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밀리터리당 ·굴러간당 ·아이포니앙 ·주식한당 ·MaClien ·자전거당 ·방탄소년당 ·나스당 ·일본산당 ·밀리터리당 ·바다건너당 ·안드로메당 ·골프당 ·소셜게임한당 ·노젓는당 ·가상화폐당 ·개발한당 ·키보드당 ·땀흘린당 ·콘솔한당 ·냐옹이당 ·갖고다닌당 ·PC튜닝한당 ·리눅서당 ·날아간당 ·레고당 ·이륜차당 ·꼬들한당 ·덕질한당 ·육아당 ·클다방 ·VR당 ·사과시계당 ·걸그룹당 ·퐁당퐁당 ·소시당 ·야구당 ·방송한당 ·디아블로당 ·IoT당 ·패스오브엑자일당 ·포뮬러당 ·임시소모임 ·찰칵찍당 ·3D메이킹 ·축구당 ·DANGER당 ·와인마신당 ·라즈베리파이당 ·테니스친당 ·시계찬당 ·e북본당 ·맛있겠당 ·그림그린당 ·LOLien ·안경쓴당 ·캠핑간당 ·요리한당 ·스팀한당 ·뚝딱뚝당 ·전기자전거당 ·젬워한당 ·빨콩이당 ·스타한당 ·패셔니앙 ·대구당 ·심는당 ·총쏜당 ·미끄러진당 ·물고기당 ·뽀록이당(당구) ·어학당 ·소리당 ·영화본당 ·노키앙 ·WOW당 ·가죽당 ·터치패드당 ·나혼자산당 ·X세대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블랙베리당 ·곰돌이당 ·블록체인당 ·보드게임당 ·활자중독당 ·볼링친당 ·문명하셨당 ·클래시앙 ·쿠키런당 ·개판이당 ·동숲한당 ·날아올랑 ·이브한당 ·도시어부당 ·FM한당 ·차턴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인스타한당 ·KARA당 ·Mabinogien ·미드당 ·땅판당 ·헌팅한당 ·오른당 ·MTG한당 ·적는당 ·소풍간당 ·품앱이당 ·리듬탄당 ·Sea마당 ·SimSim하당 ·심야식당 ·윈태블릿당 ·파도탄당 ·테스트당 ·공대시계당 ·여행을떠난당 ·트윗당 ·창업한당 ·WebOs당 ·윈폰이당
© CLIEN.NET
공지오늘 밤 0시부터 약 15분간 서버 점검이 있습니다. 더보기
f

모두의공원

임대차 3법이 신의 한수였네요. 179

285
사표방지위원장
43,196
2023-01-25 12:09:59 59.♡.177.137

2020년 임대차 3법 통과하고 20년 8월부터 기존계약 갱신율이 70퍼가 넘은걸로 알고 었습니다.

지금 시세가 그때 갱신했을때와 비슷하거나 조금 떨어진 정도죠,,

만약 저때 임대차 3법 아니엇으면,,너도나도 올려서 새로 계약했으면,,지금의 역전세는 아무것도 아니었겠죠,,

악법이니 임대인 임차인 다 죽이는 법이니,,난리난리 쳤지만,,,정말 임대차 3법 아니었으며 진짜 다 죽었을듯 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기레기들과 관련 부동산 교수들,,,손들고 반성하기실 바랍니다,,특히 권모 교수,,,요,,

모든 법은 시간이 지나야 제대로 평가가 되는듯 합니다. 

추가로 전세계약이 3+3으로 변경되기를 희망합니다. (초등 6년 중고 3+3년 반영)


사표방지위원장 님의 게시글 댓글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285명
댓글 • [179]
을 클릭하면 간단한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메모동기화
어머
LINK
#140496492
IP 132.♡.69.216
23-01-25 2023-01-25 12:10:55
·
진짜 신의 한수가 됐죠
휴식좀
LINK
#140496497
IP 163.♡.89.63
23-01-25 2023-01-25 12:11:16
·
공감합니다.
그때 조금이라도 낮추는 효과가 있었어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6554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2:13:45
·
@님 당시 신규계약으로 계약 하신분들이 지금의 역전세를 겪고 계시죠,,
아이포린
LINK
#140496533
IP 39.♡.245.219
23-01-25 2023-01-25 12:13:04
·
통과 될 시점에.. 폭등해서 좀 문제가 있었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6572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2:14:46
·
@아이포린님 다행이죠,,지금 역전세 혹은 전세금 못돌려 받는 사람들이 70% 이상 줄인게 되었으니까요,,,
윤발이
LINK
#140496614
IP 180.♡.85.120
23-01-25 2023-01-25 12:16:39
·
임대차 3법도 그렇고.. 대출 제한에 부동산 관려법들이 신의 한수 였죠..
아니면 유동성 터질 시점에 난리가 났을겁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667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2:19:58
·
@님 그 시점이 지금 굥정부라 지금의 난리의 10배는 났을텐데,,또 전정부 탓했을테니까요,,조금 아쉽기도 하지만 나라를 위해서는 잘한거죠,,,
cornerback
LINK
#140496730
IP 1.♡.110.67
23-01-25 2023-01-25 12:22:46
·
정말 좋은 법이죠
그리고 반대로 임대사업자 등록법이 악법이라고 생각해서 김현미 주구장창 욕했더니...

둔촌주공 건 겸 싹다 밀어버리는 꼴 보면서
와........
상식 상상 초월의 딴나라차떼기국짐 클래스의 쓴맛을 느낍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685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2:29:12
·
@cornerback님 둔촌도 당시 평당 2700에 21년도 분양했으면 완판되고 조합비도 지금보다 적게 냈을거라고 봅니다,,,결국 시공사만 배불리는 형태가 되었죠,,,
피와바람
LINK
#140496750
IP 223.♡.28.155
23-01-25 2023-01-25 12:23:42 / 수정일: 2023-01-25 12:26:15
·
원래도 좋은 법인데, 억까가 많았죠.

유동성 때문에 오른걸 임대차법 때문이라고 우기던 분들 많더군요.

게다가 지금 같은 시기엔 더 좋은 효과를 발휘하고 있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6897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2:30:31
·
@피와바람님 지금도 금리는 곧 떨어진다고 하시는 전문가들이 많더라고요,,,
commodity
LINK
#140497148
IP 223.♡.219.73
23-01-25 2023-01-25 12:40:17
·
임대차3법이 없었으면 애초에 폭등도 없었습니다. 폭등 만들어놓고 이제와서 임대차3법이 신의 한수라는건 병 주고 약 주는건가요.
백귀신참
LINK
#140497250
IP 211.♡.189.122
23-01-25 2023-01-25 12:44:51 / 수정일: 2023-01-25 12:45:10
·
@commodity님 해외도 임대차 3법때문에 다 올랐나요? 폭등을 만드는게 가능하면 굥한테 일러주시면됩니다. 두팔 벌려 환영하겠네요
2020년4월15일
LINK
#140497289
IP 39.♡.231.105
23-01-25 2023-01-25 12:46:54
·
@commodity님
폭등은
이명박근혜가 만든
전세대출리밋 상향때문입니다
리멤버 리벰버
LINK
#140497813
IP 218.♡.27.225
23-01-25 2023-01-25 13:10:08
·
@commodity님
NPV
LINK
#140497849
IP 223.♡.18.209
23-01-25 2023-01-25 13:11:26
·
@commodity님

그 당시 초저금리 상황은 어떻게 생각하시고, 그 영향은 없다고 생각하세요?
당시 이미 저금리 때문에 전세도 들썩거리고 있었고, 임대차법 시행 여부는 전세급등 시기를 앞당긴 것 뿐이지, 근본적인 원인은 저금리때문이죠.
귀토레미
LINK
#140497957
IP 61.♡.183.22
23-01-25 2023-01-25 13:16:11
·
@commodity님
임대차3법 시행된게 2020년 7월이고, 부동산원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 보면 2019년 상반기부터 수도권 전세 팍팍 오르기 시작합니다. 주장하신 대로라면 19년 여름부터 20년 여름까지 상승분은 어떻게 설명하실 건가요?
3법 시행 한참 전부터 폭등은 이미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그 추세를 더 부추겼다’ 정도면 몰라도 ‘3법 없었으면 폭등도 없었다’는 주장은 좀 과격하시네요.
따불로
LINK
#140498570
IP 210.♡.233.2
23-01-25 2023-01-25 13:41:00
·
@commodity님 갱신한 사람들 때문에 전세 매물이 줄었으니 전세가격에 전혀 영향이 없을 순 없겠지만, 전세 갱신해서 이동하는 사람도 줄었으니 폭등의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당시 임대차 3법이 없이 전세값 폭등이 있었다면 더 참혹한 상황으로 전개됐을 것 같다는 글인데요.
어쨌든, 갱신한 사람들한테는 그러한 폭등을 막았다는 글에 임대차 3법이 폭등을 만들었다는 얘기는 대상도 안맞네요. 5% 인상하고 갱신했는데, 5%가 폭등이라 말씀하시는 건 아닐테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873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3:48:12
·
@commodity님 네?? 임대차 3법이 없었다면 폭등이 없었다고요?? 역발상이군요,,,존중합니다,,,
OUTPERFORM
LINK
#140499893
IP 39.♡.28.77
23-01-25 2023-01-25 14:39:11
·
@귀토레미님 ㅋㅋㅋㅋㅋ 재밌네요
19년 여름부터 20년 여름까지 상승분은 어떻게 설명할까요??? 이 질문 너무 재밌는거아닌가요
그 질문이 바로
코로나때 돈풀기로 인한 전세계적인 집값상승 추세이지 정부실책이 아니었다!라는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질문인데요ㅎㅎ
코로나 이전 1년간 미친듯한 폭등은 왜있었을까요 정말? 궁금하네요 ㅎㅎ
느파
LINK
#140500794
IP 223.♡.87.108
23-01-25 2023-01-25 15:18:21
·
@commodity님
미친통닭
LINK
#140500929
IP 119.♡.161.10
23-01-25 2023-01-25 15:23:32
·
@commodity님
led형광등
LINK
#140500931
IP 117.♡.17.207
23-01-25 2023-01-25 15:23:35
·
메종럽
LINK
#140501229
IP 121.♡.32.180
23-01-25 2023-01-25 15:37:07
·
@commodity님 임대차3법 전부터 오르기 시작했는데요...?
드랍바를잡고춤을
LINK
#140501613
IP 115.♡.162.141
23-01-25 2023-01-25 15:52:50
·
@commodity님 병을 얻으셔서 화가 나셨나요
백귀신참
LINK
#140501670
IP 211.♡.189.122
23-01-25 2023-01-25 15:55:31
·
@OUTPERFORM님 그러게요 사람들이 어떻게 그많은 돈을 빌리고 당겨서 집을 사댔을까요?! 대체 누가 그런 규제완화 정책을..! 제로금리 시대 바로 직전에 써댔는지 정말 궁금할 지경이네요 엄벌해야합니다.
미드나잇
LINK
#140501840
IP 222.♡.56.189
23-01-25 2023-01-25 16:02:50
·
고즈S
LINK
#140501901
IP 183.♡.249.53
23-01-25 2023-01-25 16:04:32
·
@commodity님 진짜로 그리 알고 계신가요? 임대차3법 이전부터 상승이 눈에 띌 정도였습니다
D다
LINK
#140502833
IP 211.♡.205.209
23-01-25 2023-01-25 16:40:23
·
@commodity님
임대차3법과 집값상승의 인과를 설명해주시면 좋을것같네요.
플리커
LINK
#140502853
IP 211.♡.181.140
23-01-25 2023-01-25 16:41:21
·
보라빛꿈
LINK
#140502900
IP 223.♡.175.194
23-01-25 2023-01-25 16:43:09 / 수정일: 2023-01-25 16:43:35
·
@commodity님

하아…. 이렇게 바라보는 사람이
21세기에 존재하다니….

애초에 교통법이 없다몬 뺑소니 라는게 없을테니깐요 그쳐?
별초롱이
LINK
#140502920
IP 220.♡.107.119
23-01-25 2023-01-25 16:44:13
·
진우원
LINK
#140502942
IP 122.♡.242.238
23-01-25 2023-01-25 16:44:50 / 수정일: 2023-01-25 16:45:14
·
@OUTPERFORM님 왜긴요.. 경제성장하고 돈이 몰리니 투자처 찾다보니 폭등한거죠. 코인이고 주식이고 왜 올랐겠어요?? 주가 3천가고... 경제활성화되고 하니 돈이 도니까 다들 투자처들을 찾다보니 부동산에 몰린거죠.
거기에 부동산 사면 무조건 오른다더라 하는 투기심리까지 가세해서 오른거죠.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면 경제가 살아나니 집값이 오르는거고...
국힘 정부가 들어서면 경제가 박살나니 집값이 떨어지는거죠.
초하류
LINK
#140503020
IP 218.♡.5.105
23-01-25 2023-01-25 16:47:44
·
@commodity님
구까
LINK
#140503070
IP 106.♡.65.230
23-01-25 2023-01-25 16:49:40
·
@commodity님
Kenia
LINK
#140503080
IP 175.♡.80.193
23-01-25 2023-01-25 16:49:51
·
https://www.clien.net/service/popup/like/park/17867664?commentSn=140497148CLIEN
구까
LINK
#140503083
IP 106.♡.65.230
23-01-25 2023-01-25 16:49:53 / 수정일: 2023-01-25 16:52:10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5590039CLIEN
어른곰푸
LINK
#140503249
IP 218.♡.172.82
23-01-25 2023-01-25 16:56:19
·
@commodity님
우푸
LINK
#140503427
IP 121.♡.168.247
23-01-25 2023-01-25 17:03:39
·
@commodity님
그 당시 전세계 부동산 상승률을 보시면 우리나라는 중간밖에 안됩니다
그냥 세계적인 양적완화로 버블이 껴서 오른거에요
littlefinger
LINK
#140503616
IP 1.♡.148.36
23-01-25 2023-01-25 17:10:10
·
@commodity님 틀렸습니다.
귀토레미
LINK
#140503711
IP 61.♡.183.22
23-01-25 2023-01-25 17:13:43
·
@OUTPERFORM님
제 말은 ‘전세 상승세가 임대차3법 시행 전에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3법이 전세 폭등의 핵심 요인이라면 그 전에는 오르지 말았어야 했다는 말이죠.
참고로 저는 코로나19 이전 상승분에 대해서는 문정부의 실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체 무슨 근거로 저를 무조건 쉴드를 치는 사람으로 몰아가시나요? 정말 궁금하네요ㅋㅋ
84726
LINK
#140504001
IP 198.♡.66.99
23-01-25 2023-01-25 17:24:43
·
@commodity님 뉴질랜드 폭등도 임대차3법이랑 김현미장관이 올린거겠죠?? 생각을 조금만 해봐도 답이 나옵니다.
ANALOG
LINK
#140504156
IP 42.♡.72.235
23-01-25 2023-01-25 17:30:42
·
0E5A9689-EF1D-4E61-8BF2-685C40234CAA.jpeg
@commodity님
따불로
LINK
#140504317
IP 210.♡.233.2
23-01-25 2023-01-25 17:37:31
·
@OUTPERFORM님 18년 여름부터 금리 엄청 내려가던 시기인데요.
2020년 다시 금리 올려야할 시기에 코로나가 와서 다시 더 돈풀기를 한거고.
이걸 모르고 궁금해ㅎㅎ 하는 건가요?
흰색악마
LINK
#140504339
IP 121.♡.86.226
23-01-25 2023-01-25 17:38:39
·
blueju
LINK
#140504812
IP 223.♡.28.127
23-01-25 2023-01-25 18:00:03
·
@commodity님
플로매너티
LINK
#140504875
IP 104.♡.202.185
23-01-25 2023-01-25 18:02:36
·
@commodity님
매복
LINK
#140504927
IP 223.♡.21.174
23-01-25 2023-01-25 18:05:13
·
@commodity님 아직도 부동산이 왜 오른지 모른 분이 계시는군요.
Saki_Vashutal
LINK
#140505013
IP 39.♡.46.139
23-01-25 2023-01-25 18:09:59
·
@commodity님진심 법으로 폭등이 만들어진다고 보나요? 지금 집값 다 빠져저 난리라고 하는데 저짝애들은 법으로 어찌 좀 집값잡고싶을텐데 왜 못하나요?
청해무운
LINK
#140505160
IP 112.♡.26.3
23-01-25 2023-01-25 18:18:43
·
@commodity님 누가 그래요? 임대차 3법이 폭등의 주범이라고? 국짐당이 그래요? 그렇게 말하긴 했죠. 국짐당이..
고르비
LINK
#140505734
IP 1.♡.241.84
23-01-25 2023-01-25 18:57:31
·
@commodity님 임대차5법 만들면 집값 폭등하겠네요?
원근법
LINK
#140506241
IP 119.♡.163.22
23-01-25 2023-01-25 19:30:06 / 수정일: 2023-01-28 07:46:21
·
@commodity님 임대차3법이 전세가 폭등의 주범이라는 논리는 보통 자칭 보수신문이라는 조중동 논리였죠...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현재 가격 대비 얼마나 더 떨어지면 만족하실런지요?

참고로
1) 2019년11월경 코르나가 처음 발견되고 2020년5월경에는 전세계로 코르나가 번지며 장기화우려가 있었습니다.
2) 그리고 2020년7월31일 임대차3법이 시행되었습니다.
3) 2020년경쯤에는 금리인상이 어느 정도 예상이되었는데 코르나로 전세계적으로 돈이 더 풀리면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였다.
4) 코르나 장기화로 사람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습니다.
일용잡부
LINK
#140506263
IP 211.♡.42.207
23-01-25 2023-01-25 19:32:08
·
@commodity님 그럼 지금은 집값이 왜 떨어지죠? 임대차 3법이 없어져서 인가요?
dr_strange
LINK
#140506475
IP 1.♡.19.232
23-01-25 2023-01-25 19:47:40
·
@commodity님
나혼자한다
LINK
#140506591
IP 117.♡.26.30
23-01-25 2023-01-25 19:56:39
·
@OUTPERFORM님 궁금하시다니 알려드려야죠. 2014년 "빚내서 집사라" 는 정부의 정책과 년말에 통과된 부동산3법으로 2016년경 법시행되고 너도나도 건설경기 올라가니 빚내기 쉬운김에 사기시작하고, 금리마저 제로금리 시대를 맞이하니 2018년부터는 모두 미쳐있엇죠. 부동산불패니 강남불패니 금리싼데 뭐하고 있냐 주식안하면 코인하던지 집이라도 사라. 뭐 그런시기엿고, 미국도 2019년경 금리올려야하는데 코로나로 인해 올리기는 커녕 돈을 찍어내 풀면서 (전세계가) 들썩들썩 하게 된거죠.
힘내셈
LINK
#140506920
IP 211.♡.105.48
23-01-25 2023-01-25 20:21:40
·
@OUTPERFORM님 코로나땜에 올린게 아니라 금리때문에 오른거고 코로나 때문에 금리 올릴 타이밍 못잡아서 문제가 커진겁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더 빨리 대두된건 부동산으로 정치선동하려는 세력들 때문이었죠.
그때 온갖 커뮤니티에서 신축 아파트들 분양가랑 프리미엄 붙은걸로 가격이 두배가 됐네 어쩌네 선동하는 게시글과 뉴스로 도배됏던 시점이에요.
부동산카페에서 그 짓하던건 원래 유구했지만, 언론이며 알바들이며 이거다 싶어서 그걸로 정치공작가세해서 더 난리가 났던거죠.
o투덜이스머프o
LINK
#140497569
IP 203.♡.63.172
23-01-25 2023-01-25 12:59:07
·
좋은 법안 맞습니다. 기래기들때문에 무작정 욕 먹었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8766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3:49:34
·
@o투덜이스머프o님 거기에,,,김상조가 크게 기여했죠,,,쩝이네요,,
NPV
LINK
#140497802
IP 223.♡.18.209
23-01-25 2023-01-25 13:09:34 / 수정일: 2023-01-25 13:17:12
·
다만 그 때 누군가는 그 반작용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긴 했습니다.(저도 그 중 하나)
그런 사회적 비용을 감수하고 정착된 법과 제도인데
이걸 다시 원상태로 되돌리자고 하는 분들도 많네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8783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3:50:07
·
@NPV님 지금은 잘 다듬어서 더 정착되고 장기적으로 전세도 3+3으로 변경되는게 바람직한거 같습니다,,
mericrius
LINK
#140498068
IP 121.♡.71.177
23-01-25 2023-01-25 13:20:15
·
계약기간을 너무 길게 잡으면 자원의 효울적 분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이상한 세입자 만나면 내보내지도 못하고 리스크가 커지다 보니
마음에 드는 세입자가 나타날 때까지 공실로 두는 선택을 할수도 있어서요.
AlldayAngry
LINK
#140498533
IP 210.♡.187.136
23-01-25 2023-01-25 13:39:36
·
「@mericrius*mericrius*」
파맛칩
LINK
#140498654
IP 221.♡.61.1
23-01-25 2023-01-25 13:44:30
·
@mericrius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139875CLIEN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8842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3:52:52
·
@mericrius님 계약기간이 무제한인 유럽이나 일본도 특별한거 없으면 연장꼐약입니다,,,그리고 그런 문제는 기존 임대차 3법에서 수정하고 개선하면 됩니다. 장기적인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국가에서 공공임대를 늘리고 집주인은 감소하여 더이상 투기나 투자가 안되는게 바람직한거 아닐까 싶네요,,
mericrius
LINK
#140498977
IP 121.♡.71.177
23-01-25 2023-01-25 13:58:29
·
@사표방지위원장님 임대주택 확대도 좋은데 현재도 공실로 남아있는 행복주택이 많다는 뉴스 보다보면 결국 근본은 자원의 효율적 이용인거 같습니다. 돈 들여서 임대주택 차고 넘치게 만들었더니 공실로 남아 있으면 이처럼 큰 낭비다 없습니다. 임대주택의 건설과 유지는 공짜가 아니니까요. 공실 임대주택 만들 자원으로 다른 필요한 곳에 활용하는게 더 좋을 수도 있으니까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948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4:22:24
·
@mericrius님 공실로 남은 대부분이 작은사이즈 입니다,,그리고 위치가 정말 안좋거나 지방이구요,,역세권에 그리고 신혼부부가 자녀들 낳아서 키울수 있는 평수로 만들면 공실이 없습니다,,,지금 만들어지는 신혼타나 공공은 평수가 커지고 있구요,,,잘못된 정책은 수정하고 개선하면 됩니다,,폐지하자고 하는건 아닌거 같네요.
스왈로우
LINK
#140499553
IP 222.♡.203.110
23-01-25 2023-01-25 14:24:19
·
mericrius
LINK
#140499588
IP 121.♡.71.177
23-01-25 2023-01-25 14:25:39
·
@사표방지위원장님 폐지가 아니라 공공에서 차고 넘칠 정도로 과잉공급할 필요는 없다는 의미였습니다. 살짝 부족하게 공급되어야 낭비되는 자원이 없을테니까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9686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4:30:24
·
@mericrius님 역세권에는 차고 넘칠정도로 공급해도 차지도 않고 넘지도 않을듯요,,,지방 임대공급 위치보시면 어이없습니다,,,사람들이 안사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mericrius
LINK
#140499744
IP 121.♡.71.177
23-01-25 2023-01-25 14:32:38
·
@사표방지위원장님 역세권에는 차고 넘칠 정도로 공급할 땅이 없겠죠.. 아마… 사유재산을 강제수용하지 않는이상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499862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4:38:19
·
@mericrius님 역세권 땅들 비싸게 판게 공공기간과 LH입니다,,, 한전부지만 봐도 잠실 최고의 역세권 땅인데,,현대가 샀죠,,, 역세권에 임대로 공급하는걸 꺼려하기 때문이지 땅이 없는거 아닙니다,, 그리고 양재,과천,성남 사이에 비닐벨트 많습니다,,,말그대로 비밀하우스로 뭘 하지도 않는 땅들이요,,,이런거 그린벨트 풀고 임대공급하면 됩니다. 왜 아직도 그린벨트로 묶여있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mericrius
LINK
#140499995
IP 121.♡.71.177
23-01-25 2023-01-25 14:43:15
·
@사표방지위원장님 한전부지는 10조원 짜리 부지인데 여기에 임대주택을 지으면 전국민이 입주할 수 있나요? 입주한 분들만 1년에 수천만원이 넘는 이득을 얻는 건데 이것도 공정해 보이진 않습니다. 그린벨트 플어서 공급하는건 괜찮을 수도 있겠네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0666
IP 211.♡.141.55
23-01-25 2023-01-25 15:11:21
·
@mericrius님 한전부지는 예를 든거구요,,역세권에 땅이 없는게 아니라는거에요,,,
led형광등
LINK
#140500939
IP 117.♡.17.207
23-01-25 2023-01-25 15:23:51
·
mericrius
LINK
#140501078
IP 211.♡.115.250
23-01-25 2023-01-25 15:30:35 / 수정일: 2023-01-25 15:37:41
·
@사표방지위원장님 네네 역세권 금싸라기 땅을 임대주택으로 개발하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그 땅들은 최대한 비싸게 팔든 비싸게 임대를 줘서 세금으로 전입시켜서 최대한 다수의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게 맞는거 같고 외곽의 그린벨트로 묶인 지역의 경우엔 임대주택이 부족하다면 규제해제해서 공급해도 될거 같네요.
아니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건립하든지요. 임대주택은 임대한 사람의 사유지가 되어버리는 건데 금싸라기 땅을 특정 소수의 인원에게만 혜택을 주는 건 아닌거 같아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1237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5:37:42
·
@mericrius님 그렇게 돈 벌어서 임대주택 지으면 젤 좋겠죠,,,그런데 그런땅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는게 지금의 정부거든요,,,
미드나잇
LINK
#140501865
IP 222.♡.56.189
23-01-25 2023-01-25 16:03:40
·
bigflame
LINK
#140502586
IP 118.♡.7.76
23-01-25 2023-01-25 16:30:33
·
「@meri
백귀신참
LINK
#140502704
IP 211.♡.189.122
23-01-25 2023-01-25 16:35:39 / 수정일: 2023-01-25 16:35:58
·
@mericrius님 전세를 안구하고 공실로 둘 수 있는 집주인이면 애초에 아무 문제 없죠. 그게 아니니까 금리 올라가자마자 역전세다 뭐다 말이 많은 거죠. 이론적으로만 가능하고 갭투기 입주가 대부분인 대한민국 현실과는 괴리가 있습니다.
별초롱이
LINK
#140503030
IP 220.♡.107.119
23-01-25 2023-01-25 16:48:09
·
그녀는애교쟁이
LINK
#140503058
IP 223.♡.21.68
23-01-25 2023-01-25 16:49:18
·
@mericrius님
ANALOG
LINK
#140504199
IP 42.♡.72.235
23-01-25 2023-01-25 17:32:34
·
7BABCBBD-3CF5-4AB7-8286-47F7301A6759.jpeg
@mericrius님
blueju
LINK
#140504825
IP 223.♡.28.127
23-01-25 2023-01-25 18:00:24
·
@mericrius님
플로매너티
LINK
#140504896
IP 104.♡.202.185
23-01-25 2023-01-25 18:03:42
·
@mericrius님
dr_strange
LINK
#140506481
IP 1.♡.19.232
23-01-25 2023-01-25 19:47:54
·
@mericrius님
나혼자한다
LINK
#140506614
IP 117.♡.26.30
23-01-25 2023-01-25 19:58:05
·
@mericrius님
힘내셈
LINK
#140506931
IP 211.♡.105.48
23-01-25 2023-01-25 20:22:26
·
@mericrius님 집값이 올라간다는 가정하에나 공실로 둘 수 있죠. 집으로 투기 못하는 세상 원하시는거 아니에요?
고르비
LINK
#140537690
IP 211.♡.197.166
23-01-27 2023-01-27 12:49:51
·
@mericrius님
파루라마
LINK
#140501140
IP 203.♡.200.79
23-01-25 2023-01-25 15:33:24
·
좋은 의도의 좋은 법인 것은 인정하지만,
전세가와 매매가의 급등락을 만든 원인이 임대차 3법인 것도 인정해야 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1221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5:36:45
·
@파루라마님 당연히 어느정도 있겠죠. 하지만 없었다면 더큰 데미지가 왔다는건 팩트 아닐까요,,위에 2019년부터 오르는 전세에 대해서 설명을 못하듯이요,,
sltx
LINK
#140501409
IP 115.♡.177.138
23-01-25 2023-01-25 15:45:14
·
@파루라마님 오히려 급등락을 막는 역할을 하는 법이죠. 본문에서 설명했듯이 이번 폭등-폭락을 통해서 증명된 거구요.
파루라마
LINK
#140501580
IP 203.♡.200.79
23-01-25 2023-01-25 15:51:33
·
@사표방지위원장님
저는 당시 집주인이 자가로 들어 온다고 해서, 이사를 가야 했고, 바로 옆동으로 옮기면서도, 전세를 1억 올려줘야 했습니다.
작년에 재계약을 했는데, 전세가 폭락하기 전이라, 그 가격에 또 5프로를 올려 줘야 했네요.
임대차 3법의 덕을 본 비율은 찾아 보시면, 생각보다 적습니다.
초기라 충격이 오는 건 당연하지만, 시기가 너무 안 좋았습니다.
이성적으로 자기 비판을 해야, 다음에 정권 잡았을 때, 국민을 설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194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06:53
·
@파루라마님 임대차 3법 재계약으로 2022년 7월까지 통계로 나온게 70퍼 정도라고 합니다,,,그 분들은 분명히 혜택이었습니다,,,생각보다 많지 않다는건 70퍼 중에서도 혜택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는 많다는건가요??
littlefinger
LINK
#140503637
IP 1.♡.148.36
23-01-25 2023-01-25 17:10:54
·
@파루라마님 모든 법이 100% 만족할 수는 없겠죠?
나혼자한다
LINK
#140506648
IP 117.♡.26.30
23-01-25 2023-01-25 20:00:13
·
@파루라마님 님의 경우가 집주인 잘못만나서나 때가 안맞아서 피해를 본 경우죠. 하지만 재개약율이 70프로엿는데 모두 그런건 아닙니다.
후룩후루룩
LINK
#140501345
IP 211.♡.95.21
23-01-25 2023-01-25 15:42:31 / 수정일: 2023-01-25 15:42:43
·
임대차 3법의 파장이 어떻게 되는지 까지는 전 잘 모르겠고 어쨋든 그 당시에는 저도 이런 미친법 그랬었는데 결과적으로 지금은 덕을 보게 되었네요.

그 법 아니었으면 저도 세입자에게 전세 보증금 1.5억 정도는 올려받았을 텐데 그 돈 받았으면 분명히 1.5억 중 절반 이상은 주식사고 코인사고 한다고 난리치고 최소 몇천만원은 날려먹었을거고 그럼 보증금 돌려줄 생각에 잠을 설쳤을듯요 ㄷㄷㄷㄷㄷ
현서빠
LINK
#140501466
IP 14.♡.85.191
23-01-25 2023-01-25 15:47:34
·
좋은 의도가 꼭 좋은 결과가 되진 않죠.
전 민주당이 대선에 진거에 이 임대차 법도 한 몫 했다고 봅니다.
길어진 임대기간으로 스트레스 받는 집주인, 급등하는 전세값 때문에 속 앓는 임차인, 당시엔 누구하나 행복하지 않았어요.
덕분에 부동산으로 인한 분노가 더 증폭됐고 결국은 굥이 대통령이 되는 참사가 벌어졌죠.
그 수많은 논란들을 무시하시고 좋은 점만 쓰셨네요.
실키웨이
LINK
#140501603
IP 220.♡.0.133
23-01-25 2023-01-25 15:52:20
·
@현서빠님 말씀하신 내용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187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03:54
·
@현서빠님 부동산 3법으로 인한 부작용이 휠씬 컸고 거기에 김현미장관까지 콜라보가 되어서 부동산이 엉망이 된건 맞습니다. 하지만 임대차 3법 아니었으면 이겼을까요?? 반대로 임대차법 없어서 재계약 못하고 신규계약으로 1-2억 씩 올려서 계약한 사람들은 반대로 또 불만이 없었을까요??
현서빠
LINK
#140502183
IP 14.♡.85.191
23-01-25 2023-01-25 16:16:03
·
@사표방지위원장님
결과에 만약은 없습니다. 입대차법이 없더라도 졌을 수 있겠죠.
하지만 부동산이 급등하는 와중에 전세값까지 급등하면서 불만이 폭발하게 한 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개인 간의 계약에 국가가 지나치게 개입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2331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21:00
·
@현서빠님 관련해서는 위에 언급된 글이 있네요,,

임대차3법 시행된게 2020년 7월이고, 부동산원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 보면 2019년 상반기부터 수도권 전세 팍팍 오르기 시작합니다. 주장하신 대로라면 19년 여름부터 20년 여름까지 상승분은 어떻게 설명하실 건가요?
3법 시행 한참 전부터 폭등은 이미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그 추세를 더 부추겼다’ 정도면 몰라도 ‘3법 없었으면 폭등도 없었다’는 주장은 좀 과격하시네요.
현서빠
LINK
#140502479
IP 14.♡.85.191
23-01-25 2023-01-25 16:26:02
·
@사표방지위원장님
3법이 없었으면 폭등이 없었다라는 뜻은 아닙니다.
불번지는데 기름 부은 격이었죠.
실제로 입대차3법 직후 전세값이 법의 영향으로 급등한 것도 사실이고 임차인 면접까지 본다는 기사도 있었죠.
울고 싶은데 빰 때렸다고 해야 하나.
역대급 정무적 실패 법안이라고 봅니다.
NPV
LINK
#140503570
IP 223.♡.18.209
23-01-25 2023-01-25 17:07:52 / 수정일: 2023-01-25 17:08:24
·
@현서빠님

임대차법이 나쁜 법이라고 말하시는 분들 특징이
전세가 급등의 실질적인 원인인 초저금리는 언급 안하시네요. 지금은 임대차법이 없어서 전세가 급락하고 있는건가요? 2년전과 다른건 전세대출금리가 올라서잖아요.
그냥 임대차법이 꼴보기 싫고 임대차법 탓하고 싶을 뿐 아닌가요?
현서빠
LINK
#140503978
IP 14.♡.85.191
23-01-25 2023-01-25 17:23:39
·
@NPV님
법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정무적으로 실패했단 말입니다.
의도는 좋았는지 모르겠지만 집값과 전세값이 급등하던 시기에 입법되면서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에게 고통을 안겨준 것은 사실이었죠.
그 결과는 정권 교체였구요.
Danny90
LINK
#140506760
IP 110.♡.51.246
23-01-25 2023-01-25 20:09:15
·
@현서빠님 동감합니다
sltx
LINK
#140501486
IP 115.♡.177.138
23-01-25 2023-01-25 15:48:29
·
계약갱신과 거절에 따른 분쟁이 많은데, 거절 사유를 아예 없애거나 명확히 해서 분쟁의 소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1747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5:58:56
·
@sltx님 관련해서 법을 개선 수정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도담한물개
LINK
#140501632
IP 211.♡.116.232
23-01-25 2023-01-25 15:53:39
·
개인적으로 좋은 법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좋은 법안이 꼭 좋은 결과로 보여질수는 없고,
2+2가 충분할 것 같네요.
3+3은 너무 집주인들에게 피로가 될 것 같기도 합니다 ^^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2179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15:57
·
@도담한물개님 집은 살아가는데 필수인 만큼 3+3으로 아이들 키우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게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봅니다,,집주인의 피로보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위아더월드
LINK
#140501692
IP 1.♡.77.187
23-01-25 2023-01-25 15:56:20 / 수정일: 2023-01-25 15:59:47
·
임대차 3법 이후 임대인과 임차인은 적이 되었지요. 온갖 쓰레기 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게 요즘 임대시장입니다. 제도의 문제가 있으면 고치려는 노력을 해야하는데 정치권은 그럴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이네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2211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17:13
·
@위아더월드님 어떤 정책을 가져가도 지금 굥이 거부권을 행사하기에 할수 있는게 없습니다. 자기들 이익이 되는건 제외하고요,,,다음 총선에서 200석을 하거나 반굥으로 200석 없으면 앞으로 4년간 그대로 일듯요,,
지그프리드
LINK
#140501972
IP 211.♡.188.238
23-01-25 2023-01-25 16:07:39 / 수정일: 2023-01-25 16:07:47
·
임대차3법은 무조건 임대인에게 좋은 법입니다. 약자를 배려하는 법인데 이 법에 부작용 운운하는건, 법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한 탓이지 법 그자체가 아닙니다. 집 주인이 거짓말 했을 때 페널티가 너무 약했다는 뜻이고, 형법상 사기에 해당하게 법이 만들어졌어야 했습니다.

이 법이 임대인에게 불리하고 어쩌고 하는건 실물 경제를 모르거나, 악의적으로 왜곡하는겁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2093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11:57
·
@지그프리드님 그렇죠,,,무조건 임대인에게 좋은 부동산 3법도 있었습니다. 무려 재건축에 1채를 2채로 바꿔주는 법이요,,, 당시 법안 발의전에 주호영이 은마를 팔고 잠실주공으로 갈아탔죠,,
도시
LINK
#140502236
IP 221.♡.50.206
23-01-25 2023-01-25 16:17:48
·
주택같은 재화는 공급이 제한적이고 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정하게 흐를 수도 없으며 삶에 필수적인 요소임으로 제대로 제한해야 합니다. 임대료 뿐만이 아니라 매매가격, 매매이익등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제한해야 합니다.
이자를 제한하지 않으면 어떤일이 벌어질까요? 인간의 이기심은 공동의 이익과 같은 방향으로 가는 것이 아닙니다.

특히 우리나라 처럼 심각한 주택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더더욱 제약해야 합니다. 주택은 거주용이다라는 개념이 제대로 들어가기 전에는 법으로 강력하게 교정해야 합니다. 이런 건 음주운전과도 유사합니다. 음주 시 범죄를 제대로 처벌하지 않으니 범죄를 조장하는 것과 같은 일이 발생하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2369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6:22:25
·
@도시님 그러게요,,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건데 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네요. 그래서 모두의 공원인가 봅니다.
오떼블랑
LINK
#140502400
IP 61.♡.55.243
23-01-25 2023-01-25 16:23:16
·
임대차 3법 나왔을 때 난리도 아니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저도 당시 전세 살고 있었는데... 나름 저렴하게 살고 있었거든요.
근데 임대인이 자기 들어온다고 나가라더니... 결국 다른 세입자 구하더군요. 비싸게요.
사실 이미 집 다 구한 시점에 다시 물릴 수도 없는거고, 임대인한테 소송하기도 쉽지 않았구요.
얼굴 붉히고 싸우고 싶은 마음도 없었구요.
이래저래 임대차 3법이 좋다고만 하기는 어려운 법이기도 했습니다.

지금이야 폭락(?)해서 역전세 맞았겠지만.. 그 당시만 해도 알 수 없었죠.
결과론적인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3512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05:58
·
@오떼블랑님 결과론이 이라고 하더라고,,,앞으로 폭락 폭등 시기가 오더라도 세입자를 보호하는 법안으로는 완벽하진 않지만 그나마 괜찮은 법이라는게 이번에 증명된게 아닐까요,,,
Lamarsh
LINK
#140502515
IP 118.♡.44.96
23-01-25 2023-01-25 16:27:40
·
“좋은 법”인지는 여전히 잘 모르겠네요...
NPV
LINK
#140503633
IP 223.♡.18.209
23-01-25 2023-01-25 17:10:47
·
@Lamarsh님

임대인들은 그렇게 받아들이시는 것 같습니다.
예체
LINK
#140502815
IP 220.♡.141.132
23-01-25 2023-01-25 16:39:38 / 수정일: 2023-01-25 19:29:10
·
저도 좋은법이라는 생각은 아직도 안드네요. 마치 모든 대한민국의 집주인이 악당인것처럼 소급적용에 세입자 상시퇴거가능효과를 주는 독소조항까지 넣어서 집주인에게 예측불가능한 불의의 타를 안겨주고있죠. 정권뺏기는 악수가 되었죠.
바닉
LINK
#140502926
IP 211.♡.188.121
23-01-25 2023-01-25 16:44:28
·
조중동 기래기라고 욕하면서

임대차 3법은

그들이 전하는 뜻 그대로

악법이라고 생각하시는 분 많네요....
엄지척
LINK
#140502961
IP 210.♡.78.9
23-01-25 2023-01-25 16:45:25
·
자기들 다 살려줘도..... 집값 오른게 민주당 때문이라며.... 문통 때문이라며... 토왜한테 넘겨줘버렸어요. ㅠㅠ
St_martin
LINK
#140502974
IP 106.♡.2.88
23-01-25 2023-01-25 16:45:46
·
전세 안줘봤거나 안살아 보셨으면 모를수도 있어요

진짜 좀 아닌건 안니데 ㅎㅎ
아홉이
LINK
#140503027
IP 182.♡.167.66
23-01-25 2023-01-25 16:47:55 / 수정일: 2023-01-25 16:48:44
·
전세제도 자체가 임대인들한테는 무이자 대출과 다름 없는것이고
임차인이 대출이자를 감당하는 구조의 현재 상태를
이 나이가 되어서 깨닫네요.
집 값 떨어지니까. 16억짜리 아파트를 전세10억 6억은 대출로 샀다는 임대인들을 걱정하는 뉴스를 들으면서
이게 투자구나 싶었습니다.
망하는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기사에만 있는가 진짜로 있는가 궁금하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임차인이 역전세난으로 손해 본다는 뉴스는 언제쯤 볼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일론마스크
LINK
#140503394
IP 165.♡.5.20
23-01-25 2023-01-25 17:02:09
·
3+3 말고,
전세제도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3430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03:42
·
@일론마스크님 장기적으로 없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그 유명한 안젤리나 졸리도 아들 집구할때 전세제도는 이해가 안된다며 월세로 계약했다죠 ㅎ
일론마스크
LINK
#140504271
IP 165.♡.5.20
23-01-25 2023-01-25 17:35:29
·
@사표방지위원장님 이해했다면 갭투기? ㅎ
카르마2021
LINK
#140503426
IP 220.♡.144.176
23-01-25 2023-01-25 17:03:37
·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임대차3법이 좋은 제도였지요.

하지만, 2찍들과 부동산 탐욕자들은 동의하지 않겠지요.
Karv48
LINK
#140503513
IP 222.♡.61.141
23-01-25 2023-01-25 17:06:01
·
장기적으로는 임대차법 정도 수준이 아니라 주거 외의 소유를 금지하는 쪽으로 가야죠

임대와 주거를 완전히 분리해야 합니다.

개인은 무조건 주거 목적의 1주택만 소유 가능

임대 사업을 원할 경우 임대 사업법인으로만 가능하고, 임대 사업으로 등록한 주택은 임대 사업만 가능하게 하고 시세 차익 판매 못하게 금지.

주택 시장은 매점매석이 가장 큰 문제죠.

자본주의에서 매점매석은 범죄입니다.

법으로 범죄를 막아야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01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25:26
·
@Karv48님 이전에 부동산 관련 일본에서 임대업을 하는 인터뷰에서 세금으로 때가는게 너무 많다고 한국가서 하고 싶다고 했던 인터뷰가 기억나네요,,,
littlefinger
LINK
#140503689
IP 1.♡.148.36
23-01-25 2023-01-25 17:12:55
·
그 당시 임대차법을 까는 사람들의 태도를 보면 답이 보이죠. 지금도 댓글보면서 그 당시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그냥 가만히들 계셨으면 좋겠네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05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26:54
·
@littlefinger님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라고 생각은 하지만,,,정책은 결과로 말하는거면,,,지금의 결과에 수긍을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아닌분들이 많은듯요,,
김푸딩1
LINK
#140504167
IP 106.♡.192.79
23-01-25 2023-01-25 17:31:04
·
집값 폭등시킨 것도 정부라서 애매한건 사실이네요. 거기다가 그 법 때문에 전세가 상당히 줄어버려서 유효한 것 같진 않네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647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2:50
·
@김푸딩1님 전세 물량이 줄었으면 월세가 늘었을꺼라고 봅니다,,,집주인이 들어와서 전세 물량이 줄었다고 대부분 그러는데 그 집주인이 살던곳은 비워두나요?? 보통 2주택자가 1세대 전세주고 올려 받으려고 전세세대로 이사하면서 기존에 살던곳은 새로운 계약으로 전세를 주었죠,,,그부분 때문에 전세가 당시 가파르게 오른것도 맞습니다,,
강철멘탈
LINK
#140504703
IP 106.♡.67.162
23-01-25 2023-01-25 17:55:17 / 수정일: 2023-01-25 17:56:48
·
@김푸딩1님
정부 정책은 일부 영향이 있을지언정 주된 요인은 아니었습니다. 간단하게 일명 투자자본이나 투자자산들의 흐름을 보면 거의 똑같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죠. 주식, 가상화폐, 부동산....
이것들이 왜 유사한 시기에 들썩이고 죽었는지 찾아보시면 납득하실겁니다.
blueju
LINK
#140504845
IP 223.♡.28.127
23-01-25 2023-01-25 18:01:01
·
@김푸딩1님
OntheBeach
LINK
#140505775
IP 223.♡.181.63
23-01-25 2023-01-25 19:00:26
·
김푸딩1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6443141CLIEN
littlefinger
LINK
#140512317
IP 118.♡.3.139
23-01-26 2023-01-26 08:13:48
·
@김푸딩1님
시나리오맨
LINK
#140504354
IP 220.♡.34.13
23-01-25 2023-01-25 17:39:29 / 수정일: 2023-01-25 17:39:49
·
그래도 양심있는 임대인이 70%는 되었군요.
제 지인들은 임대인이 자기들이 직접 들어가 살 테니까 나가라고 해서 울며겨자먹기로 원하는 만큼 올려줬다고 합니다.
나중에 실거주를 하고 있는지 확인해서 소송을 걸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임차인들은 그럴 시간도 여유도 없어서 그냥 포기한다고 하더군요. 임대인들은 그걸 이용하는 거고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60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0:43
·
@시나리오맨님 그런 부분은 법으로 보완해서 쫒겨난 임차인이 쉽게 보상을 받을수 있고 임대인은 벌금을 강하게 한다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네요,,,
호야뉨
LINK
#140504403
IP 164.♡.106.147
23-01-25 2023-01-25 17:41:37
·
지금은 임차인을 보호하는 좋은법인건 맞습니다.
입법 당시에는 전세값 올리는 시너지가 된것도 맞다고 봅니다.
저금리 + 2년뒤 전세 못 올린다는 심리 때문에 한꺼번에 올리는 경향이 있었죠..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661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3:22
·
@호야뉨님 2주택자들이 보통 전세주던 세대 들어가고 살던곳을 전세주면서 폭등이 된게 많은거 같습니다,,,
쿠키맨
LINK
#140504414
IP 210.♡.104.130
23-01-25 2023-01-25 17:42:24 / 수정일: 2023-01-25 17:54:34
·
위에 어떤 분이 그냥 결과론적으로만 적어놔서

댓글을 씁니다.

진짜 인과관계를 명확히 했으면 합니다.


1. 집값은 폭등은 임대차 보호법 이전부터 폭등했습니다. (세계경기 영향)
2. 그에 따라 전세값도 당연히 폭등상태 였습니다.

하지만...
3. 임대차보호법으로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집주인이 그만큼 전세금할증을 유도한것은 사실이고
4. 그로 인해 전세값이 다소 오른 것은 맞습니다.

즉.. 임대차보호법으로 전세값이 오른건 해당 보증기간 만큼 오른 것으로 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2년보장에서 4년으로 보장한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만 오른 것이지요)

이걸 마치 전세값을 폭등시켰다?라고 말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771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8:12
·
@님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을이
LINK
#140504527
IP 175.♡.108.157
23-01-25 2023-01-25 17:47:25
·
70%가 혜택을 받은 법안이 좋은 법안이 아니라는 분들은
100% 만족할만한 법안을 제시해줬으면 싶네요.

그 당시 5%로 재계약한 70%가
모두 그 당시 인상율을 따라서 재계약을 했더라면
지금 우리나라가 온전했을 것 같지 않은데 말이죠. -_-;;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759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7:51
·
@님 종부세는 3퍼 정도만 내고 97퍼가 혜택(지방자치 발전)을 받는데,,,40퍼 이상이 반대합니다,,,아이러니 하죠,,,
현서빠
LINK
#140504585
IP 14.♡.85.191
23-01-25 2023-01-25 17:49:40
·
너무 임차인 입장에서만 생각하시네요.
임대인은 부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악이 아니에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722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7:56:06
·
@현서빠님 지금 전세금 못돌려주고 있는 임대인은 부당한 이익을 추구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현서빠
LINK
#140504854
IP 14.♡.85.191
23-01-25 2023-01-25 18:01:19 / 수정일: 2023-01-25 18:03:26
·
@사표방지위원장님
임대인은 그냥 시세대로 받았겠죠. 덕분에 고생할 테구요.
시세대로 받는걸 부당하다는 하는 건 좀 이상하지 않습니까.
임차인 만큼 임대인이 있을 텐데요.
임대인 모두를 부당 이익을 추구하는 악으로 몰아도 되는 걸까요?
사표방지위원장님도 나중에 임대줄 수 있잖아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4919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8:04:46
·
@현서빠님 본글의 요지는 임대차 3법으로 임대인도 지금의 역전세를 어느정도는 방어를 했고,,임차인도 당시 1-2억씩 줘야하는거 5% 내에서 처리되어서 지금 상황이 최악은 아니라는 건데 제가 임대인을 악으로 몰았나요?? 글을 다시 읽어보아도,,,악으로 몰진 않았는데요,,,기레기와 선동했던 교수들이 악이라고 적었죠,,
현서빠
LINK
#140504973
IP 14.♡.85.191
23-01-25 2023-01-25 18:08:16
·
@사표방지위원장님
오해가 있었네요.
사표방지위원장님 글을 두고 쓴 댓글은 아닙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만 쓴 댓글들이 많아서 쓴 글이에요.
참다운길
LINK
#140505522
IP 223.♡.21.138
23-01-25 2023-01-25 18:42:42
·
@현서빠님 그 시세 자체가 거품이 껴있어서
영끌족도 나오는 상황이에요

딩사지들도 알고 있기때문에
지금아니면 집 못산다 는 말도 꺼내들었던거죠

애초에 그런 추세는 일본의 집값버블과 다를바 없습니다
룰루랄라1
LINK
#140504940
IP 124.♡.17.7
23-01-25 2023-01-25 18:05:48 / 수정일: 2023-01-25 18:09:23
·
취지는 좋지만 시행시기가 좋지 않아 전세값 급등을 만든법입니다. 매물감소로 오르는 도중에 또다른 전세물량감소 법안으로 급등을 만들고 패닉바잉까지 만들었죠. (정권내내 매물감소 정책추구. 세금전가정책으로 정권도 뺏긴거죠)
임대차정책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전세물량경쟁으로 오버슈팅이 나올수는 없었을겁니다. 호갱노노에서 아파트 하나찍고 그시기에 전세가격 찍어보세요.
지금은 전세값이 떨어졌지만 금리인상으로 인해 지불하는 임대비용은 예전보다 비싼수준입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508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8:13:55
·
@룰루랄라1님 맞습니다. 전세가 급등한 부분도 당연히 있습니다,,말씀대로 저런법은 하락기게 했으면 그 누구도 뭐라 안했을꺼라고 봅니다,, 당시 임대차 3법으로 지금의 역전세가 최악이 안된건 아닐까 싶습니다,,,
룰루랄라1
LINK
#140505132
IP 124.♡.17.7
23-01-25 2023-01-25 18:16:31 / 수정일: 2023-01-25 18:17:55
·
@사표방지위원장님 임대3법으로 인해 전세급등나왔고 그에따른 패닉바잉으로 인해 오버슈팅 갭투부분에서 금리급등으로 인한 역전세가 더 심해진거죠.
mozilpark
LINK
#140505224
IP 121.♡.77.212
23-01-25 2023-01-25 18:22:23
·
@룰루랄라1님 많이 동감합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5380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8:32:04
·
@룰루랄라1님 임대차 3법이 아니었으면 전세급등도 없고 패닉바잉도 없었다고 생각하신다면 존중합니다.
청해무운
LINK
#140505171
IP 112.♡.26.3
23-01-25 2023-01-25 18:19:13
·
2+2+2가 적절합니다.
fngu3x
LINK
#140505258
IP 121.♡.136.75
23-01-25 2023-01-25 18:24:16
·
부끄럽습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5385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8:32:20
·
미드나잇
LINK
#140505394
IP 222.♡.56.189
23-01-25 2023-01-25 18:33:22
·
OntheBeach
LINK
#140505779
IP 223.♡.181.63
23-01-25 2023-01-25 19:00:47
·
fngu3x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268425CLIEN
토리7
LINK
#140505785
IP 106.♡.203.123
23-01-25 2023-01-25 19:00:57 / 수정일: 2023-01-25 19:07:53
·
말은 바로 합시다. 임3법 신의 한수가 아니에요...
그냥 그때 당시 시장 원리대로 두었어야 했습니다.
금리가 낮아서 부동산, 주식으로 돈이 모여서 가격이 올라가는데
정치적, 제도적으로 잡으면 반발만 나옵니다. 민주주의 인데 왜 사유 재산을 건드려? 이런식으로요...

미국 금리 상승으로 국내 경제가 흔들리고 부동산, 주식 떨어지는 거 보면서...
여러가지 파급효과를 보면서 학습을 하겠죠...

정부에서는 다주택을 가장 먼저 제한했다면.
부동산 정책으로 욕 안먹었을겁니다.
2주택을 가장 나중에 제한 했죠...
처음부터 했어야 하는데...
가장 마지막에 하면서 본인들도 혜택을 받은 의원도 꽤 있었죠...

뭐 그래도 지금의 굥 정부처럼 나 몰라
니들이 알아서 해... 보다는
서민을 신경 써 주었지만
반대로 극우세력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저도 진보성향이 강하고, 집에서는 빨갱이 듣는 50초반 입니다만
부동산은 시장은 자연스럽게 두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 합니다.

공급이 모자르면 올라가고
공급이 넘치면 떨어지게...
토로!
LINK
#140506094
IP 39.♡.51.116
23-01-25 2023-01-25 19:21:28 / 수정일: 2023-01-25 19:27:23
·
저는 몇몇분은 아시지만 모공사 에서 전세임대상담 부서에서
분쟁 조정팀으로 일을 몇년 한적이 있었는데
입사할때 임대차보호법을 몇주동안 공부 시키더군요
임대인/임차인 분쟁이 생기면 임대차보호법을 들이내밀면 신기하게도 임대인이나 임차인에게 잘 먹히더군요
분쟁도 잘 해결되었구요. 그런데 공사가 ‘갑’ 이었기에 잘 해결되었다는걸 모르고 있었어요
저는 그런 믿음 때문인지 임대차 3법에 대한 기대도 컸었습니다
지금도 그렇구요. 하지만 작년에 고생했던 친구/동생들 밖에 없었습니다
정말 정치적으로도 그 이유때문애 표를 돌렸던 친구도 많습니다
저는 미안해서 말도 못꺼내요. 갱신권을 쓴 사람도 사실 주변에서 저 밖에 없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임대차보호법만 법대로 잘 실행된다고 해도 좋은 사회가 될텐데
그렇지않으니깐요. 얻어걸려서라도 임대차3법이후에 상황이 좋아졌다면 좋았겠지만
그러지 못했습니다 최소한 제 주변은 그랬어요. 안타깝죠 .
아직까진 주변에서 임대차3법때문에 그래도 잘 견뎠다 하는 이야기는
안타깝게도 정치적인 생각이 달라도 이익에 대한 생각이 달라도 어디애도 안들립니다.
다들 잘견뎠다고 할 수 았는 그런날이 왔으면 소망합니다 🙏
그때는 저도 한소리하려구요 😂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6178
IP 59.♡.177.137
23-01-25 2023-01-25 19:26:32
·
@토로!님 모두 상황이 다르고 직접 겪으신 분들은 더 크게 느끼니까요,,안타깝네요,,지금의 하락시기에 시행했으면 정말 임대인 임차인 모두 큰 불만이 없었을텐데 말이죠,,,
토로!
LINK
#140506226
IP 39.♡.51.116
23-01-25 2023-01-25 19:28:53
·
@사표방지위원장님

그러게 말입니다 ㅜㅜ 사표방지위원장님도 피해보단 득이 훨씬 많으시길 바랄게요 🙏🙏
올해는 뭐 여러가지로 조건은 별로더라도 힘내봐요 에고 ㅜㅜ
마쫌치나
LINK
#140506434
IP 221.♡.130.78
23-01-25 2023-01-25 19:44:55
·
결과론적 비약인 것 같고요.
당시 민주당이 이런 상황까지 내다보고 그 법을 통과시켰을거라 생각하진 않습니다.
임대차3법 통과당시 잠시라 해도 전세가 폭등했던건 사실이었고, 당장 몇억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은 외진곳으로 밀려났죠.
지금과 같이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상황이 오지 않았다면 부작용과 피해는 임차인들이 고스란히 계속해서 안고갔을 수도 있습니다.
민주정부 치적을 어떻게든 칭송하고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적당히 했으면 합니다.
당시 김현미 뻘소리 시전하던거 생각하면 아직도 화가나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7101
IP 218.♡.6.24
23-01-25 2023-01-25 20:33:49
·
@마쫌치나님 정책은 결과로 평가 받아야죠?? 가파른 금리 상승은 코로나로 제로 금리가 아니었으면 생기지도 않았죠,,반대로 민주당을 어떻게든 까고 싶은거 아닌가요??
마쫌치나
LINK
#140507735
IP 221.♡.130.78
23-01-25 2023-01-25 21:15:09
·
@사표방지위원장님
그런식의 결과론이면 문재인 대북정책도 실패겠네요?ㅎㅎ 금리는 코로나 이전에도 낮았는데요.. 저도 여태 민주당에만 표준 사람인데요. 인정할건 인정합시다. 민주당은 다른건 몰라도 부동산 관련해서는 잘못한게 더 많아요. 핀셋규제니 무슨 집값 잡겠다고 호언장담 하던거 자체가 전국민 기만이었습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40508978
IP 27.♡.225.45
23-01-25 2023-01-25 22:34:14
·
@마쫌치나님 부동산은 잘못한거 맞고요. 임대차 3법은 잘한거에요,,
NPV
LINK
#140506504
IP 219.♡.56.99
23-01-25 2023-01-25 19:49:23 / 수정일: 2023-01-25 19:50:14
·
댓글들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이거네요

1. 임대차법의 취지 등을 고려하면 좋은 법이다.

2. 도입시기가 안 좋았다.
특히 이 부분을 문제로 물고 늘어지는데,
지금은 사라진 문제점이죠. 많은 사회적 비용이 들었지만...그런데 이게 지금 임대차법을 폐지해야할 이유가 되나요?

3. 임대인에게는 나쁜 법, 임차인에게는 좋은 법
공정한나라
LINK
#140506532
IP 211.♡.14.186
23-01-25 2023-01-25 19:51:28
·
10000% 공감 합니다
3+3 지지 합니다
Danny90
LINK
#140506874
IP 110.♡.51.246
23-01-25 2023-01-25 20:17:42 / 수정일: 2023-01-25 20:17:50
·
만약에 3+3 제도가 도입된다면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시 임차인이 중간에 임의로 계약 종료 할 수 없게 하면 좋겠습니다.
NPV
LINK
#140507154
IP 219.♡.56.99
23-01-25 2023-01-25 20:36:27
·
@Danny90님

지금도 충분히 중도해지 못하게 신규계약을 할 수 있습니다. 단지 임대인들이 임차인들과 타협과 절충을 할 생각이 없는거죠.
흡혈귀왕
LINK
#140506922
IP 106.♡.11.57
23-01-25 2023-01-25 20:22:06 / 수정일: 2023-01-25 20:27:31
·
임대차 3법은
시행 타이밍이 나쁘게 말하면 드러워서 그렇지
법 자체는 좋은 법입니다.

당시 폭등기때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역할했던것도 사실이고
현재 갱신권을 통해 임차인 보호하는것도 사실이라

일장단이 있는거죠.
사실 과정만보면 임대차3법 시행전인 2020년까지만
해도 이미 집값은 미친듯이 오른 시점에서
전세가 상승을 무조건 임대차 3법 탓만 하는건
시장 흐름을 못 읽는거죠..
(단 상승에 영향을 준것은 사실)

중간에 인고의 과정을 겪었지만
결과만 놓고 봤을땐 아주 잘한 법인건 맞습니다.
타이밍이 좀 아쉬웠을뿐
박패기
LINK
#140506997
IP 59.♡.135.120
23-01-25 2023-01-25 20:26:42
·
그러게요. 이렇게 좋게 돌아오는거죠.
물고기왕
LINK
#140507031
IP 125.♡.92.249
23-01-25 2023-01-25 20:28:50
·
신의 한수였는데 정권 재창출 관점에는 악수가 되버렸죠
머 따지고 보면 건설회사 사주 언론들을 통제 못한거 때문이긴 하지만요
아스
LINK
#140507211
IP 218.♡.103.179
23-01-25 2023-01-25 20:40:04 / 수정일: 2023-01-25 20:43:19
·
임대차3법이 좋은법이기는한데.. 타이밍이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공급이 충분이 있었을때나 했어야했는데 공급이 부족할때 시행하는 바람에.. 역효과가 발생했죠
민주연구원에도 입법후 적용이되면 전세가가 오를껄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sunshinekj/222141141277

공급이 부족한상태에서 갱신권을 사용한 물량때문에 많은 전세물량이 묶여버리니 경쟁률이 올라가서
전세가격이 급등해버렸죠.. 법은 좋은법인데 해외에서도 이미 사례가 충분한데 왜 하필 공급이 부족한 타이밍에
입법했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흡혈귀왕
LINK
#140507951
IP 112.♡.196.147
23-01-25 2023-01-25 21:29:35
·
@아스님 이현철 소장도
남들 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욕할때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잘못된거 하나도
없고 다 필요한 조치였다라고 말할정도였죠

유일하게 안좋게 이야기한게
임대차3법 타이밍정도였죠 (법 자체는 좋은법이라고 함..다만 타이밍이 좋지 못했다정도)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