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가진 지식과 기술의 정점 핵융합.
초고열, 최첨단 열소재 기술, 초고효율, 해외 유수의 석박사들이...
.
.
.
.
.
.
.
.
.
.
.
물을 끓여 터빈을 돌린다...
뭐 그래도 핵융합 기술만 실용화되면 인류는 엄청난 선물을 받게 되는 셈이지만...
현재의 발전 기술로 고출력의 전력을 얻기 위해선 증기로 터빈 돌리는 방법 외엔 없는 걸까요.
태양전지는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ㅠㅜ
인간이 가진 지식과 기술의 정점 핵융합.
초고열, 최첨단 열소재 기술, 초고효율, 해외 유수의 석박사들이...
.
.
.
.
.
.
.
.
.
.
.
물을 끓여 터빈을 돌린다...
뭐 그래도 핵융합 기술만 실용화되면 인류는 엄청난 선물을 받게 되는 셈이지만...
현재의 발전 기술로 고출력의 전력을 얻기 위해선 증기로 터빈 돌리는 방법 외엔 없는 걸까요.
태양전지는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ㅠㅜ
그대, 2D를 사랑하라! 그대, 3D를 사랑하라! 그대, 냥냥이를 사랑하라! 그대, 댕댕이를 사랑하라! 그대, 사람을 사랑하라! 그대, 지구를 사랑하라! (덕후시즈교)
마이크로파로 에너지를 전송하는데, 그게 방향이 살짝 어긋나면 수신지역 주변이 초토화 되는 문제가 있나보더라구요.
다이슨구체라고 개념은 있습니다.
아이디어는 있는 걸로 압니다.
=> 아직 가지지 못했어요. 갖고 싶어하는거죠.
구멍을 어떻게 뚫을지는 모르지만요. -_-;;
슈퍼맨이 뚫어주던데요.. 우린 왜 슈퍼맨 없나요? ㅜㅜ
일반 물리역학을 뛰어넘는 원자단위의 컨트롤이 가능한 수준이 되어야
에너지를 제대로 다룰 능력이 생기는 거 아닌가 싶네요.
스팀펑크는 로망아니겠습니까 ㅋㅋ
결국 에너지 투입대비 산출이 3이 넘어가야 채산성이 있는건데... 지금 1도 넘네 못넘네 하고 있어서.. ㅠㅜ
지금까지 나온 방법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방법 이라서 그럽니다.
외계 문명의 전력 생산 방법을 알아낸다면...
화력도 물 끓이는거고
물을 끓일때 어떤 재료 얼마만큼 효율로 하는지가 중요한거라 ㅋㅋ
굳이 예외라면
수력는 물이 떨어지는걸 이용하니 중력이고
풍력은 물의 온도차로 바람이 발생하는것을 사용 하고
개인 또는 건물용 발전기는 엔진으로 발전기를 직접 회전 시키고
태양광은 화학반응 이용한거고
하는거죠 ㅎㅎ
생각보다 효율을 위해 복잡하더군요.
어떻게 안될까요??
어차피 방출되는 열 에너지를 흡수시켜 식혀야하기 때문에, 물질이 상변환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며 효율이 높은 방식입니다.
이것을 이용 안한다면 결국 식히는것 따로 변환 따로 가야한다는건데 효율이 오히려 떨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