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디.님 +1 배송료도 유럽은 물가대비 정말 비싸니 저것도 먹힐 수 있겠네요. 탄소세와 내연기관 차량 감소 정책때문에 아마 향후엔 전기트럭이나 연료전지 트럭을 구매해야 하는데 그마저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렵다면 저것도 답일것 같아요.
Seez
IP 124.♡.81.253
07-17
2022-07-17 22:45:59
·
4조....? 125조를 봐서 그런지 싼 느낌마저 드네요 ㄷㄷㄷ
KNI
IP 14.♡.68.9
07-17
2022-07-17 22:54:19
·
일반적으로 터널은 원으로 팝니다. 원으로 파야 버티는 힘이 크거든요. 지하철도 원형으로 파요. 구멍 파기는 원으로 파는데 실제 사용하는 단면은 직사각형이죠. 그렇게 파고나면 직사각형 외곽으로 남는 공간이 많잖아요? 거기를 저런 물류 시스템을 넣는게 차라리 더 경제적이겠네요.
문제는 화재일 듯요. 지상이어도 화재 진압이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선에서 끌 수 있지만, 지하에 터널이면 끄기가 쉽지 않고, 유독 연기가 금새 내부를 꽉 채울테니고 조명을 켜도 보이지 않을 거고 내부 인력이 탈출도 어렵고 거의 다 질식사 할 거예요. 교통용 도로나 기차 터널은 거리를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고 내부에 기계 전기 장치가 최소화되어 있고 터널 내부에 사람이 근무하진 않지만, 물류 터널이라면 내부 컨베이터가 전체에 깔릴테고 많은 기계 전기 장치가 들어가니 고장이 자주 있을 수 밖에 없고 그만큼 화재 위험은 커지고 작동하는 부품을 수리나 교체해야 하니 아무리 소수라도 사람이 거의 상주하다시피 할 수 밖에 없을 듯 한데요. 피해가 별로 없을 입구와 출구에만 사람이 근무할 순 없을 것 같은데, 어찌 해결할른지 모르겠어요.
@한글2자_영문4자_이상님 지하에서의 화재가 그 정도로 끄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요. 지하는 연기가 빠져나갈 공간이 적으니 화재 한 번 나면 내부의 생물은 다 질식할만큼 연기가 엄청나요. 뭔가 대책은 있을텐데, 실제에서 그 대책대로 안 될 여지가 상당하다고 봐요. 실제 건설된다면 어떨지 궁금하기도 해요.
IP 219.♡.32.57
07-17
2022-07-17 22:57:50
·
저런식은 택배의 경우 현재의 허브앤스포크 방식이 아닌 피투피 방식인 셈이네요 기존허브 구축비용대신 저렇게 할 수 있다면, 괜찮을꺼 같네요
츄하이하이볼
IP 218.♡.81.217
07-17
2022-07-17 22:58:20
·
전 국토가 강원도같은 나라이다보니 물류만 저렇게 해결해도 지상 도로망 투자는 줄여도 된다면 경제성 있다고 보는 걸까요? 나름 계산은 있어서 하는 것 같긴 합니다.
Vonich
IP 82.♡.48.6
07-18
2022-07-18 04:50:48
·
@츄하이하이볼님 아마 저쪽 상황이 이럴것 같습니다. - 내연기관 운송차 금지 - 탄소세 증가 - 도로 확충 및 보수세 부담 (일부 유럽은 차량 무게와 연비 조합으로 세금이 달라집니다) - 배송기사 수급 어려움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28년 됐네요...ㅎㅎ
윤굥세훈이 좋아하겠네요
원래도 차량에 의한 육로운송이 절대적이지만 규모의문제로 메가물류허브+간선도로망이 덜발전해서 더 현실적이라고 평하던...
도심지 같은 육상으로 다니기 힘든 구간이 아니라면 효용이 많이 떨어지죠.
계획상으론 소구경 터널이고 규격화된 터널이라 규모의경제가 달성가능하다면 굴착비용자체는 어느정도 감수가능한 영역이라고 하더라구요.
물류시스템 자체가 효율성을 달성할수있는가가 관건인데 그게 여러모로 의문이듭니다.
말씀하신부분도 있지만 토지보상+환경문제서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걸 장점으로 꼽더라구요.
지하철도 원형으로 파요. 구멍 파기는 원으로 파는데 실제 사용하는 단면은 직사각형이죠.
그렇게 파고나면 직사각형 외곽으로 남는 공간이 많잖아요? 거기를 저런 물류 시스템을 넣는게 차라리 더 경제적이겠네요.
교통용 도로나 기차 터널은 거리를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고 내부에 기계 전기 장치가 최소화되어 있고 터널 내부에 사람이 근무하진 않지만, 물류 터널이라면 내부 컨베이터가 전체에 깔릴테고 많은 기계 전기 장치가 들어가니 고장이 자주 있을 수 밖에 없고 그만큼 화재 위험은 커지고 작동하는 부품을 수리나 교체해야 하니 아무리 소수라도 사람이 거의 상주하다시피 할 수 밖에 없을 듯 한데요.
피해가 별로 없을 입구와 출구에만 사람이 근무할 순 없을 것 같은데, 어찌 해결할른지 모르겠어요.
물류가 밖으로도 나가야 하기 때문에 지상 출입구도 군데군데 있을 것 같아요.
지하철도 지하로 다니는데, 너무 걱정 안 해도 될 것 같아요
뭔가 대책은 있을텐데, 실제에서 그 대책대로 안 될 여지가 상당하다고 봐요.
실제 건설된다면 어떨지 궁금하기도 해요.
기존허브 구축비용대신 저렇게 할 수 있다면, 괜찮을꺼 같네요
나름 계산은 있어서 하는 것 같긴 합니다.
- 내연기관 운송차 금지
- 탄소세 증가
- 도로 확충 및 보수세 부담 (일부 유럽은 차량 무게와 연비 조합으로 세금이 달라집니다)
- 배송기사 수급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