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밀리터리당 ·굴러간당 ·아이포니앙 ·주식한당 ·MaClien ·자전거당 ·방탄소년당 ·나스당 ·밀리터리당 ·일본산당 ·바다건너당 ·안드로메당 ·소셜게임한당 ·골프당 ·노젓는당 ·가상화폐당 ·개발한당 ·키보드당 ·땀흘린당 ·콘솔한당 ·PC튜닝한당 ·냐옹이당 ·갖고다닌당 ·날아간당 ·리눅서당 ·육아당 ·이륜차당 ·레고당 ·꼬들한당 ·사과시계당 ·클다방 ·퐁당퐁당 ·덕질한당 ·VR당 ·걸그룹당 ·야구당 ·방송한당 ·소시당 ·IoT당 ·포뮬러당 ·디아블로당 ·와인마신당 ·DANGER당 ·패스오브엑자일당 ·찰칵찍당 ·시계찬당 ·3D메이킹 ·축구당 ·테니스친당 ·맛있겠당 ·임시소모임 ·캠핑간당 ·안경쓴당 ·라즈베리파이당 ·그림그린당 ·전기자전거당 ·요리한당 ·e북본당 ·스팀한당 ·LOLien ·뽀록이당(당구) ·빨콩이당 ·스타한당 ·패셔니앙 ·대구당 ·뚝딱뚝당 ·젬워한당 ·총쏜당 ·물고기당 ·어학당 ·블랙베리당 ·심는당 ·미끄러진당 ·소리당 ·노키앙 ·WOW당 ·나혼자산당 ·터치패드당 ·가죽당 ·X세대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곰돌이당 ·블록체인당 ·보드게임당 ·활자중독당 ·볼링친당 ·문명하셨당 ·클래시앙 ·쿠키런당 ·개판이당 ·동숲한당 ·날아올랑 ·이브한당 ·도시어부당 ·FM한당 ·차턴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인스타한당 ·KARA당 ·Mabinogien ·미드당 ·땅판당 ·헌팅한당 ·오른당 ·영화본당 ·MTG한당 ·적는당 ·소풍간당 ·품앱이당 ·리듬탄당 ·Sea마당 ·SimSim하당 ·심야식당 ·윈태블릿당 ·파도탄당 ·테스트당 ·공대시계당 ·여행을떠난당 ·트윗당 ·창업한당 ·WebOs당 ·윈폰이당
© CLIEN.NET
공지오늘 밤 0시부터 약 15분간 서버 점검이 있습니다. 더보기
l

팁과강좌

기타 원가절감의 정석: 제품 디자인 86

255
닭나루
57,426
2021-11-17 23:54:48 58.♡.97.79


이 글은 다음 동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


awdacx.PNG


문을 고정하는 래치를 예로 들면서 시작합니다.

이 제품은 5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립 과정에 2번의 방향 변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나사와 스프링, 그리고 와셔를 필요로합니다.


2.png


동영상에서는 조립을 두 명의 사원에게 직접 시켜봅니다. 약 50초가 걸렸습니다.

조립이 느리기 때문에 조립 노동자를 고용해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들여 숙련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 제품은 경쟁에서 밀리고 있었습니다.

경쟁에서 밀리면 회사는 주로 원가절감의 길을 택하지요.


가장 먼저 그들은 더 싼 스프링, 더 싼 나사, 더 싼 와셔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 펠릿 공급하는 업체에게 더 지금의 50% 가격에 납품해달라고 했지요.


영업사원: "하지만 50%는 저희 마진률을 넘습니다. 더 싼 가격에 공급할 수 없어요"

문 부품 회사 구매 담당: "못하면 계약 끊을겁니다. 알아서 하세요"


그래서 영업사원은 사장님께 그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영업사원: "사장님, 문 부품 회사에서 저희 납품가를 50%로 낮추지 못하면 계약을 끊는답니다. 어떡하죠?"

사장: "그렇게 해."

영업사원: "하지만 그러면 저희가 마진을 못 내지 않습니까?"

사장: "건조과정 빼고 납품하면 무게가 늘거야. 가격도 싸지고. 거기서 그런거 신경을 쓰나?"


대답은 ;아니오' 입니다. 왜냐면 구매 담당 직원은 자신의 일을 했기 때문입니다. 

가격을 50% 싸게 만든 불가능한 요구를 듣게 만들었으니까 아주 훌륭하게 한 것이죠.


이제 펠릿은 물이 있는 상태로 공장에 도착합니다.

펠릿이 젖어있으면 플라스틱 사출 퀄리티가 떨어집니다.


원가절감은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스크류는 규격이 다르지만 더 저렴한것을 칠레에서 수입하기로 합니다. 

규격이 다르니 조립을 못하네요? 그래서 조립 노동자들에게 스크류를 깎으라고 시킵니다.


대만에서 세일하던 와셔가 도착했습니다. 구멍이 없네요. 

"왜 와셔에 구멍이 없지요?"

"아 구멍있는 와셔를 원하세요? 그거는 더 비싸요"  [실화라고 합니다] 


스프링은 어떻게 더 싸게 만들었을까요?

스프링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스프링을 벌크로 구매했다고 합니다.


3.PNG


조립 노동자는 어떻게 했을까요? 그냥 저 뭉치를 흔들어서 밑으로 떨어진것을 사용하고, 남은 뭉치는 버렸다고 합니다.



회사는 이렇게 망한다고 합니다.

제품에 부품이 너무 많고, 

과정이 너무 많고,

단시야적인 가격 절감을 하며, 

실제로 돈이 어디에, 왜 사용되는지에는 별로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실수는 총 비용 대신, 각 부품의 비용을 절감하려는 데에서 발생합니다.


44.PNG

총 비용 절감은 보통 제품 디자인의 변경을 수반합니다.

먼로 아저씨가 좋아하는 규칙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1. 이 부품이 진짜로 움직여야 하는가?

2. 이 부품이 다른 부품과 다른 재질로 만들어져야만 하는가?

를 묻고, 그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제거하라는 규칙입니다.

추가적으로 스프링, 스크류, 벨트처럼 생긴 것은 모두 제거하라 입니다.


11.PNG


다시 이 설계를 봅시다. 

레치부분이 진짜로 움직여야 할까요?

네. 움직여야됩니다. 그검 그 부품은 남아있을 수 있겠네요.


일단 스크류랑 와셔는 없애야 겠네요. 

그리고 스프링이 남습니다. 스프링이 꼭 금속으로 만들어져야 할까요? 아닙니다.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로 플라스틱 부품을 설계하면 됩니다.


그러면 꼭 필요한 부품의 수는 2개네요. 


55.PNG


이 디자인은 솔직히 쉽습니다. 제품 디자인을 조금만 했으면 금방 생각해낼 만한 아이디어입니다.

그러나 그 회사는 15년간 이전 디자인을 유지해왔다고 합니다.


이렇게 쉬운 가격 절감 방법이 있는데 왜 그 회사는 15년동안 못 했을까요? 시도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6.PNG


직접 조립을 해보니 가장 못한 사람이 12초가 걸렸습니다.

이 디자인은 조립 노동자가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숙련 기간이 없습니다. 


2 - ???.png






77.PNG


지금 까지는 제품 디자인만 이야기했습니다.

일단 제품 자체가 저렴해졌고, 성능과 내구성도 올라갔습니다.


이런 제품의 변화는 공장의 변화로 이어집니다.


8.PNG


이전 공장은 사출기, 조립라인, 그리고 금속 부품 재고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있어야 합니다.

다자인 변경 후 금속 부품 재고가 없어집니다. 

조립라인? 조립 시간과 사출기가 찍어내는 속도가 비슷해 라인을 위한 공간도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이러어져, 사출기에서 나오는 두 부품을 받아서 조립 후 박스에 넣으면 끝나지요. 


이렇게 제품 디자인 변경은 공장 설비, 면적, 재고, 인건비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9.PNG


이런 디자인 규칙을 적용한 한 예입니다.

자동차 뒷유리 와이퍼.

이전 디자인은 다수의 스프링, 플라스틱 부품, 스크류가 필요합니다.

새로운 디자인은 한번의 인젝션 몰딩으로 출력되고, 유리와 닿는 부분에 고무를 껴주면 됩니다.


하지만 이 디자인은 제품에 적용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왜냐면 회사에서 지금까지 해온 방식을 바꾸기 싫어했기 때문입니다.


10.PNG


그러면서 도요타 사장이 본인에게 한 말을 보여줍니다. 

끊임없는 제품 개선은 현재의 성공의 이유이자 목표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먼로 아저씨는 물려받은 아들/손자는 저걸 따르지 않는 것 같다고 한탄을 하네요.



이후 영상에서는 이와 같은 몇가지 예시를 더 들고, 일론 머스크의 5가지 디자인 철학을 소개합니다:




1. 요구사항을 덜 멍청하게 만들어라

누가 요구했는지와 상관 없이 모든 요구사항은 멍청할수밖에 없습니다. 똑똑한 사람이 요구사항을 줬다면 그건 더 안좋습니다. 왜냐면 요구받는 사람이 충분히 질문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사람이 일단 틀렸다고 생각하고 시작하는게 중요합니다. 

"모든 다자인은 잘못된 디자인입니다. 그저 잘못된 정도가 다를 뿐입니다."


2. 과정이나 부품을 없애기 위해 매우 노력해라

10%의 시간을 이미 없앤 부품을 다시 넣는데에 투자하지 않으면, 부품을 충분히 많이 없애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엔지니어링 과정은 주로 새로운 부품을 넣는 쪽으로 치우치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부품을 없애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이나 프로세스의 추가는 "부서명" 이 아니라 "사람 이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추가의 이유에 대해 부서에 물어보는건 힘들지만, 사람에게 물어보는건 쉽기 때문입니다. 

(1년동안 일한 인턴이 추가한 부품/프로세스때문에 공장이 늦어지는 경우는 아무도 원치 않는다고 말합니다.)


3. 디자인의 최적화, 단순화 작업

이 단계는 1,2 를 거치고 진행되어야 합니다. 왜냐면 많은 인력이 존재하지 않아야 할 것을 최적화하는데에 낭비되기 때문입니다.


4. 1, 2, 3까지의 사이클을 빠르게 반복할 수 있도록 회사 구조를 개선해라.


5. 자동화

중요한 점은 (하드웨어 생산에서)프로세스가 잘 동작한다면, (하드웨어 생산에서)프로세스 중간중간 테스팅 하는 과정을 없애야 한다고 합니다.



안 좋은 원가절감은 소비자에게 안좋지만, 회사에 특히 안좋습니다. 

회사들이 안좋은 원가절감 하지 않기를 바라며 글 써봅니다..ㅠ


닭나루 님의 게시글 댓글
SIGNATURE
부패는 전염된다.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255명
댓글 • [86]
을 클릭하면 간단한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메모동기화
모넬라
LINK
#130244255
IP 112.♡.148.121
21-11-18 2021-11-18 00:08:53
·
좋은글 감사합니다.
피켈
LINK
#130245339
IP 175.♡.87.240
21-11-18 2021-11-18 01:42:39 / 수정일: 2021-11-18 01:44:23
·
ABS 뒷바퀴 휠센서 얼마전에 갈았는데 아세이 통채로 팔더라고요.
다른차는 휠센서 저렴한데 제 차는 비싸게 통으로 갈았습니다.
부품수를 줄이면 수리할때 고장나지 않은 부위까지 교체해서 더 비싼 경우도 있네요.
4fifty5
LINK
#130246676
IP 12.♡.24.194
21-11-18 2021-11-18 07:15:39 / 수정일: 2021-11-18 07:17:45
·
@피켈님 수리비용이 과다 -> 고객불만 -> 브랜드 충성도 약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데이터로 증명되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즉, 피켈님이 겪으신 브랜드는 (1) 브랜드 충성도가 그깟 과다 수리비용 정도로는 꿈쩍하지 않을 정도로 높거나 (예: 애플 휴대용 기기들),
(2) 브랜드 충성도 약화의 원인을 조사하지 않았거나 둘중 하나입니다.
M4XiMUEL
LINK
#130247450
IP 118.♡.45.144
21-11-18 2021-11-18 08:17:10
·
@피켈님 그것은 부품수를 줄인것이 아니라 공정과 유지보수만 단순화 했기 때문입니다. 최고의 원가절감이죠.
스노로이
LINK
#130247558
IP 211.♡.43.136
21-11-18 2021-11-18 08:22:06
·
@피켈님
이게 보통은 단품단위로 공급이 가능한데,
재고와 물류관리 측면에서 세세하게 나누면 비용이 드니
회사입장에서만 저렴한 방법으로 공급을 해서 그런 이유가 큰거 같습니다.
연식이 변경될수록 부품조회를 해보면 덩어리가 커지고 있어요
베네일
LINK
#130248236
IP 106.♡.177.194
21-11-18 2021-11-18 08:53:59
·
@피켈님 그 한 부분을 수리하는데 통채로 교환해서 수리비가 많이 나올 수 있지만,
수리를 위해서 그것을 개별조립하는 공정을 차 생산과정에 넣는다면
차량 생산비용이 높아져 차량가격이 높아지지 않았을까요?
4fifty5
LINK
#130248535
IP 75.♡.17.214
21-11-18 2021-11-18 09:06:57 / 수정일: 2021-11-18 09:09:23
·
@베네일님 그래서 모듈화하는 경우 수리할때는 모듈의 구성부품을 개별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하곤 합니다. 그래서 자동차 제작공장은 항상 모듈만 받고, 그것만 장착하지만, 수리용으로는 개별 부품들이 공급되는 방식이지요. 스노로이님의 설명이 이것입니다.
하..나
LINK
#130249255
IP 210.♡.223.46
21-11-18 2021-11-18 09:36:29
·
@피켈님
"회사에 좋은 원가절감"은 대체로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원가 절감"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 가능성이 높은 이유 중 하나가 '원가 절감과 유지보수 편의를 위한 모듈화' 때문이죠.
회사에는 아주아주 좋지만, 소비자에게는 썩 좋을 게 없는 것이죠.
라젠카의역습
LINK
#130245530
IP 125.♡.95.168
21-11-18 2021-11-18 02:07:32
·
아주 좋은 글이네요
햇살아이
LINK
#130245841
IP 122.♡.68.230
21-11-18 2021-11-18 03:25:10
·
전 1.5달러를 더 낼테니 스프링있는걸로 주세요
요
Heavenly breeze
LINK
#130246088
IP 112.♡.56.167
21-11-18 2021-11-18 05:26:12
·
고맙습니다.
Realtime
LINK
#130246128
IP 76.♡.148.23
21-11-18 2021-11-18 05:41:59
·
미국 제조업체들과 직간접적으로 같이 일하는데, 어찌나들 카이젠 카이젠 노래를 부르던지... 일본 제조업의 신화는 아직 잊혀지지 않았구나 싶더군요. 그러나 토요타의 현실은....
땅콩버러
LINK
#130248787
IP 121.♡.5.211
21-11-18 2021-11-18 09:17:39
·
@Realtime님 카이젠이 뭐예요??
전환사채콜옵션
LINK
#130248924
IP 1.♡.96.50
21-11-18 2021-11-18 09:23:19
·
땅콩버러님// 개선의 일본어입니다.
/Vollago
Valhalla
LINK
#130260119
IP 223.♡.28.192
21-11-18 2021-11-18 15:20:51
·
@Realtime님 도요타는 여전히 시총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기준에서 자동차 업계 킹왕짱이고 심지어는 비IT 제조업 전체로 확장해도 짱 먹는 회산데 현실에 무슨 문제가 있나요..?
Realtime
LINK
#130274937
IP 76.♡.148.23
21-11-19 2021-11-19 01:36:55 / 수정일: 2021-11-19 01:37:10
·
@Valhalla님
큰 회사치고 이런 짓 안 하는 회사 없다고 한다면 할 말 없겠습니다만, 카이젠이나 혁신적인 모습으로 회자 되는 회사로써 이런 모습은 유감스런 부분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https://electrek.co/2021/11/11/how-toyota-sneakily-spreads-anti-ev-propaganda-in-japan/
4fifty5
LINK
#130246207
IP 12.♡.24.194
21-11-18 2021-11-18 06:03:03 / 수정일: 2021-11-18 06:30:44
·
제가 알아야 할 좋은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개선활동에 따라오는 위험이 용납되지 않는 회사 문화입니다. 개선의 과실은 날로 먹으면서, 개선하기 위해 뭔가 바꾸고 새로 개발하면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실패는 네가 시작했으니 너 혼자서 수습하라고 질책한다면 사람들이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꺼리지요.
사과분
LINK
#130246535
IP 1.♡.84.235
21-11-18 2021-11-18 07:00:46 / 수정일: 2021-11-18 07:00:59
·
@4fifty5님 바꿔서 문제 생기면 다 덮어 쓰는데.... 실적대로 갑시다. 아무 문제 없던거자나요 ㅎㅎ.
삭제 되었습니다.
퐁팡핑요
LINK
#130246454
IP 175.♡.37.62
21-11-18 2021-11-18 06:47:01
·
출근길에 좋은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래비티
LINK
#130246475
IP 220.♡.217.232
21-11-18 2021-11-18 06:50:41
·
좋은 글, 정말 감사합니다^^
FCBGA
LINK
#130246566
IP 61.♡.75.86
21-11-18 2021-11-18 07:05:43
·
좋은글 감사합니다.
솜브레로
LINK
#130246584
IP 211.♡.170.22
21-11-18 2021-11-18 07:08:00
·
잘못된 원가절감을 수행한 주관부서의 변명이 벌써부터 들리네요. :)
1. 이렇게 (폭넓게) 조사할 시간이 없어요.
2. 관련부서에 요청했는데 답이 안왔어요.
3. 일정과 목표치는 정해져있으니 목표 안에서 최선을 다했습니다.
4. 타 사업부에서도 진행한 방식을 참고했습니다.(저만 이렇게 한거 아닌데요)
아발론
LINK
#130246604
IP 94.♡.92.153
21-11-18 2021-11-18 07:09:21
·
키보드가 저런 케이스 아닌가요? 스위치를 멤브레인 필름으로 대체해버려 가격과 성능을 동시에 낮춘...
키보드 본연의 역할은 잘하지만...
쩌대기
LINK
#130253307
IP 121.♡.10.164
21-11-18 2021-11-18 11:36:32 / 수정일: 2021-11-18 11:37:28
·
@아발론님
그 성능은 일반 사람은 필요로 하지 않는 성능이죠.
그리고 만원도 안하는 가격은 모두에게 축복입니다만…

매우 훌륭한 원가절감 사례인 것 같네요.
이글에서 예시로 써도 될정도로요.
magicriver
LINK
#130246610
IP 106.♡.0.155
21-11-18 2021-11-18 07:09:34 / 수정일: 2021-11-18 07:09:38
·
개선을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가 필요하죠.
SPACEBALLS
LINK
#130246954
IP 61.♡.169.38
21-11-18 2021-11-18 07:42:31
·
최고 엔지니어겸 CEO인 사람이 공장라인에서 먹고자고 살다시피 하면서 개선할 부분을 찾던 어느 회사가 떠오르네요.
신의한수
LINK
#130250438
IP 123.♡.9.154
21-11-18 2021-11-18 10:15:46 / 수정일: 2021-11-18 10:16:30
·
@SPACEBALLS님
당시에 개발 일정 못 맞췄다는 이유로
모공에도 사기꾼이라는 비난이 넘쳐 났던 어떤 회사 같네요.
빨간LED
LINK
#130247253
IP 125.♡.225.181
21-11-18 2021-11-18 08:04:29
·
제조업 뿐 아니라 다른데서도 통할 말이네요.
Yunapapa
LINK
#130247264
IP 150.♡.80.253
21-11-18 2021-11-18 08:05:10
·
토요타의 경운 모듈화해서 부품값이 엄청나다입니다. (경험담)
모터하나 2000엔이면 사는거 모듈화되서 6만엔짜리로 둔갑 개인이 2시간들여 수리가능한 부품이 똑같은 2시간으로 30배이상 차이나는 수리비....
개선은 중요하나 적절한 균형이 더 중요하죠
아이포린
LINK
#130249090
IP 39.♡.245.219
21-11-18 2021-11-18 09:30:26
·
@Yunapapa님 소비자를 위한 개선이 아니니까요;;
77맞은NOM
LINK
#130247309
IP 27.♡.23.167
21-11-18 2021-11-18 08:08:08
·
비용절감과 노동자의 갭을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는 좋은 글 입니다. 고맙습니다
cepren
LINK
#130247330
IP 223.♡.184.54
21-11-18 2021-11-18 08:09:07
·
먼로 디자인. 일론 머스크 디자인 철학
좋은 글 감사합니다
불취무귀
LINK
#130247617
IP 175.♡.230.240
21-11-18 2021-11-18 08:24:55
·
팀쿡: 어썸 !!
평범한개발자
LINK
#130247679
IP 211.♡.89.212
21-11-18 2021-11-18 08:28:10
·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저런 내용이 들어간 추천할 만 책이 있을까요?
보이드녹스
LINK
#130248211
IP 125.♡.45.34
21-11-18 2021-11-18 08:53:16
·
1, 2는 UI/UX쪽에도 해당되는듯하네요~
그렇게흘러가더라
LINK
#130248279
IP 59.♡.205.159
21-11-18 2021-11-18 08:55:22
·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단바람
LINK
#130248460
IP 121.♡.160.224
21-11-18 2021-11-18 09:03:52
·
키보드에도 대입할 수 있겠네요.

개별 스위치 방식의 기계식 키보드 >> 접점과 스프링이 한장의 막으로 대체된 맴브레인 키보드가 엄청난 가격 차이로 키보드 시장을 압살..

하지만 인류는 다시 기계식을 그리워하게되고 세상에는 플런저 키보드라는 끔찍한 혼종이 나오게 되는데..
베네일
LINK
#130248553
IP 106.♡.177.194
21-11-18 2021-11-18 09:07:32
·
저는 관리부서라 회사 내 업무프로세스 개선 역할도 담당하고 있는데, 사내 업무프로세스 개선도 동일합니다.
불필요한 경로가 있어서 기능적인 분할이나 통합을 하면 업무플로우가 훨씬 간결해짐에도 불구하고
'그냥 하던대로 해' '바꾼다고 뭐가 나아져?' 라는 저항때문에 조직개선이 어렵습니다.
특히 경영진이 꽉 막혀버린 경우에는... 결국 내가 힘든거 아니니까... 로 자위하며 넘어가는 경우가 태반이네요
얼라리요
LINK
#130250276
IP 118.♡.49.41
21-11-18 2021-11-18 10:10:36
·
@베네일님 그래서 마지막 결론이 다들 '시킨대로, 시킨 것만 한다'로 고착되고 이렇게 하는 분들이 살아남죠.
욜로합시다
LINK
#130248572
IP 106.♡.142.129
21-11-18 2021-11-18 09:08:25
·
제품을 잘 만들어서 잘 팔리고 이익이 생기면 그 제품 만든사람을 자르고 월급 후려치는게 그 다음 원가 절감이죠.
핏짜
LINK
#130248623
IP 219.♡.107.252
21-11-18 2021-11-18 09:10:34
·
재밌고 유익한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욜로합시다
LINK
#130248753
IP 106.♡.142.129
21-11-18 2021-11-18 09:16:20
·
아 이거 테슬라인가요? 차 불량 많이나고, 부품값 비싸기로 유명한 테슬라가??
땅콩버러
LINK
#130248812
IP 121.♡.5.211
21-11-18 2021-11-18 09:18:11
·
@욜로합시다님 ㅋㅋㅋㅋㅋ
isfdd
LINK
#130253344
IP 211.♡.9.69
21-11-18 2021-11-18 11:37:37
·
@욜로합시다님 소비자한테 좋은 내용은 아닙니다. 회사한테 좋은 내용이죠
욜로합시다
LINK
#130255947
IP 106.♡.142.129
21-11-18 2021-11-18 13:05:49
·
@호주산쇠고기님 회사에 좋은거면 저렇게 공개안합니다.
isfdd
LINK
#130257927
IP 39.♡.46.19
21-11-18 2021-11-18 14:10:02
·
@욜로합시다님 원가절감 얘기입니다
아이포린
LINK
#130248883
IP 39.♡.245.219
21-11-18 2021-11-18 09:21:34
·
전에도... 어런류의 글에 댓글을 단 적이 있는데요
사실상 산업공학 특히 품질경영측면에서 사용되는 격언입니다.
딱히 특별할게 없어요..
진짜 문제는 상품기획단계에서 이런 격언들은 무너지고
결국 돌아가게 됩니다.
danielko
LINK
#130248933
IP 175.♡.204.137
21-11-18 2021-11-18 09:23:34
·
효율화의 중요성이 와닿는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뭉탱이
LINK
#130249059
IP 61.♡.227.186
21-11-18 2021-11-18 09:29:02
·
오래전 인쇄소에서 일할 때 고객이 데이터를 접수하면 접수자들이 앉아서 데이터가 문제없는지 확인하고
일러스트레이터 (AI, EPS) / 코렐드로우 (CDR) 파일로 저장하면 서버에서 PDF 파일로 변환하고 조판하는 프로세스로 일이 진행되더군요..

접수자가 바로 PDF 파일로 저장하면 될 일이 아니냐고 제안하니
"그러다가 문제 생기면 니가 책임질래??"
하길래 그 이후로는 말을 안했습니다..

약 4년 후에 접수자가 PDF 저장하는 방식으로 바뀌더군요.. -0-;;;
삭제 되었습니다.
hyundai
LINK
#130249077
IP 175.♡.221.232
21-11-18 2021-11-18 09:29:32
·
현실과 이상의 괴리네요.
결국엔 결정권자가 저것들을 수용할 수 있는 똑똑한 사람이냐,
아니면 그냥 멍청한 사람이냐의 차이일 것 같습니다.

의외로 어느 집단이든 수장이 정말정말 중요하더군요.
돼지털세상
LINK
#130249158
IP 61.♡.16.173
21-11-18 2021-11-18 09:32:58
·
결정권자의 서포트와 과감한 이행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 같아보이네요. 그런데...위에 어느분 말대로, 개선이 반듯이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개선은 구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빅머니
LINK
#130249198
IP 61.♡.186.175
21-11-18 2021-11-18 09:34:08
·
예전에 모 코스닥 기업에서 몇 달 일한 적이 있는데, 연구개발부서와 생산부서, 영업부서가 따로 놀더군요.
실적만 따지는 영업부서는 해외 고객사로부터 말도 안 되는 스펙의 제품을 수주해와서 연구소에 무조건 제품 개발하라고 쪼고, 연구소는 그 말도 안 되는 걸 억지로 만들다 보니 도저히 생산 수율이 안 나오는 제품을 개발한 뒤 자기들은 할 일 다 했다 하고, 생산팀은 당연히 수율이 안 나오니 이상한 데서 비용을 줄이려고 해서 회사가 순식간에 휘청거렸습니다.
그래도 얼마 뒤 업황이 엄청나게 좋아진 덕에 어찌어찌 살아남아 지금은 꽤 큰 회사가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피해는 임원들이 아니라 해고당한 직원들의 몫이었던 터라 기분이 씁쓸합니다.
클럽맨
LINK
#130250040
IP 221.♡.144.253
21-11-18 2021-11-18 10:03:03
·
@빅머니님 대기업도 더하면더 했지 덜하진 않습니다.
원더랜드
LINK
#130249565
IP 211.♡.148.68
21-11-18 2021-11-18 09:47:11
·
좋은글 감사합니다. 오래도록 읽도록 하겠습니다
도시
LINK
#130249592
IP 221.♡.50.206
21-11-18 2021-11-18 09:48:02
·
설계 뿐만 아니라 모든 운영시스템에도 동일합니다.
또한 효율화 뿐만 아니라 부정부패한 일에도 동일합니다.

그냥 위에서 알려준대로 하고...그 일에 정확한 목적이나 그 일이 왜 생겼는지에 대해 제대로된 설명없이...그냥 하라라고만 내려오죠. 누군가 비판하거나 개혁할려면...그 잘못된 시스템에 맞춰서 자기 이익이나 조직의 이익을 회사의 이익이나 사회 이익에 반하여 조정하고 맞춰져서...보통 니가 잘모르는 복잡한 것이 있다는 둥의 핑계를 내놓지만...그냥 썩은거고 비효율적인거죠. 그래서 설계도 효율화하기 힘들고 개혁도 마찬가지로 힘들죠.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이나 한심한 것은 마찬가지이고 때로는 그 썩어빠진 군대시스템보다 못하게 운영되며 보통 최고 결정권자가 예스맨을 선호하는 경우 더 심해지죠.
Nera
LINK
#130249639
IP 125.♡.110.46
21-11-18 2021-11-18 09:50:00 / 수정일: 2021-11-18 10:04:11
·
이러다 뭔 문제하나 생기면 제안한 사람이 다 뒤집어쓰죠. 다들 체감해서 알면서도 서로 안하려고 하는거죠. 왠만한 사람들은 문제가 뭔지도 알고 어떻게 개선해야하는지 대충 알아요. 하지만 함구합니다.
경영자마인드가 중요한 이유죠.
클럽맨
LINK
#130250049
IP 221.♡.144.253
21-11-18 2021-11-18 10:03:34
·
@Nera님 그렇죠.
히즈히즈
LINK
#130249863
IP 223.♡.90.100
21-11-18 2021-11-18 09:57:06 / 수정일: 2021-11-18 10:03:28
·
좋은 글 감사합니다! 디자인은 폭넓은 범위를 지칭하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나무를키워요
LINK
#130249991
IP 118.♡.212.61
21-11-18 2021-11-18 10:01:42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클럽맨
LINK
#130250007
IP 221.♡.144.253
21-11-18 2021-11-18 10:02:11
·
정확하게 얘기하면 설계(도면) 변경이네요.
삼백야드
LINK
#130250472
IP 1.♡.136.246
21-11-18 2021-11-18 10:16:52
·
국내자동차회사면 무게절감만큼 납품단가를 후려칩니다.
Minch
LINK
#130250491
IP 82.♡.120.120
21-11-18 2021-11-18 10:17:28
·
먼로 아저씨가 하는 메인 레파토리 강의를 잘 번역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혼동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자동차 업계 특히 독일쪽에서는 디자인을 엔지니어링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샌디먼로의 철학이 비슷하게 적용되는게 테슬라이기도 하지요..
그의미소
LINK
#130250632
IP 223.♡.175.162
21-11-18 2021-11-18 10:22:04
·
신제품 디자인 중에
좋은글을 읽게되었습미다^^

많은 도움이 되어서 감사합니다~~~
날인
LINK
#130250752
IP 27.♡.242.80
21-11-18 2021-11-18 10:25:36
·
제조쪽에서는 나사 하나 더 박는게 돈이라서 나사 하나 빼는 조립에 대해서 좋아하더라구요..
Kieth
LINK
#130250826
IP 125.♡.124.15
21-11-18 2021-11-18 10:28:02
·
전체는 부분의 합이지만, 부분의 합만은 아니다.. 라고 얘기해주셨던 분이 생각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푸에르토
LINK
#130250845
IP 70.♡.193.81
21-11-18 2021-11-18 10:28:30
·
한편으론 이전에 문제없던 디자인을 새로 원가절감한다고 디자인 변경할 경우에 리스크도 많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결국 모든 케이스를 다 생각하기가 어렵거든요. 충분한 테스트 시간이 필요하고, 서두르다 보면 중요한 실수를 하고, 결국 푼돈 원가 절감하려도 망하는 시스템이 한 둘이 아니거든요.

결국, 디자인 혁신과 꼼꼼한 테스트 둘 다 중요한데.. 다 잘하기가 쉽지않죠. 그걸 다 잘했으면 지금 전 세계 자동차 회사들이 다 도요타 같은 회사가 되었겠죠.
kimcaptin
LINK
#130250861
IP 175.♡.10.134
21-11-18 2021-11-18 10:28:56
·
거의 강의수준입니다
감사합니다
럭파
LINK
#130250975
IP 61.♡.64.155
21-11-18 2021-11-18 10:31:37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지우당
LINK
#130251309
IP 61.♡.124.17
21-11-18 2021-11-18 10:40:00
·
월드워Z에서 이스라엘 최고위층 9명의 결정 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죠.

오래전이라 잘 기억이 안나지만 대충의 내용이...


9명중 1명은 끊임 없이 반대만 한다고.

8명이 그 반대를 설득 시키지 못하면

1명이 말하는 그 반대를 따라야 한다는 장면 보고

놀랬던 적이 있었습니다.
Chou Tzuyu
LINK
#130251399
IP 118.♡.101.81
21-11-18 2021-11-18 10:42:52
·
일론머스크의 철학이라지만...
테슬라의 마감 품질 보면 저게 꼭 답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Altery
LINK
#130251702
IP 1.♡.252.131
21-11-18 2021-11-18 10:50:50
·
좋은 글 감사합니다.
꼭 제조업에만 해당되는 일이 아니라는 것도 많이들 아셨으면 좋겠네요
JHJU바라기
LINK
#130251741
IP 121.♡.82.33
21-11-18 2021-11-18 10:51:39
·
스크랩 합니다. 소개 감사드립니다.
삭제 되었습니다.
co-simpler
LINK
#130252139
IP 210.♡.241.230
21-11-18 2021-11-18 11:03:10
·
검증이 쉽고 완벽하다면 누구나 설명대로 하겠죠. 테슬라도 대량 생산체제가 완성되어 본 궤도에 오르면 리스크있는 도전은 쉽게 하지 못할 겁니다.
New댜넬
LINK
#130253399
IP 219.♡.225.19
21-11-18 2021-11-18 11:38:50
·
@co-simpler님 이미 대량생산체제가 완성되었는데
지금도 꾸준히 변경이 들어갑니다.
yiri
LINK
#130252896
IP 223.♡.202.174
21-11-18 2021-11-18 11:24:48 / 수정일: 2021-11-18 11:31:15
·
원가절감이 이윤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니 망하는거죠 관행대로 조직은 돌아가고 납품조건만 강제화 시키니 발주 조건만 충족 될뿐 물건으로썬 가치를 못하는 결과가 생깁니다

검증 안된 부속이 결함으로 이어지고 먹는걸로 장난치더라도 임원들 연봉과 성과급은 따박따박 챙겨드려야 하니 1원 한푼까지 후려칠려고 뜯어 고치고 포장 하는거지요
그렇게 포드가 망하고 IBM도 무너지고 인텔이 맛탱가더라도 임원들은 더 부자가 됬습니다

그럼에도 영미형 시장 자본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금융 혁신만 떠받들여지고 있으니 엔지니어링 측면에선 납기만 맞출뿐 개발에 대한 열의가 없어질수 밖에요 일본만 보더라도 그렇게 잘만들다가 관료주의에 쩌들어 망해가고 있죠
파염소
LINK
#130253270
IP 112.♡.41.191
21-11-18 2021-11-18 11:35:46
·
아주 좋은 글 이네요.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몸튼튼맘튼튼
LINK
#130253526
IP 112.♡.3.51
21-11-18 2021-11-18 11:42:50 / 수정일: 2021-11-18 11:43:07
·
저희 회사는 그분이 모르겠고 그냥 해 라고 하시네요.
ㅡ0ㅡ아~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마르마르
LINK
#130253677
IP 221.♡.44.73
21-11-18 2021-11-18 11:46:55
·
내용에 동의하고, 당연히 모든 직원이 열의를 가지고 개선을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다만, 작년엔가 있었던 지하주차장 테슬라 추돌 사고 시 문이 안열렸던 경우처럼,
무조건 개선이 최우선은 아닙니다. 안전이 최우선이 되어야죠.

테슬라 자동차가 기존 자동차를 많은 부분 개선한 것 같긴 하지만,
기존 자동차 산업의 경험에서 오는 안전주의도 함께 가져갔으면 좋겠네요.
ZiNt
LINK
#130254101
IP 211.♡.151.46
21-11-18 2021-11-18 11:57:59
·
현실 회사에서 어려운 점을 짚자면…
빼는건 쉽지만 뺏다가 발생한 문제에 대한 책임이 발생하고
넣는것도 사유와 비용 책임을 지웁니다.
그러니 문제가 없으면 안빼고 유지하는거고 뺄수 있을지 문제가 될지 불확실하면 빼지 않는것이지요.
뺐다가 다시 넣는것도 매우 비난받는 행위가 됩니다.
이런게 이상적이고 좋은 회사라는건 아니고 그냥 일반적인 회사들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라는 거죠.
해방두텁바위
LINK
#130254292
IP 166.♡.5.147
21-11-18 2021-11-18 12:03:55
·
공부가 되는 좋은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정성글 덕에 많이 알아갑니다.
테라플롭스
LINK
#130254581
IP 61.♡.247.82
21-11-18 2021-11-18 12:15:25
·
스크랩 할께요~! 아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누
LINK
#130256842
IP 117.♡.15.211
21-11-18 2021-11-18 13:34:17 / 수정일: 2021-11-18 13:34:56
·
최대한 기성부품을 사용하고
기구 설계는 최대한 가공 원리를 이해한 뒤에 해야 합니다. (부품수 줄이기)
레벌루션
LINK
#130261267
IP 59.♡.18.10
21-11-18 2021-11-18 15:56:50
·
좋은글 감사합니다.
Rei+
LINK
#130266183
IP 223.♡.157.216
21-11-18 2021-11-18 18:38:45
·
좋은 글 감사합니다
/Vollago
Nicolas
LINK
#130298445
IP 182.♡.129.102
21-11-19 2021-11-19 19:59:38
·
배우고 갑니다.
kuns
LINK
#130310686
IP 118.♡.7.234
21-11-20 2021-11-20 11:29:14
·
좋은글 감사합니다. 스크랩할게요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