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것도 안 하고 싶다
이미 아무 것도 안하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아무 것도 안하고 싶다
블룸버그에서 '파산위험이 높은 50개 국가'에 대한민국이 포함되어도...
아무 것도 안 하고 싶다
이미 아무 것도 안하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아무 것도 안하고 싶다
// 한국 디폴트 가능성 (feat 뉴스공장 최배근 교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402836CLIEN
고속버스 운전기사로 '이제 겨우 몇 개월 배운 이'를 앉혀놓고 내달리고 있다.
아니, 자세히 보니 저 사람은 옆 좌석에 앉아서 '고주망태'로 술잔을 기울이고 있고,
어떤 여인, 어떤 도복을 걸친 도사 법사들이 서로 핸들을 바꿔잡고 있다.
벌써 고속버스는 과속으로 질주하기 시작했고,
타이어는 덜덜덜 흔들리기 시작하고,
백밀러는 벌써 어디 부딪쳤는지 부서져 버린 것 같은데,
일명 '언론사'라 불리는 '돈을 쫒는 이익집단'들은 죄다 일어서서 흥겹게 어깨춤을 추고 있다.
이 고속버스.. 나도 타고 있고, 당신도 타고 있는데.. 어쩌죠?
이미 가드레일을 부딪치고 있는데, 왜 죄다 모른 척 하고 있는거죠?
// 뉴스공장에 출연한 최배근 교수의 발언 정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403275
*
// '진짜 최악의 글...'이라 말씀하시니, 답을 달아봅니다.
/Vollago
빚이 많지만 그에 못지않게 부동산등이 많아요...
한국을 개도국 (emerging)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에도 한국 이야기는 한줄도 없고, 위 그림의 표도 50개 국가 중 끝에서 4번째로 건실하다는 내용인데요.
그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겠네요...
이머징 국가(신흥 시장) 50개 중에 국가부채의 위험도를 정리한 표에서
"덜 위험한 순위로"
1위 쿠웨이트, 2위 사우디, 3위 UAE 빼고, 그 다음 4위 한국입니다.
순위표 말고는 한국이라는 말 자체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국가부도 위험을
자원만 팔아도 돈이 복사가 되는 나라들과 동급으로 판단한 거에요..
공식적으로는 선진국(developed country)로 분류 됐는데요
개도국들 중에 파산위험이 제일 적은 편이다, 가 맞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