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굴러간당 ·아이포니앙 ·주식한당 ·자전거당 ·MaClien ·방탄소년당 ·일본산당 ·골프당 ·디아블로당 ·나스당 ·바다건너당 ·소셜게임한당 ·AI그림당 ·키보드당 ·안드로메당 ·땀흘린당 ·개발한당 ·콘솔한당 ·노젓는당 ·밀리터리당 ·육아당 ·레고당 ·냐옹이당 ·날아간당 ·가상화폐당 ·갖고다닌당 ·꼬들한당 ·퐁당퐁당 ·소시당 ·PC튜닝한당 ·클다방 ·임시소모임 ·덕질한당 ·사과시계당 ·포뮬러당 ·리눅서당 ·이륜차당 ·어학당 ·AI당 ·요리한당 ·VR당 ·뚝딱뚝당 ·야구당 ·와인마신당 ·방송한당 ·안경쓴당 ·축구당 ·캠핑간당 ·패스오브엑자일당 ·블랙베리당 ·미드당 ·ADHD당 ·활자중독당 ·걸그룹당 ·스팀한당 ·그림그린당 ·e북본당 ·3D메이킹 ·젬워한당 ·도시어부당 ·라즈베리파이당 ·스타한당 ·영화본당 ·물고기당 ·심야식당 ·윈태블릿당 ·맛있겠당 ·테니스친당 ·IoT당 ·개판이당 ·전기자전거당 ·WOW당 ·보드게임당 ·클래시앙 ·나혼자산당 ·찰칵찍당 ·시계찬당 ·날아올랑 ·DANGER당 ·여행을떠난당 ·X세대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곰돌이당 ·뽀록이당(당구) ·블록체인당 ·볼링친당 ·문명하셨당 ·쿠키런당 ·대구당 ·동숲한당 ·이브한당 ·패셔니앙 ·FM한당 ·차턴당 ·총쏜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인스타한당 ·KARA당 ·가죽당 ·LOLien ·Mabinogien ·땅판당 ·헌팅한당 ·오른당 ·MTG한당 ·소리당 ·노키앙 ·적는당 ·소풍간당 ·심는당 ·품앱이당 ·리듬탄당 ·Sea마당 ·SimSim하당 ·미끄러진당 ·파도탄당 ·테스트당 ·빨콩이당 ·공대시계당 ·터치패드당 ·트윗당 ·창업한당 ·WebOs당 ·윈폰이당
© CLIEN.NET
공지잠시후(19일 0시) 서버 점검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보기
f

모두의공원

알렉스 한의 전설적인 6개월 54

224
Phil2030
24,175
2022-05-05 02:00:17 수정일 : 2022-05-05 02:32:22 27.♡.56.241

먼저 저는 한국이 낳은 희대의 천재 알렉스 한을 찬양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명백히 밝히고 이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여기저기서 알렉스 한이라는 분이 회자되길래 도대체 어떤 학술적 업적을 쌓으셨길래 이렇게 회자가 되는지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죠.

구글 학술검색에서는 지워진 것 같지만, 이메일로 검색을 하면 다수의 논문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Han, A. E. (2021). Education and Healthcare Reforms in Post-Conflict Setting: Case Studies in Kosovo. Asian Journal of Humanity,  Art and  Literature, 8(2),  85-94. (https://doi.org/10.18034/ajhal.v8i2.613)

published on 2021-9-26


제가 검색할 수 있었던 가장 예전 논문은 2021년 9월부터 시작합니다. 다른 글을 보면 그 이전에도 논문을 출판하신 것 같은데 제가 찾아볼 수 있었던 것은 이것부터네요. 주제가 무려 "갈등 이후의 맥락에서 교육 및 보건체계 개혁"입니다. 코소보를 사례연구로 쓰셨구요. 알렉스 한님의 연세가 좀 적은 걸로 알고 있는데 코소보라는 나라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과 거시적인 교육, 보건시스템 개혁을 고민하셨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2) https://abc.us.org/ojs/index.php/abcra/issue/view/106


가장 먼저 놀랐던 부분은 ABC Research Alert이라는 학술지 9집 3호에 알렉스 한의 글이 세 편이나 실렸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논문부터 네 번쨰 논문까지 이 학술지에 수록이 돼 있죠. 훗날 알렉스 한의 전기를 쓰실 분들은 이 학술지의 원본을 필히 구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어떤 학자들도 학술지 한 호에 서로 다른 단독 논문 세 편을 낸 적이 없었는데요, 입이 떡 벌어지는 생산량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220505.png


https://abc.us.org/ojs/index.php/abcra/article/view/582

Title: Does National Debt Matter? - Analysis Based on The Economic Theories
published on 2021-11-16


알렉스 한의 두 번째 논문은 국가부채에 관한 논문입니다. 3쪽의 짧은 논문에서 알렉스 한은 국가 부채에 대한 경제학의 여러 이론을 일별한 후에 국가부채는 장기적으로 볼 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것이라는 주장에 도달합니다. 그런데 자료와 그에 대한 분석은 없고 이론만으로 이렇게 강한 주장을 하시는 것을 볼 떄 그가 굉장한 통찰력을 갖고 계시다는 생각이 듭니다.


3)  https://abc.us.org/ojs/index.php/abcra/article/view/583

Title: Sherman Act 1890: Modernization and Impact on Markets
published on 2021-11-28

이어지는 세 번째 논문에서는 1890년 미국의 반독점법("셔먼법") 사례로 연구관심을 돌리셨습니다. 크게 봐서 경제학적인 관심이 연장된 거라고 볼 수 있겠죠. 이 논문에서 그는 역시 반독점과 관련된 경제학 이론들을 일별하고, 기술발전에 따라 셔먼법이 시대에 뒤떨어졌으며 판사들이 해석하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미 연방 상원의원인 Amy Klobuchar가 2021년에 반독점법 개정안을 낸 사실까지 이 논문은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원의원의 성과 이름의 순서를 바꾸어 Klobuchar Amy라고 쓰신 부분은 옥의 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논문은 단순히 경제학을 넘어서 법학에도 시사점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알렉스 한의 학술세계가 한층 확장됐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https://abc.us.org/ojs/index.php/abcra/article/view/585

Title: An Analysis of Covid-19 Supply and Demand, and Impacts on the Post-Pandemic World
published on 2021-12-11


ABC Research Alert 트릴로지의 대미는 시의성을 감안한 covid-19 관련 논문이 장식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보다 광범위하게 코로나 판데믹이 가져온 경제적, 행정적 효과에 대해서 논하고 있습니다. 


5) (댓글에 다른 회원분의 제보로 추가) A. E. Han, "Machine Learning in Healthcare - Application of Advanced Computational Techniques to Improve Healthcare,"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nd Advanced Technologies (ICISAT), 2021, pp. 1-5, doi: 10.1109/ICISAT54145.2021.9678403. 

published on 2022-1-20


아니 제가 위대한 학자의 논문을 하나 놓쳤군요. 그가 머신러닝을 배운 것이 대략 2월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이미 1월에 단독 논문을 발표하셨네요. 이 논문부터 갑자기 회귀분석, 로지스틱, 확률, 벡터 등 통계학 용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그 이전의 이론적 논의와 너무도 단절적이어서 마치 다른 사람이 쓴 논문 같습니다. 보통 문과에서 통계학을 배울 때 회귀분석을 학부 1-2학년 무렵에 배우기 시작한다는 걸 감안해보면 알렉스 한의 학습속도가 무척 빠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6) M. S. Keya and A. Han, "A Performance Analysis of Depression Ratio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2022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mart Energy (ICAIS), 2022, pp. 215-219, doi: 10.1109/ICAIS53314.2022.9742757.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742757

published on 2022-3-30 


여기서 알렉스 한은 한번 더 학술적인 변혁을 시도합니다. 그동안의 경제학에 대한 관심에서 한발짝 떨어져서 머신러닝을 활용한 우울증 진단에 나섭니다. 그동안 이론적 연구에 천착을 해오셨다면 이젠 자료와 분석적 측면을 보강한 겁니다. 대단하죠? 논문의 1저자인 Keya는 그동안 머신러닝을 활용해서 심장마비 가능성, 파산, 당뇨병 등을 진단하는 논문을 지속적으로 출간해왔는데요, 이번 논문도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논문에서 알렉스 한의 기여는 뭘까요? 궁금해집니다.



종합: 알렉스 한의 6개월은 전설이라 불려도 손색이 없습니다. 6개월 동안에 단독저자 논문 다섯 개, 공저 하나 출판이라니요. 제가 본받아야할 것 같습니다. 제가 미국 학부생들을 짧게나마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데, 학부생들도 이정도의 교육/보건, 경제학, 법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이론과 분석력을 겸비한 채로 6개월동안 여섯 개 논문을 출판하기는 극히 어렵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알렉스 한이 위대한 학자라고 평가를 하는 거지요. 또 논문들을 출판할 수 있는 학술지를 찾는 것과 논문 출판 과정의 교신, 공저자를 찾는 것에도 많은 노력이 들었을 겁니다. 근데 여기에 더해서 알렉스 한은 고등학교 수업도 듣고 봉사활동도 했다는 것이지요? 실로 놀랍습니다. 한국은 굉장한 천재를 찾은 것임에 틀림없고 앞으로 알렉스 한의 미래가 기대되네요.




Phil2030 님의 게시글 댓글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댓글 • [54]
식물의잠
IP 211.♡.187.231
05-05 2022-05-05 02:02:22
·
한국이 낳아 미국에 주는 세계적인 천재인가요? 단군이래 최초의??
레미니
IP 207.♡.236.50
05-05 2022-05-05 02:03:03
·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AMP2
IP 121.♡.48.186
05-05 2022-05-05 02:04:06 / 수정일: 2022-05-05 02:04:27
·
단독저자로 2021년 12월 ieee에 하나 더 있습니다.

Machine Learning in Healthcare - Application of Advanced Computational Techniques to Improve Healthcare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678403
어머
IP 66.♡.174.247
05-05 2022-05-05 02:04:27 / 수정일: 2022-05-05 02:05:44
·
단독논문 ㅋㅋㅋㅋ
요새 단독논문 있는 사람이 저명한 학자도 손에 꼽죠

근데 연구 분야가 도대체 뭔가요

Healthcare. Economics. Machine learning?
Lightuser
IP 219.♡.196.254
05-05 2022-05-05 02:10:29
·
제목만 봐도 어질어질하더군요, 고등학생이라죠?
노벨상 후보네요. 몇개는 받을거 같네요 완전 !! 레알
스치듯
IP 180.♡.180.3
05-05 2022-05-05 02:11:19 / 수정일: 2022-05-05 02:16:36
·
헤르미온느 실존설!!
헤르미온느 한국에 재림하다.
아인슈타인 게섯거라!

물리학계에서 1905년을 아인슈타인의 기적의 해라고 부르는데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브라운 운동, 광전효과, 특수상대성 이론 논문 3편을 1905년에 연이어 발표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1904&cid=60337&categoryId=60337

그녀는 6개월동안 폭풍 논문을 몰아부쳐 아인슈타인보다 더 큰 업적을 이땅에 남기셨네요
wslcrew
IP 24.♡.57.108
05-05 2022-05-05 02:14:02 / 수정일: 2022-05-05 02:15:00
·
저 다섯번째 논문의 1저자는 방글라데시에 있는 대학생입니다. https://ieeexplore.ieee.org/author/37088600634
알렉스 한은 고등학생의 신분이지만 마지막 저자이고요.
넘사벽의 클래스로 대학생을 지도해서 머신러닝 앱스트랙까지 쓰는 위치에 올라섰습니다.
wanxi
IP 125.♡.10.172
05-05 2022-05-05 02:15:19
·
이야~~~!! 우리나라도 드디어 세계적인 천재가 나온건가요?!!! 짧은 기간에 논문을 한개도 아닌 여러개에 서로 다른 주제, 거기에 전공과 다른 논문 작성으로 희대의 천재가 나왔군요!! 아주 국격이 상승하겠네요!!!
부릅뜨니숲이어쓰
IP 14.♡.166.187
05-05 2022-05-05 02:20:29
·
...
죄와벌
IP 121.♡.225.37
05-05 2022-05-05 02:30:20
·
와우..천재네요.. 저정도면 올해 안에 우리나라 최초로 노벨상 받을 수 있겠네요....와우...ㄷ
bulbutus
IP 222.♡.6.147
05-05 2022-05-05 02:32:31
·
노벨!노벨!노벨!
똥이된큰돌이
IP 124.♡.151.171
05-05 2022-05-05 02:33:20
·
똘똘하네요 ㄷㄷ
굿모닝빵빵
IP 113.♡.207.116
05-05 2022-05-05 04:05:04
·
알렉스한이 시장상도 척척 받으시고 논문도 6개월에 다섯편요? 그것도 고등학생이 ? ㅎㅎ 이것이 윤씨가 언급한 독립운동가 후손이신가?
고약상자(FreeKR)
IP 192.♡.86.237
05-05 2022-05-05 05:26:28
·
고등학생이 대학생 논문을 지도해서 교신저자로 논문을 냈네요. 이 정도면 고등학교 졸업하고 교수해도 될 것 같습니다. 엄청난 천재네요. 한동훈님 축하드립니다. 저는 이 정도 인물은 본 적이 없습니다. 미래 대한민국의 최고 인재가 될 것 같습니다.
노노리리
IP 133.♡.128.34
05-05 2022-05-05 06:02:38
·


혹시 이분? 엄청난 분이시군요.
우리나라의 미래가 밝습니다🥺
양자이론
IP 163.♡.132.1
05-05 2022-05-05 08:39:34 / 수정일: 2022-05-05 08:46:14
·
이건 남이 써준거 읽는 티가 많이 나네요. 저도 비슷한 또래 애들이 있어서 학교에서 애들 스피치 시킬때 저런식으로 하는 애들은 보통 남이 써준거 읽는거라는거 쉽게 알 수 있는데, 학교 선생님들이나 입학 심사하는 사람들은 더 쉽게 알겠죠. 저건 무슨 스피치를 국어책 읽듯이 같은 단어를 떠듬떠듬 반복하는것도 너무 빈번하고... 발표력은 우리 초딩 저학년 막내 수준인데(저희 막내가 학교에서 스피치 못하는 편이라 좀 민망한 수준입니다. 저희 큰애는 평생에 단 한번도 저런 국어책 읽는 식으로 발표를 한 적이 없어요. 말할때 청중 하고 눈 마주치고 강조할 문장 확실하게 강조하고 주제 전환할때 듣는 사람들이 확실히 인지하고 내용 따라올 수 있게 해 주고.. 중간중간 청중들 재밋게 해주는 농담과 감동을 섞어서 웃음과 박수가 터져나오게 유도도 잘 하고... 미국에서 말을 잘 한다는건 정의가 확실합니다. 저렇게 빠른 속도로 정신없이 웅얼웅얼하면 당연히 낙제입니다.) 과연 저 장문의 발표 내용은 누가 써준거고, 화면 편집은 누가 해줬을까요?
알랳드롷
IP 175.♡.10.223
05-05 2022-05-05 08:50:27
·
@양자이론님 외주줬겠죠
삭제 되었습니다.
nomadism
IP 37.♡.205.178
05-05 2022-05-05 09:16:22
·
@양자이론님 "지금부터 10분 동안 말씀드릴..."이라고 시작하고는 7분 8초만에 끝나는 내용을 보면 정말 할 말이 없죠.
짜오프라야
IP 101.♡.217.22
05-05 2022-05-05 09:16:24
·
@노노리리님

프롬프터나 뭘 보면서 읽는 것 같아요.
리트리셈
IP 210.♡.16.108
05-05 2022-05-05 06:11:20
·
한동훈이딸 알렉스한 한지윤이 천재네요
앤써니88
IP 223.♡.181.43
05-05 2022-05-05 07:25:38
·
딸내미 아주 자~ㄹ 뒀네요 천재야 천재
고래이니
IP 157.♡.144.71
05-05 2022-05-05 07:27:11
·
본인 affiliation도 제대로 못쓰는데 뭔 논문을 쓴다고 저러는지 모르겠네요.
영원히 남는건데 쪽팔리지도 않는건지

Seooul이 뭔가요?
Chadwick International, Seooul, South Korea
윙스탑
IP 76.♡.86.79
05-05 2022-05-05 08:48:30 / 수정일: 2022-05-05 08:48:51
·
@고래이니님
심지어 Chadwick은 인천 송도에 있죠
닭을잡자
IP 210.♡.166.205
05-05 2022-05-05 07:29:02
·
걸리면 일단 가는겁니까?
도시락뚜껑
IP 118.♡.24.157
05-05 2022-05-05 07:42:50
·
이 건을 놓고 한국의 천재 학생에 대해 국내 언론보다 미국 언론에서 먼저 다루기 시작하면 재밌는 상황이 만들어지겠네요 ㅎㅎ
댈러스베이징
IP 125.♡.43.65
05-05 2022-05-05 08:20:01
·
명신아, 너도 세기적 천재
알렉스 한에게 좀 배우세요.
YUJI 가 뭐니 YUJI가, 부끄럽게스리.
이게말이야방구
IP 175.♡.70.178
05-05 2022-05-05 08:22:38
·
논문 쓰는 기계인가요? 날짜가...
랜덤넘버
IP 221.♡.100.231
05-05 2022-05-05 08:24:33
·
교수를 하고 있어도 모자랄 사람인데요?
iUXD
IP 209.♡.202.34
05-05 2022-05-05 08:28:23 / 수정일: 2022-05-05 08:31:55
·
저널이 어떤데인지 보세요. 그냥 제출하고 돈내면 실어주는 곳들입니다. 아마 대입용으로 강남에서 많이 써먹은 곳일걸요. Ieee 는 빼구요. 근데 그 논문 1저자가 인도사람이네요? 그리고 머신러닝 데이터 돌린거군요. 흠... 뇌내망상하자면.. 저런경우 데이터 준비에 참여하거나 논문 퇴고할 때 수정만 해도... 뭐.. 물질적이든 학술적이든 합의만 된다면 2저자 넣의주는 건 어렵지 않을겁니다.
St. Thomas
IP 39.♡.230.82
05-05 2022-05-05 08:38:24 / 수정일: 2022-05-05 08:40:31
·
@iUXD님
그것보다는 직접 썼는지가 쟁점이죠. 물리적 시간상 가능한가요?....
iUXD
IP 73.♡.80.63
05-05 2022-05-05 12:39:24 / 수정일: 2022-05-05 12:40:44
·
@St. Thomas님 저런 이상한 저널이면 뭐 찍어내기하면 가능하긴 합니다. 물론 누가 도와준다고 가정해서요. 그럼 단독저자가 안되는군요. ㅋㅋ 근데 이거 걸려서 빡친 강남 부유층들 분명 있을 겁니다. 우리 자식 대학갈때 쓰는 치트키인데 그걸 걸렸으니까요.
zerosoo
IP 182.♡.58.95
05-05 2022-05-05 08:43:32
·
팬클럽 가입하고 노벨상 추대 합시다 좋빠가
영차영차영영차
IP 118.♡.11.164
05-05 2022-05-05 08:45:27
·
그동안 몰랐던 천재를 발견했네요.
그란데
IP 211.♡.165.55
05-05 2022-05-05 09:00:47
·
저정도 인재면 노벨상 예약이겠네요
GoogleOne
IP 118.♡.11.102
05-05 2022-05-05 09:02:27
·
알렉스 한, 장관감이네요!
창밖에기차가지나가요
IP 112.♡.102.134
05-05 2022-05-05 09:10:42
·
X발, 세기의 천재 나셨네요. 버트란드 러쎌 선생님이 울고 가시겠네요
Raegar
IP 112.♡.98.147
05-05 2022-05-05 09:10:59 / 수정일: 2022-05-05 09:12:22
·
딱 윤석열식 "굥정과 상식"이군요.
저런게 조국네는 70군데 압색하고 중학교때 일기장까지 털어가 징역보내고 한가족을 파탄내고..
퐁팡핑요
IP 61.♡.123.162
05-05 2022-05-05 09:11:12 / 수정일: 2022-05-05 09:13:03
·
어휴... 출판된 연구성과들을 종합해보면 이건 뭐 학술적 용어로는 hybrid, 다른 대체 언어로는 '잡종'이네요.

전후 연구 맥락이 죄다 연결성이 없고...
논문 쓰는게 무슨 일기도 아니고...
Peer review는 거쳤을까요ㅎㅎ

카악- 퉷.
byul_____
IP 49.♡.207.226
05-05 2022-05-05 09:13:01
·
와 정치 경제 행정 인권까지
저널에 다 싣다니 이건 레오나르도다빈치 급 천재 아닌가요?! 😱
블루밍턴
IP 121.♡.148.253
05-05 2022-05-05 09:16:05 / 수정일: 2022-05-05 09:18:03
·
어느 나라 어떤 분야를 분석 소개하는 것인지 굥교롭게도 이중국적자 답네요. 말보다 글을 더 잘 ㅂㄲ 는걸 보면요.
골든멍멍
IP 223.♡.138.238
05-05 2022-05-05 09:19:40
·
한동훈님이 한미양국에 내린 크나큰 은총이시네요.
nomadism
IP 37.♡.205.178
05-05 2022-05-05 09:21:17
·
학회지(?)라고 자칭하며 천재 알렉스 한의 논문을 한 호에 3개내 게재해준 ABC Research Alert은 아예 논문 심사 단계가 없다고 하네요.
https://abc.us.org/ojs/index.php/abcra/faq
Poetic_Announcement
IP 223.♡.45.6
05-05 2022-05-05 10:39:27 / 수정일: 2022-05-05 10:40:36
·
@nomadism님 와…이런 저널은 도대체 존재의의가 있긴 한걸까요? 피어리뷰가 없으면 그냥 개인적 에세이에 가깝지 않나요?
날강두
IP 116.♡.121.69
05-05 2022-05-05 09:25:40
·
논문 쓰는 AI죠
파란하늘이좋다
IP 115.♡.130.13
05-05 2022-05-05 09:31:21
·
아이큐가 얼마나 되려나 기본 130은 넘겠죠?
달라이하마
IP 116.♡.236.93
05-05 2022-05-05 09:31:51
·
21세기 대한민국의 국운이 기울 가능성을 보고 하늘에서 특별히 내려주신 분이네요. 일거수 일투족 흠모하면서 주목해야겠습니다. 이 나이에 이런 성과라니, 대한민국은 축복 받은 나라네요 ㅆㅂ. 한동훈이 얼마나 자랑스러울까요? 최연소 장관 추대 들어갑시다. 역사상 최초로 부녀 동시 장관, 세계사에 빛날 일이 아닐까요?
spak
IP 210.♡.166.34
05-05 2022-05-05 09:34:27
·
노벨상 안주면 고소!!!
참새와나비
IP 118.♡.15.134
05-05 2022-05-05 09:37:30
·
알렉스 한만 그럴까요
수두룩할겁니다.
moonluna
IP 112.♡.132.126
05-05 2022-05-05 09:41:17
·
고등학생이 교신저자.....;;;;;;

뭐 불가능은 없다지만........
건어물육식공룡
IP 175.♡.45.42
05-05 2022-05-05 09:49:59
·
새로 상을 만들어야 하는거 아닐까요? 알렉스상
BLUEnLIVE
IP 117.♡.19.193
05-05 2022-05-05 10:00:08
·
누가 한낱 아인슈타인 따위를 인류사의 위대하시며 법무부장관 자제분이시기까지 한 백두혈통님께 비교하려 드는가?
10000p
IP 106.♡.195.224
05-05 2022-05-05 10:05:24
·
Alex Han 동명이인이 여러분인게 어닌거죠? ㅎㄷㄷ하네요
LinusPauling
IP 59.♡.44.215
05-05 2022-05-05 10:17:56
·
한국에 천재가 나왔는데 이걸 여태 아무도 몰랐다니.
공영칠
IP 124.♡.242.92
05-10 2022-05-10 00:30:19
·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 브라운운동, 특수상대성이론, 질량에너지등가이론을 발표한 1905년을 기적의 해라고 부릅니다. 현대물리과학의 핵심이론인 양자론과 상대성이론을 정립한 기념비적인 논문 4편이 단 1년동안 한꺼번에 나왔죠. 오늘날 우리는 아이슈타인의 기적의 해를 능가할지도 모르는, 기적의 6개월이라 이름붙여야 할 경이적인 천재소녀의 등장을 직접 보고 있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