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협, 국민제안 TOP10 온라인 투표 독려 < 기획/이슈 < 기사본문 - fn아이포커스 - https://www.fneyef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98
(전략)
대안협은 26일 전체 회원들에게 관련 문자를 전송하며 회원들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를 통해 콘택트렌즈 온라인 판매 허용 안건이 상위 3개 우수 제안에 선정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했다.
(후략)
물론 소비자단체 외의 이권단체가 소비자의 적인건 당연한거긴 한데....
밥그릇 이권문제니 매달리는거겠지만, 진짜 참 그렇네요 ㅡ,.ㅡ;
국민제안의 우수제안 선정은 어뷰징문제로인해 발표안하기로 해서 상관없는 이야기가 되긴 했습니다만,
도수렌즈 가공의 온라인판매 금지까지는 그렇다쳐도
공산품인 콘텍트렌즈나 도수수경 같은것들도 안경점에서 사야한다는건 정말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작년에 도수제품 온라인판매 관련 정책이 추진되었다가 무산되었는데 이번엔 어떨런지...
평생 안경 값 모두 더하면,
그냥 라식 하는게 낫죠
안과 의사들 가운데
본인과 자녀들, 라식 라섹한 분들도 많습니다
실제로 그걸로 병원 홍보하기도 하구요
굴절교정술을 하면
빛번짐과 안구건조증이 생깁니다
그 불편함을 감수하고라도 안경을 벗겠다면
시력교정술을 하는 거고,
그 불편함이 싫으면 안경을 쓰면 됩니다
그냥 선택의 문제입니다
가격자체는 말씀하신것처럼 이젠 더이상 직구할이유가 없을정도로 다 내려오기는 했죠.
찾아보면 안경 싸게 할수 있는 방법 많아요
한국은 진짜 싼편입니다 안경
가격이 저렴하다고 오프라인 안경점 독점이어야 할 이유는 안된다고봐요.
저도 안경 자체는 안경사의 손을 거쳐야 하고 1:1서비스가 필요하다는점에서 납득할수있는데, 언급한것처럼 사실상 공산품인 콘택트렌즈나 도수수경같은것들도 안경점에서만 사야한다는건....
대부분의 나라가 비싼 처방전 받고 콘텍트 구매 합니다
수가공이 안들어가고 공장에서만드는건데 공산품이 아니면 뭐죠....?
그리고 저는 처방전없이 그냥 쇼핑을 허용해달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당연히 안과의 안경처방전이 있어야죠.
대만 은 처방 받는데 5 만원 콘텍트는 원가에 판매 하기도 합니다
미국은 처방 받는데만 100 불 이고요
결국 누구인가의 배불러주는것입니다
한번 받는데 아니라 구매 할때마다 처방 받습니다
안경 콘텍트 산업이 빛좋은 개살구라서
대기업 진출했다 다 철수 한 이유가 있어요
규제도 규제 지만요
저는 이야기하신 내용에 대해 순수하게 이야기한것에요.
안경 싸게 할수있는 방법이 많다 -> 단순히 가격때문에 도수제품이 오프라인 안경점 독점이어야할 이유가 되진 않는다.
콘텍트렌즈는 공산품이 아니다 -> 수가공이 없으니 공산품이다.
물론 현 안경사분들의 이권이 침해되는거니 본글에 적은것처럼 저리 대응하는거 자체는 알겠고
저시력자를위한 도수렌즈가 의료기기의 특성이 있기때문에 특수성이 있는건 맞지만,
스타트업이 해보려해도 나가리고, 공산품도 오프라인 안경점 독점이고 하는건 합리적인 부분이 아니라고봐요.
누구를 배불리게하는거다 하는게 문제라면 온라인판매를 금지할게 아니라 그거 관련해서 조정하고 할 생각을 하는게 맞지않나요?
저는 그리고 일반 안경자체는 어느정도 이해할수 있다고 적었어요. 안경사의 손의 필요성이 있으니까요.
공산품의 영역에 속하는 도수렌즈 제품들도 유통을 묶어놓은걸 이야기한거죠.
하다못해 다른 의료기기들은 온라인판매가 허용되는데 도수제품은 왜일까요.
막말로 온라인 구매 허용 하고
대부분의 선진국 처럼 처방비용 무조건 받는 쪽으로 바뀌면요? 결국 배달대행처럼 중간에 훨신더 많이 해먹는 놈들만 늘어 나요 눈처방비용 최소 3 -10 만원 입니다 렌즈 한번 살때 마다 나가는 비용이죠
조금 편해지고 비용은 두배가 됩니다
지금도 온라인으로 사는 구멍이 있죠 합법이 아니지만요 세상은 생각보다 소비자랑 정의로운 쪽으로 가지 않더라고요
안경점에서 사실분은 안경점에서 사시면되고, 온라인에서 사야할 필요가 있으신분들은 처방받아서라도 온라인으로 살수있게 해야한다는건데 그게왜 잘못된건지 이해하기 어렵네요.
처방전이 필요한데 온라인으로 사야하는사람은 당연히 그래야할 이유가 있는것 아닐까요?
애초에 도심 주거지역에만 안경점이 너무 많다고봐요.
---
내용 수정하셨네요. 안경처방전 얼마 안합니다..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진료비+몇천원추가에요.
한국은 안경원에서 공짜로 해주니까. 안과처방 비용 그만큼 받는거죠 한국에서 그것도 의료 보험 처리된
의료 비용을 이야기 하시면 비교가 어렵죠 여기 한국인데 … 하시면 결국 보험료 상승이니까요
저도 애초에 안경원이 너무 많은것이 문제는 맞는데
너무많아서 경쟁하는게 소비자 에게 이익입니다
30년전 경쟁없는 안경원을이 얼마나 편하게 많이 해먹는지 아니까요
업자들끼리의 경쟁은 무조건 소비자 들에게 이익입니다
눈처방 최소 3~10만원이라고 적으셔서, 현재 적게는 몇천원 만아도 만얼마면 받을수있다고 적은거구요.
정말 온라인판매를 허용 (처방전 요구)시 안경처방전가격이 3~10만원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제가 안경점이 없어져야 한다고 한게 아닌걸요. 안과보다 안경점이 접근성이 높은나라인데 비용도 더 저렴하니 일반적으로 많이나가는 콘텍트렌즈는 그냥 안경점에서 사는게 당연히 저렴하고 처방전도 필요없는데 절대다수는 그대로 사겠죠.
그런데 안경점에서 잘취급하지도 않는 도수제품(공산품)도 안경점에서 독점판매하게만 묶어놔서 취급하는곳을 수배해야하고 그나마도 비싸게 파는경우가 많은데 이런게 비합리적이니 하는말이죠.
안경처방의 독점과 시스템의 변화가 있을때
다른나라를 참고 하겠죠
저는 시스템을 바꾸는것을 별로 좋아 하지 않고
배달앱 처럼 될꺼 같아서요
중간에 많이 해먹는 사람이 늘어 나는게 보통이니까요
안경사의 검안자격을 없애고 안경만드는데 안경처방전을 필수로 하라는게 아닌데 이런이야기가 나올이유가 있을가요...
아래에 적은내용 다시 적어봅니다.
"어차피 말씀하신내용들처럼 안경점이 접근성도 높고 가격도 저렴한데 굳이 안경점보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안과에 직접 가서 돈내고 처방전까지 받아가며, 온라인으로 주문해야할때는 그러할만한 이유가 있을거라고 생각해보시는게 좋지않을까요.."
안경맞추려고 서울까지 가야하고 온라인에서 가공한거 기다리고 하는 건 싫으네요. 생각만 해도 답답합니다.
안경 40년쓴 사람이라서요
오프라인 안경점이 모두 없어져야 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실상 공산품인 물건들도 안경점에서 사야하는데, 안경점에서 취급안하거나 그런건 비싸게 받거나 하는경우가 허다해서요.
저도 전면적인 허용을 해야한다~ 그런거까지는 절대 아니구요. 적어도 어느정도 통신판매가 가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본문내용이나 댓글보시면 아실텐데.. 온라인구매라고 저렴할거라고 하는이야기가 아닙니다.
애초에 온라인판매를 하더라도 처방전이 필요할거라 단순가격은 프랜차이즈 안경점보다 비쌀거에요.
다만 안경점에서 잘 취급 안하거나해서 하는 공산품을 독점이란이유로 비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해야하는 것 때문에요.
단순히 물건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이나 원자재가격만으로 시장에서 가격이 형성되는 경우는 드물죠.
특정 도수수경같은건 도수렌즈 하나 들어간다고 백화점보다 비싸게 사야하고 하는건 납득하기 어려운걸요...
백화점보다 취급하는곳 접근성도 떨어지구요.
안경점도 이걸로 딱히 돈벌지는 않을겁니다. 도수렌즈가 포함된 모든 제품을 안경점에서만 취급하게 되어있으니 생기는 일이죠.
제가 보기엔 공산품 영역의 제품의 마진을 안경점에서 확보 할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 안경의 마진이 줄어 들다 보니 온라인 판매를 막는게 아닌가 싶네요.
약사 이슈도 그렇고 오프라인 매장을 한다는 것은, 사람을 상대 해야 하고, 임대료를 내야 하고 직원을 고용해야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마진 포기는 쉽지 않을듯 합니다.
저도 안경점자체에 절대 불만은없습니다.
저도 안경점의 이권을 무조건 박탈해얗나다는게아니에요.
안경점의 이권을 보장하는선에서 온라인 구매도 허용해야한다~라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도수렌즈제품은 안경점에서만 팔게되어있는데 안경점에서조차 구하기가 어려우면 도대체 어떻게 사야할가요... ㅠㅠ
호주에서 오신 한분은 한국 오셔서 안경 2개 맞춰서 가셨어요. 이렇게 싼 가격에 빨리 되냐고 놀라시던데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팔리는 도수제품인 콘텍트렌즈는 통신판매가 허용되도 오히려 안경점이 쌀겁니다. 처방전이 필요없으니까요.
그렇지만 오프라인 안경점 독점제한으로인해 안경점에서 잘취급안하는 특정 브랜드 제품은 특정제품을 수배해야하고 그마저도 비싸게 사야하는경우가 많은건 아무리봐도 납득하기 어려워서요.
어차피 말씀하신내용들처럼 안경점이 접근성도 높고 가격도 저렴한데 굳이 안경점보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안과에 직접 가서 돈내고 처방전까지 받아가며, 온라인으로 주문해야할때는 그러할만한 이유가 있을거라고 생각해보시는게 좋지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