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글의 배경과 목적
오피스365 또는 원드라이브 클라우드를 구독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원드라이브에서 제공하는 앱을 보면 특정 폴더를 동기화 하는 순간 내 하드디스크의 용량도 같이 잡아 먹게되서
사실상 클라우드 백업기능이라 보기 어렵다고 느끼셨을 껍니다.
그래서 로컬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한 분들은 웹페이지에 로그인해서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하는데..
이것도 여간 귀찮은게 아닙니다.
그래서 자료를 찾아보니 아래 그림처럼 윈도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별도로 잡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림1 - 원드라이브를 데스크탑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잡은 상태 화면
다음은 이와 관련된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원드라이브 CID 값 추출하기
1.1 원드라이브 웹페이지에 로그인 합니다.
1.2 브라우저 주소의 CID값 추출
https://onedrive.live.com/?id=root&cid=XXXXXXXXXXXX
로그인한후 위 그림과 같이 URL에서 cid=XXXXXXXXXXXXX 라고 되어 있는 16자리 문자열을 복사해둡니다.
2. 탐색기를 열어 주세요.
탐색기의 '컴퓨터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합니다.
또는 탐색기의 "내 PC" 아이콘을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합니다.
그림2- 탐색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메뉴.
그림3- 탐색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설정 창
3. 원드라이브 위치정보 등록하기
아래 그림과 같이 폴더정보에 다음과 같이 복사해둔 cid값과 https://d.docs.live.net/ 주소를 조합하여 기입합니다.
예: https://d.docs.live.net/XXXXXXXXXXXXXXXX
그림4- 연결설정
입력이 다되었으면, 다음을 누른후 아래 그림과 같이 팝업이 뜰껍니다. 그러면
본인의 원드라이브 계정정보를 넣어주세요.
그림5- 원드라이브 계정 입력창
4. 탐색기를 열어 확인해봅니다. 끄~~읏!!!
그림1과 같이 나오면 성공!! 입니다.
<추가1> 비즈니스계정은 cid가 안나옵니다???? 에 대한 해결
댓글에서 @클량유저님이 공유하신 방법을 참고해주세요.
https://m.blog.naver.com/purple_linea/221789131358
<추가2> 보안2단계 인증때문에 잘 안되는 경우에 대한 해결
댓글에 삼디덕후님이 찾은 아래 링크로 해결해보세요.
앱 암호 페이지로 들어가 새로운 앱 암호 만들기를 클릭
아래처럼 앱암호를 알려주는데, 해당 암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할때 계정의 비밀번호 대신 입력 합니다.
<추가3> 100MB 이상의 파일을 업로드하면 멈추거나 에러가 발생되는 현상
자료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혹시 원인 또는 해결책을 아시는분 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그런데 몇게 궁금한게 있는데
1. 이렇게 해도 원드라이브에서 이 장치에 유지 해놓는건 C드라이브 용량을 먹는거죠?
2. 네트워크드라이브로 들어가서 원드라이브에는 있으나 c드라이브에 다운하지 않은 파일을 열수 있는건가요?
1에 대한 답변
위와 같이 할 경우, C용량은 전혀 상관 없이,
별도의 디스크처럼 사용됩니다.
2에 대한 답변
네.. 별도 디스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드라이브에 로그인하시고 웹페이지 우측에 "내 파일"을 클릭해봐주세요.
(보통은 디폴트로 나와야 하는게 맞습니다.)
아.. 비즈니스 계정이시군요.
해당 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나중에 찾아봐야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purple_linea/221789131358
https://m.blog.naver.com/purple_linea/221789131358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그 부분 생각 못해서..리눅스 서버에서 smb형태의 마운트가 가능한지 해서 시도해봤는데 역시 그건 안되네요.
그래서 지금 찾아보니..
rclone 같은걸로 별도로 사용해야 하나 봅니다.
다른 서드파티의 프로그램을 써야 되는 거군요... ㅠ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rclone은 설정이 조금 복잡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https://www.raidrive.com/ 사용 중입니다.
맥도 가능하냐는 질문인데 맥은 지원 안 하는 raidrive를 추천하시다뇨 ㅎㅎ
근데 사족이지만 저 폴더설정?을 문서로해야 미리보기로 다운받아보는 일이 없지 않을까요??
구글도 그렇고 전용프로그램으로하면 상관없는데 다른빙식으로 연결시 문제가 생길때도 있더군요
지금까지 써본 결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다를바가 없었습니다.
아님 ms 의 주소인가요....?
nslookup으로 확인한 결과
ms꺼 같습니다.
live 니까 MS의 주소가 맞을껍니다
msn live hotmail 다 MS으 ㅣ주소죠~
저는 이미 끝나서 ㅠㅠ
연장했어요..
완전 길들여져 이제 벗어날수 없는 존재가 되버린것 같습니다.
와 저도 베네수엘라 365 얼마전에 끝나서 결제했어요.
결국 마소에 졌습니다...
기존 설정으로는 어찌되었든 사용한다고 선택한 파일들은 로컬 용량을 차지하는데. 이건 로컬에 전혀 받아놓을 필요 없이 사용이 가능하네요.
물론 로컬 받아놓은것 대비 읽는 속도는 좀 느리지만 자주 사용하는건 기본 앱 설정을 이용해 로컬에 받아놓고 자주 안쓰는건 네트웍 연결한걸로 실행하면 되겠네요.
네. 맞습니다.
원드라이브 사용하면 매번 ...
"아니 클라우드 주제에 왜 내 디스크용량을 차지하는건데.." 하는 불만이 많았었습니다.ㅠ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윈노트를 주로 쓰다보니
원드라이브에서 벗어날수가 없네요..^^;;
감사!
꼭 한번 사용해보세요.. 편합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비지니스 , 학생용 에듀 계정도 다 연결 가능합니다.
구글드라이브나 다른 클라우드도 지원 하구요
레이드라이브도 좋긴한데..
느리고; 가끔 접속도 풀리기도하고;;
그래서 안쓰고 있긴했습니다.
학사팀: “졸업자 계정 정리해야겠네요.”
구글 드라이브의 경우에는 안정적인가 봅니다.
최신버전은 그런데2020.06빌드는 광고 없고 읽고쓰기 다 됩니다.
물론 구버전이라 버그가 좀 있을수는 있어요
ㅎㅎㅎㅎ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
전 방송대 메일 계정인데, 주소 구조가 다르네요.. ㅜㅜ
감사합니다.
아~ 학교나 비즈니스 계정은 위에 클량유저님의 링크를 보고 따라하니 잘 됩니다 ^^
마음 편하게 위에서 언급된 https://www.raidrive.com/ 쓰시는것도 방법입니다.
전 드롭박스, 구글드라이브, box 3개 드라이브로 맵핑해서 쓰고있습니다.
대용량으로 받을땐 레이드드라이브 연결이 잘 풀리지 않나요? (예전 버그)
현재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간간히 쓰는거라서요.
그래서 찾아보니까
앱비밀번호 생성해서 넣으면 되네요
원드라이브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클라우드 파일을 컴퓨터에 다운받아 버리고
동기화 방향에 대한 옵션도 없어서 정말 불편했었습니다.
[설정]
요청 기반 파일 관리
□ 공간을 절약하고 사용할 때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에 체크하면 용량 많이 안 차지 합니다.
관련 설명↓
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windows-10%ec%9a%a9-onedrive-%ec%9a%94%ec%b2%ad-%ea%b8%b0%eb%b0%98-%ed%8c%8c%ec%9d%bc-%ea%b4%80%eb%a6%ac%eb%a1%9c-%eb%94%94%ec%8a%a4%ed%81%ac-%ea%b3%b5%ea%b0%84-%ec%a0%88%ec%95%bd-0e6860d3-d9f3-4971-b321-7092438fb38e?ui=ko-kr&rs=ko-kr&ad=kr
이게 일단 올라간 파일에는 해당이 되는데
일단 올릴때는 무조건 용량을 먹으면서 들어갈거에요 ㅠㅠ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면 용량 잡아먹을 일이 없겠네요.
그런데 탐색기에 표시되는 긴 이름을 다른 걸로 바꾸는 방법도 있을까요?
헉.. 그냥 이름바꾸기로 되는거였군요 ^^;;
최근에 드라이브 새로 열고 몇테라 단위로 백업중인데
C드라이브 용량 부족해서 남는 용량만큼만 업로드한다음
온라인 전용파일로 바꾸면서 용량 확보하고
이거 무한반복하면서 백업하기 개빡쳤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이런 방법도 있었군요!!!!
약간더 빨리지려나 싶다가도 생각해보니 크게 다르지 않을것 같네요. 동기화 속도가 워낙 느려서 원....
파일업로드만 본다면 동기화보다 더 빠른것 같습니다.
동기화는 아무래도 파일의 변화 유무에 대한 체크섬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느리지만
이 방식은 단순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정도라서
체감상 빠른것 같았습니다. ^^;
원래 그렇게 표기 되는 건가요?
저도 같은 상황인데 궁금합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원래 원격지 주소의 용량으로 잡히는게 맞는데...
가상으로 잡다보니 이건 그냥 로컬 C의 용량으로 보여주나 봅니다. (한가지 흠이긴 하네요)
비번이랑 계정은 맞는데요 ㅠㅠ
음.. 계정이나 비번이 잘못되신건 아니신지...
그 이외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사용자 이름 넣는 칸에 MicrosoftAccount\*****@hotmail.com 이렇게 나오길래 그냥 아래에 비번을 써 넣었더니
안된거였습니다.
MicrosoftAccount\ 를 지우고 제 계정만 넣으니 되네요. 감사합니다.
원드라이브 PC앱보다 설정해두면 편하겠네요.
그냥 드라이브 연결을 해제시키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