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발입니다. 이미 여러차례 말했지만 이미 여러경로로 개발자들 공고 및 관련 프로젝트 인원들 공고가 올라갔기 때문에 기정사실화.
다만 어떤 형태로 나오는지 알려지지 않았는데 스위치의 성공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작한다고 합니다.
성능은 현재 닌텐도가협력업체들에게 공고한 바에 따르면 휴대기기 사용시 PS4 노멀 정도의 성능, 독장착시 PS4 프로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독 장착시 4K 해상도 재생 가능한 성능이라고 하네요.
초창기 컨셉에서는 독에 추가 AP를 장착하는 것이 낫지 않겠냐는 닌텐도 내부 의견들이 있었지만 단가문제와 개발의 편리성 문제로 클럭 제한을 통해 휴대기기 및 독사용 모드에서의 성능을 조절한다고 합니다.
우선 엔비디아 칩셋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아직 칩셋 제작업체들은 닌텐도가 어느것을 선택할지 미지수입니다. 현재 닌텐도가 프로젝트 두개를 AP관련하여 진행중인데 삼성LSI에 의뢰한 닌텐도 독자 칩 생산과 AMD에 의뢰한 TSMC 생산입니다. 현재 아직 두업체의 설계스펙만 받아놓고 있다고 하네요. 우선 이렇게 되면 CPU는 예측하기 힘들어도 GPU쪽엔 RDNA 시리즈가 들어갈 확률이 클수있다고 합니다.
닌텐도는 이것의 출시시기를 2023년 이후로 잡고 있다고 하네요..
P.S 이게 사실이면 2023년 이후에 PS4성능을....우선 2017년도에 스위치 발매기 때문에 나와줄때가 되긴 했습니다. 대략 5년주기니까 신제품 발표가..협력업체들이 후속작 관련 작업들을 이미 진행중이기 때문에 언제 나오냐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야숨 2는 2022년 발매 예정으로 하고있고..
닌텐도는 야숨이 wii u, 스위치 동시 발매라..
스위치2에서 야숨2를 할수 있을수도 있어요..
닌텐도는 젤다 하려고 사는 것 아니였나요?
이거 프로로 프레임 좀 확보하고 해보고 싶네요.. 2의 720P+30프레임(그마저 심각한 드랍) 이 되게 아쉬웠거든요..
/Vollago
말로는 개선판... 실제로는 원가절감판 나오겠죠...
닌텐도가 아주 사골우려먹는 달인이라...
원가절감의 달인 닌텐도라...
삼성에서 자체칩으로 갈거 같은데요..
자체 칩이라고해도 삼성에 의뢰한 엑시노스 커스텀이 아닐지...
amd와 tsmc가 생산라인이 꽉차서.. 단가가 삼성보다 셀겁니다..
2022년 현재 기준으론 식상한거 같아요
그사이에 아이폰을 위시한 핸드폰 성능이 너무 올라와서
스위치로 원신 정도 겜 못돌릴거 같은데요…
스위치가 30프레임 게임기입니다..
해상도도 HD구요..
그래픽이 절대성능기준 PC로 따지면 GT650 정도 라고 하더라구요..
눈호강하는 게임기는아니고 게임성과 IP로 승부하는 닌텐도라..
하드웨어 후달리는건 유명하죠.
원신 스위치로 발매가 무산(무기한연기?) 인데..
원신 스위치로 나왔다면... 프레임과 해상도가 떨어져 좋은 평은 못받았을겁니다..
지금 스위치 AP 성능 =스냅드래곤 835
ARM 이면, 기존 스위치와 ISA가 같으니 하위호환 면에서 유리할 테고.
AMD x86으로 가면, PS/XBOX 계열과 사실상 같은 플랫폼이 되니, 게임 개발사 입장에서 선호할 것 같고...
한참 늦은 답글이네요. ㅎㅎ
만약 AMD라고 하면, 설사 AMD가 ARM도 가능하다고 할 지라도, 굳이 AMD에서 ARM을 만들 이유가 있을까요?
뭔 장점이....ㅎㅎ
Apple처럼 ARM ISA로 뛰어난 CPU를 설계해서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