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매스컴이나 IT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chatGPT를 말하지 않는 곳이 없네요.
저도 취미로 코딩 공부를 하는데, 샘플코드나 레퍼런스 찾기가 너~~~무 편해졌습니다. ㅎㅎㅎ
그런데 최근 chatGPT 만큼은 아니지만 AI Chat 도입으로 핫한 곳이 있잖아요. you.com 이라고..
그래서 요 머칠은 구글 대신 기본 검색엔진을 you.com으로 설정해놓고 쓰고 있는데 생각보다 꽤 괜찮더라고요?
무엇보다 구글 검색은 내 필요성에 '딱' 맞는 정보를 하나하나 검증해야 하는데, AI 챗은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너무 편하기도 하고요.
게다가 you.com은 chatGPT와 달리 '자기가 제공한 것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레퍼런스 자료를 같이 보여줍니다.
쓰다 보니 브라우저 주소창 기본 검색을 you.com으로 바꿔도 괜찮겠다 싶어서 하는 김에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크롬의 [설정 - 검색엔진 - 검색엔진 및 사이트 검색 관리] 메뉴를 열면 검색엔진 단축키를 등록할 수 있는데요. (다들 아시겠지만.. ^^)
일반 검색과 you chat용 검색엔진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 You.com Chat용 URL: https://you.com/search?q=%s&tbm=youchat&cfr=chat
- You.com 일반 검색용 URL: https://you.com/search?q=%s
이걸 이용해서 바로가기 단축키를 아래처럼 등록할 경우, 주소창에 U를 입력하고 스페이스를 누르면 you chat 검색모드가 됩니다.
구글 검색은 탐색하며 정답을 인간이 찾아가기 때문에 다양한 견해를 참고하게 되지만, AI 검색은 정보의 편식, 또는 1등 정보만 얻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더군다나 고도화된 AI의 정답은 의도나 논리 구조를 인간이 알 수 없게 될테니, 결과는 있지만 동기를 알 수 없는 무수한 정보 속에서 영혼없는 결정을 하게 되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지 몰라요.
그나저나 진짜 미래로 진입하는 느낌이 드는 요즘 입니다.
뭔소리인지... 아직 한국 역사에 대해서 묻지 말아야 겠네요.
똑똑합니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