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학 출신으로 길게 이야기하고 싶지만 꼰대소리 들을까봐. 결론은 저는 추천입니다. 그리고 한양대 공대면 전공보다 학교 간판보고 가도 됩니다.
훼브릿즈
IP 211.♡.140.118
01-02
2021-01-02 09:33:53
·
@광진구동대장님 한양대가 기업들이 참 좋아라하는 학교 중 하나에요ㅎㅎ
XK-14
IP 123.♡.34.37
01-02
2021-01-02 08:54:57
·
산공과 출신인데 산공과 취업 공대서도 상위권입니다
한양대 산공이면 본인이 열심히 했다는 가정하에 과 때문에 취업 못 하는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단품세트
IP 180.♡.25.37
01-02
2021-01-02 08:55:41
·
한양대면 정보시스템학과 있을텐데 참고하세요~
IP 39.♡.25.5
01-02
2021-01-02 09:01:20
·
@단품세트님 거기는 인문계만 뽑습니다!
인생이란엿이다
IP 39.♡.28.251
01-02
2021-01-02 08:58:57
·
10년쯤전에 산업공학과 전공자 동기들이 많았습니다. it쪽으로요. 동기들한테 물어보니
전공이 다른 과 처럼 전문성(?)이 없어서 이렇다할 취업 분야가 정해지지 않아서 여기저기 찔러보기 좋다고.. 장점이자 단점이라는 얘길 들었습니다.
쏘머지니
IP 14.♡.158.18
01-02
2021-01-02 09:02:19
·
@인생이란엿이다님 기본적으로 넓게(숲) 가르치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분야(나무)를 골라서 스스로 공부해 나가면 됩니다.
쏘머지니
IP 14.♡.158.18
01-02
2021-01-02 08:59:14
·
수동적인 성향보다 능동적인 성향이 있다면 강추입니다. 그리고 나무보다 숲을 볼 수 있는 학문인데 이런 전공이 많지 않습니다. CEO배출 2위이기도 하고요...(1위는 경영학)
스닢
IP 121.♡.245.102
01-02
2021-01-02 09:00:02
·
15년전 이야기이긴 하지만 산공과 나와서 회사에 가니 산공과는 공대 베이스도 있으면서 경영도 잘하는과라 좋다는 인식이 있더군요.. 졸업생입장에서는 산공과는 수학 많이 컴공 약간 기계 약간 인데 왠 경영??했지만요..^^; 저때는 취업시장에서는 유리했어요... 다만 전공을 살리려면 공장의 공정 최적화나 교통연구 같은거라 지방에 일자리가 많아서 전 일찌감치 전공과 상관없는 일을 하고 있지만요... 경영대학원을 나오는 것도 방법입니다.. 학교에서 배운 통계나 코딩, 데이터베이스 다루는 SQL같은게 은근 나중에 업무 공부할때 베이스가 되어 주더군요.. 저는 대기업 연구소에서 일해요...
컴공 출신으로 회사생활하면서 제가 보기에는 산공과 출신은 올라운더 같습니다. 전문적인 제품개발 분야가 아닌 IT, 기획 쪽으로 봤을때는 산공과가 제격이라 봅니다. IT + 경영 개념이라 어디에든 어울린다고 보네요. (SCM, ERP, MES, MIS 등등...)
타이틀리스티안
IP 175.♡.23.43
01-02
2021-01-02 09:20:12
·
예전 산공과랑 좀 달리 머신러닝 쪽 이용한 연구들이 기업들과 많이 되고 있고 실제로 그쪽 인력들이 많이 필요한데 사람 구하기가 쉽지 않네요 ㅠ
해롱구리
IP 211.♡.68.122
01-02
2021-01-02 09:20:50
·
취직은 문과<산공<그 회사에 맞는 그 전공순인것 같네요. /Vollago
기적
IP 175.♡.126.238
01-02
2021-01-02 09:31:36
·
산공전공하면 취업은 잘 될겁니다. 서울 본사보다는 지방 공장 관리나 플랜트 쪽 관리직울 원하면 100프로 취업 가능이라고 까지 감히 말씀 드릴수있어요
Archer
IP 175.♡.27.55
01-02
2021-01-02 09:32:04
·
제가 알기론 애플 CEO팀쿡이 산공이라는 데, 하기나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선택되세요
연초록빛
IP 125.♡.117.4
01-02
2021-01-02 09:47:10
·
산업공학 요즘 갈수록 점점 더 학생들이 선호하더군요. /Vollago
연초록빛
IP 125.♡.117.4
01-02
2021-01-02 09:48:03
·
한양대 산공말고 다른 선택지로는 뭘 보고 계시는데요? /Vollago
apnetwork
IP 211.♡.161.18
01-02
2021-01-02 10:23:20
·
어느 제조업이나 생산관리나 품질이 있기때문에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괜찮습니다. 생각보다 엄청 다양한 분야로 나갑니다. 동기 중 금융으로 가는 애들도 많아요. 산업공학 베이스에 여력이 되신다면 캐릭터를 강화할 수 있는 부전공이나 스킬을 같이 공부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가령, 통계학, 도면작성, 제2외국어 등이요. /Vollago
IP 116.♡.152.241
01-02
2021-01-02 11:19:45
·
산업공학 출신으로 추천합니다. 최근 통계나 빅데이터 쪽이 유행하면서 할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학부 수준에서는 별로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해도 조금만 더 공부하면 쓰임새는 정말 다양하면서도 깊게 갈 수 있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극소수제외하고 과 상관없는 업종에서 밥먹고 있고
실무에서는 결국 해당전공에 밀립디다.
잘되는 사람은 과 보단 개인 능력빨이구요... 삼전 고순동도 산공나왓을껄요..
공대가 안맞으니 산공할꺼야 라는 마인드로 들어가면 거기도 공대라 공부하다 혼쭐납니다
다녀보니 애매해서 경영학과나 컴공으로 복수전공해서 탈출하는경우가 매우 활발한 편입니다
차라리 학교 네임밸류가 사회생활에서 미치는 영향이 더 크므로, 한양대 공대라는 선택지는 괜찮다고 여겨집니다.
산공과 나와서 산공과 추천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던 것 같긴 하지만, 재미가 없어서 그렇지 취업은 잘 되더군요.
한양대 산공이면 본인이 열심히 했다는 가정하에 과 때문에 취업 못 하는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동기들한테 물어보니
전공이 다른 과 처럼 전문성(?)이 없어서 이렇다할 취업 분야가 정해지지 않아서 여기저기 찔러보기 좋다고.. 장점이자 단점이라는 얘길 들었습니다.
저때는 취업시장에서는 유리했어요... 다만 전공을 살리려면 공장의 공정 최적화나 교통연구 같은거라 지방에 일자리가 많아서 전 일찌감치 전공과 상관없는 일을 하고 있지만요... 경영대학원을 나오는 것도 방법입니다.. 학교에서 배운 통계나 코딩, 데이터베이스 다루는 SQL같은게 은근 나중에 업무 공부할때 베이스가 되어 주더군요.. 저는 대기업 연구소에서 일해요...
문학이나 철학 좋아하는건 아닌데 문과성향이다..너무많이 들어서 답답했습니다ㅜ 요즘학생들 대부분 생지 많이해서 괜찮습니다!..
산업공학과도 수학적센스가 많이 필요한 곳인것 같습니다. 4년내내 물리를 하는 과는 아니라는것 정도?
저는 군대를 늦게가서 2016년에 졸업했고 동기들은 2018년에 졸업했는데 16년과 18년의 취업시장 체감차이가 크고 18년에비해 19년 20년 대기업 서류통과율이 낮아서 안타까웠습니다..
남학생이면 졸업하기까지 6년뒤라 앞으로 6~7년뒤에 취업시장이 어떻게 바뀔지는 너무 먼미래인것 같습니다ㅜ
한양대 산공 고민하시는거면.. 정시모집 시작즈음에 디지스트/지스트가 작년에 엄청많이 이월되서 컷이 좀 내려갔는데 기억해두셧ㅅ다가 군외로 이곳도 지원해보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공대가 안맞고 인문학 적이라 가면 개피 봅니다
최고죠. 개념도 있고 구현도 할 수 있고요.
특히 ERP PLM 같은 기업용 인프라 소프트웨어 개발 쪽. . .
전문적인 제품개발 분야가 아닌 IT, 기획 쪽으로 봤을때는 산공과가 제격이라 봅니다.
IT + 경영 개념이라 어디에든 어울린다고 보네요. (SCM, ERP, MES, MIS 등등...)
/Vollago
/Vollago
/Vollago
/Voll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