑니다. 코로나 풀렸으니 해외라운딩 겨울에 두번나가면 200만*2회 추가 되겠네요... 골프란 스포츠가 욕심내자면 한도 끝도 없는거 같습니다. 클럽만 업어올 수 있는 방법만 있고, 초기에 3~4개월 레슨 받으면 이후에는 소득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칠 수 있습니다.
jd
IP 117.♡.5.184
07-13
2022-07-13 15:45:50
·
주말에 가족과 떨어져있을 자신이 없고, 주중엔 시간이 없고... 회사에서 치라고 강요 할때, 또는 영업상 꼭 쳐야할 필요가 있을때, 가 오면 아마도 칠수 있을듯 합니다.
위의 경우가 아니면 근로소득이 얼마냐 하는건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것보다는 불로소득이 얼마냐가 더 중요할듯 하더라구요.
골프 치는 친구가 그정도더라구요
월소득 40 입니다....
스크린은 18홀 2만원 이고 내기는 좀....
필드는 어딜가냐에 따라 다르지만 18홀 보통 20 ~ 30 정도 합니다. 물론 더 비싼곳도 있구요
스크린 골프장에서 대부분 하고 필드에 한 두번씩 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돈이 들어가지는 않는거 같던데요.
스크린은 월세 50까진 가능yo!
유니폼 입고 하는게 아니다 보니 철마다 골프웨어도 입어줘야하고..
필드 나가면 밥도 좀 좋은거 먹고...
이래저래 비용이 많이 깨지죠.
- 스크린 2만원 언더..
내가 어느정도 칠지 정하면 됩니다.
이러이러한 이유로 저는 스크린골퍼가 되버렸어요.
그래서 숏게임은 따로 파3장 찾아다니시면 죠습니다.
비용도 물론이고 시간적으로도 많이 단축되고 요즘같이 더울때는 무조건 스크린이죠
저도 순위를 매겨보면 날씨 > 시간 > 돈 인거 같아요.
더운건 딱 질색이라... ㅠ
스크린 가는 기분은.... 음... 당구장이나 PC방 가는 기분과 유사합니다.
결국 소득은 큰 차이 없어도 그냥 강제로 골프를 하는 셈 아닐까요 ㄷ
여자들 경우 골린이라 하면서 실제 치는 건 잘 못해도 인스타 사진찍으러 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전에 보니까 배달오토바이 타시던 분도
길에서 신호대기 중에 내려서 골프채 휘두르는 듯한 모션을 취하시고...
버스기사분도 골프가방 들고다니시고...
뭔가 우리가 흔히 생각해온? 어떤 고정적 관념의 직업군들의 스포츠는 이제 아닌 것 같네요
여자들의 세계는 참 어렵네요 ㅋㅋ
사진을 너무 찍어대서 시간이 많이 걸려서 순서가 밀리기도 한다는 내용도 본 것 같아요 ㅋ 어쨌건 중요한건 골프를 잘치는게 아니라 사진이니까요
어쨌거나 예쁜 옷도 사서 입고 끝나고나서 같이 밥도 사먹고하면서
인스타 올릴 거리가 풍족하다고 합니다
젊은 여자 골프 인구들때문에 골프장이 더 붐비게 된 면이 있는가보더라고요
요즘 부킹도 어려워서 더 자주 가고 싶어도 어렵긴 할겁니다.
아직 대학생인 친구들한테 취미에 질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대답한 한 학생은 '골프'라고 하더군요... 그것도 스크린 아니고 필드..
제 머리속에 골프란 고소득자만 하는 취미라고 자리 잡았는데, 세상이 많이 바뀐건가 싶더군요.
채도 당근에서 셋트로 구하기 쉽고 웨어도 저렴한것들로 갖추면야 가능하죠
필드 나가는 비용이 좀 쌔서 그렇지 ㅠㅜ
비용도 비용이지만 '시간'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골프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함께 비용도 들텐데 그정도 시간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 부터가 여유있다는 반증이라고 보거든요.
요 아래 선생님이 월 50정도라고 하셨는데, 월 50만 원이면 보통 작은 회사의 신입사원 월급 3분의 1에 가까운 비용이니... 골프는 절대로 서민 취미라고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꾸준히 연습장 가는 사람도 많지 않아요. 여가 생활로 월 50 정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장비는 100~200 정도 듭니다만 욕심 안부리면 10년 이상 쓰는 것이구요, 신발, 옷은 특별히 돈 쓸 필요없어요. 특히 옷은 평소 입는 티셔츠, 니트에 면바지면 충분. 스크린 갈 때는 추리닝이 최고죠.
필드는 부담되면 굳이 안나가도 스크린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필드가 더 재미있다는게 문제긴 합니다만. ^^
저도 처음 몇년간은 스크린만 갔습니다. 지금도 재미있는데 굳이 비싼 필드를 왜 가나 싶기도 했고 욕구가 없었죠.
필드는 부담되요. 연봉 1억이라도 부담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자제를 해야죠. 이건 어지간한 월급쟁이들 다 마찬가지일겁니다.
필드 나간다고보면 그 시간과 돈이 상당히 부담스럽죠
순 월수익 500되어도 부담될겁니다.
스크린도 점심때 가면 1.5만 정도면 되구요
다른 취미에 비해 그렇게 진입장벽이 높지않습니다
장비도 그렇구요
물론 초기비용이좀있어요...
초기 3달동안 레슨에 장비구입하면 300정도...
이후로는 30~40이면 충분합니다...
연습장 주 1회~2회 2~5만원 달에 10~20만원
(이것도 빡세게연습한다고 봅니다... 보통 라운딩가기 2주전쯤 주에 2회정도 연습해요)
스크린 달에 3~4회 1회 2.5만원기준 달에 7.5만원~9만원
그러면 보통 나가는돈이 20~30만원 사이입니다.
남는 돈 적립해 두시다가 3달에 한번 혹은 2달에 한번 필드 나가시면되요.
필드비용은 그린피,카트비+케디피.엔빵해서 싸게가면
인당 18만원 비싸면 25만원입니다..
물론 라운딩후 밥도 먹고 하지만 그건 케바케니까요..
헨디20 아마추어 명량골프 기준입니다...
보통 인당 30에서 50정도 든다던데 ㄷㄷㄷ
돈을 떠나서 전 정적인 스포츠는 노잼이더라고요
그게 2~30대 골퍼들의 현실이죠,,사고 팔고
ㅋㅋ 계속 인스타 올릴때마다 옷을 새로 사긴 부담스러워 그런게 있나보군요 ㅋ
적절한 니즈를 잘 찾은 사업이네요 ㅋ
회사에서 치라고 강요 할때, 또는 영업상 꼭 쳐야할 필요가 있을때,
가 오면 아마도 칠수 있을듯 합니다.
위의 경우가 아니면 근로소득이 얼마냐 하는건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것보다는 불로소득이 얼마냐가 더 중요할듯 하더라구요.
저는 아마 평생 못칠듯...ㅜㅜ
단 필드를 나가야하는상황이라면 레슨 최소3달(기본기 처음에제대로안잡으시면 평생고생합니다 못바꿔요 스윙은 진짜힘들죠) 이면 레슨비 총70이상
연습장 60이상
캐디백 최소 25
채 최소 100
신발 의류 최소 30
티 볼 마크 장갑 등등 최소 5
여기까지 최소 초기비용
필드한번갈때
그린피 최소 15
카트비 3
캐디피 4
식사비 4
이정도 생각하셔야겠네요
그리고 80대스코어 만드는데 돈 2천정도 든다고합니다
대중화가 많이 되었죠...
필드도 시간에 따라 저렴하게 캐디없이 칠수 있어요.
평소엔 연습장이나 스크린골프치고
채는 중고로 사면 저렴하구요.
골프는 돈 보다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 하기 편해요
연습도 해야 되고 필드 나갔다 오면 최소 4시간은 소요 되는데
왔다갔다 이동하는 시간도 필요하니까요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얼마든지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