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강제일초등학교 6학년 손동찬(지도교사 이재경) 학생이었다고 하네요.
https://www.hani.co.kr/arti/legacy/legacy_general/L73350.html
중학교 때 갔던 수학여행에서 경주 불국사, 석굴암, 첨성대 그리고 포항제철(버스 타고 이동)이 기억나네요.
다른 여러 학교까지 한 장소에 몰리니 유적지에 대한 감상이 남아 있지 않네요.
그냥 그때 그곳을 다녀갔었지 하는 정도의 기억이죠...
이런 느낌 아시죠?
...
그냥 무시하지 않은 선생님이 대단한것같네요. 학계와 연락이 통한다는것도요
삼국유사였나 삼국사기보면 지진 기록이 꽤 있습니다
지진으로 담벼락 무너졌다는 기록들 종종 보이죠
그러고보니 반달모양으로 커다랗게 하나로 만들기 힘들어서, 제작하신 분이 아이디어(꼼수?)를 낸게 아닌가 싶은데..
한 파트로 만들면 깨지기도 쉬울테니 일거양득 하신게 아닐지 조심스레 추측을 ㅎㅎ
Ⅳ. 종합결론
1. 청운교 천장 터널은 천정돌 12개와 천장 중심돌 1개가 연결되어 지름 236cm 반원 모양이다.
2. 천정돌의 윗면과 아랫면의 길이의 비는 6 : 5정도가 되며천장돌 사이의 틈이 없다.
3. 천장 덮개돌 2개와 모양의 천장 덮개 중심돌이 천정돌을아치모양으로 감싸고 있다.
4. 12개의 천정돌은 천정중심돌과 반원 밑선의 중앙을 잇는선을중심으로 좌, 우선대칭 위치 있어 균형있게 보인다.
5. 천정돌은 반원 밑선의 중앙을 향하고 있어, 다리터널의 입구에서 터널의 모양과 아름다움을 잘 볼 수 있다.
6. 청운교는 아치모양이기 때문에 위에서 누르는 압축력에 견디는힘이 좋다.
7. 다리를 누르는 힘은 천정돌로 연결되어 양쪽 다리 받침돌로작용한다.
8. 양쪽 받침돌로 작용하는 힘은 아치모양의 중앙에 떨어진거리에따라 서로 반비례한다.
9. 천장 덮개돌은 천정돌이 밀리거나, 떠오르고 내려가는 것을막아준다. (받침돌을 더욱 안정되게하고, 압축력을 좋게함)
10. 천장 덮개 중심돌이 모양을 하고 있어 다리위에서 누르는힘을 2중 아치로 분산 시켜 무거운 힘에도 견디는 힘을좋게하였다.
두고 두고 봐도 좋을 내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