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dfeel님 우리나라에서 선호하는 물맛은 마그네슘 성분이 적은 제품인데, 삼다수가 거기에 속합니다. 14년 제주도 기관 방문했을 때, 삼다수 외 다른 화산 암반수라고 새 제품 만들어서 홍보한다고 했지만, 요즘 안 보이는 걸로 봐서 실패했지 싶습니다. 그 물은 에비앙과 비슷한 정도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yesimok님 시원한 생수 한두병 마시는걸로는 모를 수 있는데, 꾸준히 마시면 물맛이 다 다릅니다. 제가 그런거에 좀 둔감한 편이라 잘 모르고 살았는데, 외국 나가서 살아보니까 다른게 확 느껴지더라구요. 잘 맞는 브랜드 하나 찾아서 주구장창 그것만 마시고 살았습니다.
지난 글을 보니 레고 좋아하시는 것 같던데, 레고 플라스틱 브릭은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레고 부속이 너무 작아서 재활용하기 쉽지 않고, 탄소배출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나서야 레고에서는 겨우 전체의 2프로 정도만 재활용 소재로 바꿨고, 그 동안에도 포장재에서도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레고 사와 레고의 상품들은 엄청난 환경 공해를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뭐 레고만의 책임은 아니지만, 소비자에 대한 캠페인이나 교육도 적어서, 많은 장난감이 그냥 폐기되고 있고요. 출처 :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590
본인께서 모으시는 장난감은 꼭 나중에 제대로 분해해서 재활용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왕이면 더 이상 구매하지 않는 것도 방법이겠죠. 기존 중고를 매입하시던지, 나무토막 브릭을 써야합니다. 생수야 사람이 살아가는데 물이 필요하니 어쩔 수 없지만, 플라스틱 장난감 하나 안산다고 사람이 못사는 거 아니니까요.
IP 39.♡.46.69
07-10
2022-07-10 22:49:38
·
@하늘편지님 생수용기는 재활용이 용이해서 분리수거할때 생수병 용기만 따로 구별해서 모을정도인걸로 아는데요;; 주범이라는 근거가 있으신가요?
@하늘편지님 정수기 필터를 생각하면, 재활용이 안되는 복합소재로 인해 그냥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외부는 프라스틱이고, 내부는 활성탄과 유무기소재로 되어있죠..
거기에 정수를 해야하는 원수 상태가 좋지 못하면 필터 교체주기는 매우 빠르게 감소해서, 필터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오히려 PET는 요즘 투명PET를 별도 수거/재활용 할 정도로 어찌되었던 분리수거를 하지만, 정수기가 플라스틱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는 부분은 동의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OLIVER
IP 223.♡.192.187
07-10
2022-07-10 22:56:43
·
@하늘편지님 물론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인식변화가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하는건 맞습니다만 그런식으로 사용자 탓을 하거나 우리끼리 싸울 일이 아니고 정부와 제조사를 압박해야 할 문제에요.
하늘편지
IP 223.♡.73.83
07-10
2022-07-10 23:23:16
·
@님 제 지난글까지 찾아보시 면서 면박을주시네요 네, 가끔 구매하는 레고,와 매일 배출되다시피하는 음료 용기를 비교하시다니...참..웃음이나오네요 그래요, 모두의 가치관이 틀리니...존중합니다 네 저는 저대로의 님은 님대로 그렇게 살면되는거죠
IP 117.♡.25.244
07-10
2022-07-10 23:29:08
·
@하늘편지님 매일=생활필수품 가끔=기호품 변명하지마라고 먼저 면박주셨으면서요...
IP 175.♡.223.185
07-10
2022-07-10 23:29:41
·
하늘편지님// 네 맞아요! 서로 각자 잘 살아가면 되는거죠! 남 보고 변명이라고 할 필요 없이 말입니다!
하늘편지
IP 223.♡.73.83
07-10
2022-07-10 23:31:02
·
@님 네, 알겠습니다
[Und3r9r0unD)
IP 172.♡.95.47
07-10
2022-07-10 22:37:09
·
어제도 무라벨 두통 샀는데요(500ml x 20).. 마트는 일단 어느정도 물량이 있는것 같습니다.
삼다수가 취수 후 1주일 내에 수도권 보급이 되는 거 같아서 삼다수만 이용하고 있습니다. 백산수는 취수 후 제 경험상 1달 이상이 걸린 후에 수도권 보급되더라고요(배편이고, 중국을 거쳐서 수출/입 통관을 해야해서 그런 듯 합니다) 그외 다른 생수는 뭔가 말이 많아서 신경쓰여서 잘 안찾게 됩니다.
별을쏘는꼬마
IP 218.♡.72.180
07-10
2022-07-10 22:38:29
·
생수 브랜드 포장만 다르고 수원지 공장은 같은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런 면에서 삼다수가 메리트가 있죠. 마데인 제주도니까요 ㅎ
우리나라에서 선호하는 물맛은 마그네슘 성분이 적은 제품인데,
삼다수가 거기에 속합니다. 14년 제주도 기관 방문했을 때, 삼다수
외 다른 화산 암반수라고 새 제품 만들어서 홍보한다고 했지만,
요즘 안 보이는 걸로 봐서 실패했지 싶습니다. 그 물은 에비앙과
비슷한 정도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4월 쯤부터 심해졌던 것 같습니다.
당일배송도 되고요
그건 꼭 라벨 뜯어야해서 귀찮더라고요. ㅠ
저 밑에 댓글도 있는데 홈플에서는 무라벨 있긴해요
무라벨은 늘 주문하기 힘들었죠
. 한달에 한번 대량으로 오는날만 좀 여유있는듯 하고요
플라스틱 쓰레기 주범중 하나가 생수용기라 생각합니다
서울에서는 생수 마셔도 될 정도로 깨끗하지만요.
지난 글을 보니 레고 좋아하시는 것 같던데, 레고 플라스틱 브릭은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레고 부속이 너무 작아서 재활용하기 쉽지 않고, 탄소배출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나서야
레고에서는 겨우 전체의 2프로 정도만 재활용 소재로 바꿨고, 그 동안에도 포장재에서도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레고 사와 레고의 상품들은 엄청난 환경 공해를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뭐 레고만의 책임은 아니지만, 소비자에 대한 캠페인이나 교육도 적어서, 많은 장난감이 그냥 폐기되고 있고요.
출처 :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590
본인께서 모으시는 장난감은 꼭 나중에 제대로 분해해서 재활용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왕이면 더 이상 구매하지 않는 것도 방법이겠죠. 기존 중고를 매입하시던지, 나무토막 브릭을 써야합니다.
생수야 사람이 살아가는데 물이 필요하니 어쩔 수 없지만,
플라스틱 장난감 하나 안산다고 사람이 못사는 거 아니니까요.
거기에 정수를 해야하는 원수 상태가 좋지 못하면 필터 교체주기는 매우 빠르게 감소해서, 필터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오히려 PET는 요즘 투명PET를 별도 수거/재활용 할 정도로 어찌되었던 분리수거를 하지만, 정수기가 플라스틱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는 부분은 동의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네, 가끔 구매하는 레고,와 매일 배출되다시피하는 음료 용기를 비교하시다니...참..웃음이나오네요
그래요, 모두의 가치관이 틀리니...존중합니다
네 저는 저대로의 님은 님대로 그렇게 살면되는거죠
가끔=기호품
변명하지마라고 먼저 면박주셨으면서요...
마트는 일단 어느정도 물량이 있는것 같습니다.
삼다수가 취수 후 1주일 내에 수도권 보급이 되는 거 같아서 삼다수만 이용하고 있습니다.
백산수는 취수 후 제 경험상 1달 이상이 걸린 후에 수도권 보급되더라고요(배편이고, 중국을 거쳐서 수출/입 통관을 해야해서 그런 듯 합니다)
그외 다른 생수는 뭔가 말이 많아서 신경쓰여서 잘 안찾게 됩니다.
그런 면에서 삼다수가 메리트가 있죠.
마데인 제주도니까요 ㅎ
KB카드 결제시 5%할인이군요.
40개 기준 18,000원이고 20개 기준 9,000원도 있네요.
https://mobile.gmarket.co.kr/AppGate/V3?link=http%3A%2F%2Fmitem.gmarket.co.kr%2FItem%3FgoodsCode%3D2311535289%26p6dl%3Dmappshare&app=gmkt&preview=falseG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