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정말 말이 안되는데요? 아무리 안정성이나 위험해서 제한을 걸어 뒀다 치지만, 이정도면 플래그십을 살 이유가 없을 정도로 사기를 치는 것인데, 이게 내부적으로 통과되었다는 것 자체가 웃긴 이야기 같은데... 하물며 이렇게 굳이 관리 안해도 기본적으로 쓰로틀링이 작동하는게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조인데 거기서 더 나아가서 시스템 제약을 건다니.. 도대체 무슨 마인드로 했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Axel님 설계 결함이 있는데 그냥 밀어붙인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삼성 정도의 회사에서 이걸 예측 못했을리는 없을거라고보고요.. (예측을 못했다면 삼성이나 샤오미나 소리 들어도 할말 없는거고요;;)
보통은 그 기계의 성능을 한계치까지 끌어올려야 할텐데 그걸 의도적으로 막았다는건 뭔가 숨기기 위한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특히 삼성의 해명인 고객의 안전이 뭔가 의미심장 합니다.
Axel
IP 61.♡.217.195
03-03
2022-03-03 20:31:14
·
@순진한뉴비님 저도 동감하네요. 지난번에 SBS 산하 전자 유튭 채널에서 안전이란 이야기를 하던데, 일각에선 지속적인 원가절감으로 방열 관련 취약함 때문에 이렇게 강하게 걸었다... 고 하던데 정말이지...아니 768G 보다 못한 성능으로 반토막을 내는게 진짜 결함기 그 자체라고 밖에 볼 수 없어 보이네요.
IP 156.♡.144.86
03-03
2022-03-03 21:57:38
·
@Axel님 방열판 달아놓은거 보면 경쟁 모델 반의 반도 안됩니다. GOS가 몇년이 지나도록 한번도 이슈가 없으니(안걸렸으니) 이걸로 떼우기로 작정하고 하드웨어도 저따위로 설계한거 같아요. 아마 GOS 풀어주면 발열 이슈 엄청나게 터져나올겁니다. 어떻게든 말로 떼울꺼에요.
IP 218.♡.100.207
03-03
2022-03-03 14:34:03
·
어쩐지 사고 싶더라니...
IP 175.♡.107.225
03-03
2022-03-03 20:23:07
·
@님 저도 삼성폰 절대 안사는데 진짜 A52s는 혹하더라구요. 가격 성능 품질 모두 혹했지만.. 갤럭시는 아니였는데... 어쩐지 매력있다 싶었고, 삼성도 잘 팔고싶지 않다고 루머 돌던 모델이였는데 역시나...
@님 @님 일주일 전에 중고로 구매해서 삼성 폰 처음 써봅니다. 피쳐폰 시절엔 모토로라 엘지. 3G시절에도 스마트폰 사용한게 모토로이아트릭스. 4G 시대에는 아이폰5 6 SE 엘지G7. 5G에선 아이폰12미니 쓰면서 진짜 한대도 안썼는데 처음으로 샀습니다. 자급제 LTE로 사용하는데 발열 배터리 성능 만족하고 씁니다. 모난곳 없고 심각한 문제 없고.
이게 욱긴게 gos로 관리 리스트가 게임 아닌 앱도 많답니다. 한마디로 광고 효과있는 벤치땐 클럭 제한 풀고. 배터리 테스트엔 클럭 제한 앱도 포함됐을테고. 과거 갤럭시때 벤치 부스터 치팅보다 더 전략적인건데 이건 치팅이 아니다. 다른 회사처럼 부도덕한게 아니라며 다르에 받아들여야 한다고 실드하셨던 분들.,.. 애플 배터리 게이트땐 왜그리 나라라도 망한듯 걱정해주셨을까요..
huni-hit-home
IP 223.♡.29.209
03-03
2022-03-03 15:33:55
·
@고멍님 게임 앱들은 기계적으로 gos 적용되고 (우회 불가)
일반 앱들은 갤럭시 동작 모드 설정에 따라서 gos가 적용 on/off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 일반 앱의 목록도 list로 관리...)
동작 모드를 '최적화'로 놓으면 list에 있는 일반 앱에 gos 걸리고 동작 모드를 '높음' (or 속도 우선 or 최대)으로 놓으면 일반 앱은 정상 속도로 동작한다고 합니다.
배터리와 발열이 더 중요한 분들은 '최적화' 모드로 쓰시고 빠릿한 반응과 쾌적한 사용감을 원하시는 분들은 '높음' 모드로 쓰시는 게 좋습니다.
gos라는 서비스의 개입 범위가 생각보다 넓어서 놀랐습니다. ㅜㅜㅜ 원플러스가 일상 앱에는 제한 걸었다가 논란이 있던 걸로 기억하는데... 삼성도 비슷한 일을 해서 실망입니다. ㅜㅜ gos가 일상 앱까지 관리하고 있었으니 벤치마크 치팅이라고 불려도 될 듯 해요. (동작 모드에 따른 gos 동작 방식과 적용 범위를 제대로 안내해주지 않았기 때문에요)
별무리---*
IP 223.♡.216.126
03-03
2022-03-03 15:36:08
·
@huni-hit-home님
글죠.. 높음이나 최대로 놓는 순간 그라파이트 단 한장인 S21 시리즈는 .. 엄청난 발열이 생겨요 ㄷㄷ
삼성은 감소된 성능으로 팔리고요
누가 아이폰은 감성으로만 삽니까?
아아... 샘성의 세일즈 포인트는
'감'소된 '성'능이었군요 ㅋㅋㅋ
이거 '감성'이네요. ㅜㅜ
알고보니 플레그쉽보다 더 성능 좋은걸 산거였네요.
삼성 중급기중 유일하게 클리앙에서 칭찬받은 A52s... 효도폰은 플래그쉽이라는 클리앙도 허용한 A52s...
알고보니 플래그쉽 윗급 성능이였네요
삼성 정도의 회사에서 이걸 예측 못했을리는 없을거라고보고요..
(예측을 못했다면 삼성이나 샤오미나 소리 들어도 할말 없는거고요;;)
보통은 그 기계의 성능을 한계치까지 끌어올려야 할텐데 그걸 의도적으로 막았다는건
뭔가 숨기기 위한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특히 삼성의 해명인 고객의 안전이 뭔가 의미심장 합니다.
일주일 전에 중고로 구매해서 삼성 폰 처음 써봅니다.
피쳐폰 시절엔 모토로라 엘지.
3G시절에도 스마트폰 사용한게 모토로이아트릭스.
4G 시대에는 아이폰5 6 SE 엘지G7. 5G에선 아이폰12미니 쓰면서 진짜 한대도 안썼는데 처음으로 샀습니다. 자급제 LTE로 사용하는데 발열 배터리 성능 만족하고 씁니다. 모난곳 없고 심각한 문제 없고.
상관 없는게 아니군요....
배터리 성능은 삼성이 좋드라구요..
성능을 반토막 내놨으니 당연히 배터리가 좋을수 밖에요...??? 강제 저전력 모드상태니깐요
애플이랑 삼성이랑 똔똔으로 알아요 ..
저건 갤S22에 벤치마크에 GOS 먹도록 패키지 이름을 게임 원신으로 바꿔치기 하여 실제 게임 구동 수준으로 낮춘 겁니다.
뻥벤치 순정 S22 > 아마도 뻥벤치 순정 A52s > GOS S22 성능이 됩니다.
그러면 GOS 걸린 A52s는 더 낮겠죠 뭐.
OneUI 4 업데이트로 이전부터 있으나 끌 수 있던 GOS가 오프 불가로 바뀐 건 전작도 다 똑같아졌습니다.
지금 GOS를 게임에서 못 끄니까, 벤치마크에 그럼 GOS가 들어가면 어떻게 되는데? 하고 실험한 결과들입니다.
통녹과 삼페의 갤럭시
착하고 순수한 클량인?
뭔가 좀 구리하네요.
한마디로 광고 효과있는 벤치땐 클럭 제한 풀고. 배터리 테스트엔 클럭 제한 앱도 포함됐을테고.
과거 갤럭시때 벤치 부스터 치팅보다 더 전략적인건데
이건 치팅이 아니다. 다른 회사처럼 부도덕한게 아니라며 다르에 받아들여야 한다고 실드하셨던 분들.,..
애플 배터리 게이트땐 왜그리 나라라도 망한듯 걱정해주셨을까요..
게임 앱들은
기계적으로 gos 적용되고 (우회 불가)
일반 앱들은
갤럭시 동작 모드 설정에 따라서
gos가 적용 on/off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 일반 앱의 목록도 list로 관리...)
동작 모드를 '최적화'로 놓으면 list에 있는 일반 앱에 gos 걸리고
동작 모드를 '높음' (or 속도 우선 or 최대)으로 놓으면 일반 앱은 정상 속도로 동작한다고 합니다.
배터리와 발열이 더 중요한 분들은 '최적화' 모드로 쓰시고
빠릿한 반응과 쾌적한 사용감을 원하시는 분들은 '높음' 모드로 쓰시는 게 좋습니다.
gos라는 서비스의 개입 범위가 생각보다 넓어서 놀랐습니다. ㅜㅜㅜ
원플러스가 일상 앱에는 제한 걸었다가 논란이 있던 걸로 기억하는데...
삼성도 비슷한 일을 해서 실망입니다. ㅜㅜ gos가 일상 앱까지 관리하고 있었으니 벤치마크 치팅이라고 불려도 될 듯 해요.
(동작 모드에 따른 gos 동작 방식과 적용 범위를 제대로 안내해주지 않았기 때문에요)
글죠.. 높음이나 최대로 놓는 순간 그라파이트 단 한장인
S21 시리즈는 .. 엄청난 발열이 생겨요 ㄷㄷ
ㅜㅜㅜ 플러스는 베챔 있다지만
(다른 스펙까지 보면) 울트라 아닌 기종 들은... 플래그십인 S 시리즈가 맞나 싶군요. ㅜㅜㅜ
노멀 유저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
전 21+ 입니다 ㅜㅜ 너무 뜨거워서 보드만 두번 갈았죠
- 1차원적인 작동 로직 (온도나 기기 상태 관련 없이 앱 이름 보고 작동)
- on/off 불가 (이전에는 on/off 가능한 수단이 있었으나 안드12 gos부터 막힘)
- 사전 고지 똑바로 안 함 (절전 & 발열과 관련된 옵션이 있는 건 좋지만... 내용을 똑바로 고지 안 해서 성능 손해보고 쓰던 유저가 짱짱 많음)
3가지 잘못이 모두 모여서 만들어진 촌극이라고 보입니다.
결국 샘성의 일처리 방식에 잘못이 있던 거죠...
통수도 이런통수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순식간에 삼성 최강성능폰이 되버렸군요
원신벤치로 돌려봤는데 큰차이 없었습니다.
타 커뮤에서도 s20fe 적용 안된 결과 나온분들 있더라구요
제품사자마자 통수 맞으니까 얼얼하네요.
qled도 그렇고 사기만 치지
공돌이 정신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