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닼님 전기, 통신사정이 열악한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에 가깝죠... 별차이가 없다고 하시면 좀 그렇죠 (컴퓨터 보급률이 높은 선진국 기준이 아닌 전세계적으로 생각해보면...) 전기, 통신이 없을때 아예 불가능한 수단과 수기로라도 가능한 차이라고나 할까 수많은 암호화폐인지 가상화폐가 생기고 그것에 투자하는 것을 보면, 없어진 전기와 발전에 소모된 자원량이 대체 얼마일지? 아찔합니다. 전기가 없어지면 사라질 신기루로 사람들을 선동하고 있으니... 곧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화할겁니다.
@어이가_없넹님 전기로 이룩한 문명에서 전기가 없어지면 사라질 신기루라니요. 전기가 없어지면 남는게 뭐가있죠? 암호화폐가 크게 이슈가 된게 이제 올해로 10년이 됐고 이제 최악의 전쟁중인 나라에서도 위성인터넷을 하고 미, 중 G2 중앙은행에서도 서둘러 디지털화 폐를 발행하겠다는 상황인데 아직도 불법화 이야기가 나오네요.
@어이가_없넹님 기사 제대로 읽으신 것 맞죠? 기사는 현재 난립한 재단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들을 국가주도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이 대체할거라는 이야기입니다. 선을 긋는건 이게 탈중앙화이냐 아니면 특정 국가의 중앙은행에 종속되느냐의 차이로 생겨나는 것이지 기술적으로 다른게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저도 딱히 코인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기분이 나쁜게 아니라 코인을 금지시킬거라는 주장의 근거가 매우 빈약하여 드리는 말씀일 뿐입니다.
어이가_없넹
LINK
#135027763
IP 183.♡.194.172
22-05-15
2022-05-15 17:19:13
·
@가닼님 CBDC랑 스테이블 코인이랑 별개로 언급되고 있다고 링크를 걸었는데... 스테이블 코인은 이번에 루나-테라 같은 종류를 통틀어 칭하고 있네요...
비트코인 ( https://bitcoin.org/ko/ )에서는 스스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네요 ㅇ즉각적인 피어투피어 거래 ㅇ세계 어디서나 결제가능 ㅇ무료 또는 낮은 수수료
@어이가_없넹님 1. 루나는 스테이블코인이 아니고요. 2. 스테이블코인은 다른 통화화의 페깅을 통해 고정된 가치를 보장해주는 코인을 이야기 합니다. 테라가 알고리즘을 통해 루나와 페깅을 한다는 봉이김선달과 폰지를 절절히 섞은 코인이었구요. 3. CDBC는 중앙은행이 자국화페와 페깅을 해주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4. 비트코인의 컨셉이 모든 암호화페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님께서 CDBC가 비트코인과 다르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이유도 그때문이죠. 5. CDBC도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가는 이상 전기와 통신없이는 이체를 할 수도 실물로 교환도 불가능합니다. 근데 왜 자꾸 엉뚱한 이야기로 논점을 이탈하시나요?
@가닼님 디지털화폐라고 맨처음 언급하셨는데, 쓸데없이 제가 말이 길었네요...(CBDC가 스테이블코인을 대체할것인가?는 다르니 공존할것이라고 인터넷에 글이 있구요... https://byline.network/2022/02/2-23-3/ ) 위에 링크된 유투브 동영상에도 유작가님도 얘기하고 있지만, 거래소가 끼는 순간 P2P 방식은 의미가 없구요... P2P 방식으로 거래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니 신기루라고 하였습니다. 계속해서 했던말 반복하고 평행선을 달리게 될거 같습니다. 이만줄입니다. 세계어느곳에서나? 그렇다면 전기,통신사정이 안좋은 곳에서도? 라는 의문일뿐입니다.
업비트는 오히려 PC 거래가 좀 불편할 정도지만 앱이 상당히 잘 만들었어요
일단 런칭때부터 타사대비 취급코인이 많고 앱이 압도적으로 좋았어요.
모바일환경에 잘 맞는 ui와 호가가 반영속도가 훨신 빨라 업무시간에 짤짤이 하는 맛이 났죠.
론칭초기 카카오계열빨. 비트렉스연동. 앱편의성이 컸어요. 카톡계정 연동이 특히 컸어요.
짤짤이라뇨 성희롱 입니다. 삐빅
코인판으로 비교하자면 통신사도 코인 덕분에 좀 벌죠.
종일 코인 들여다보느라 + 관련 자료, 동영상 보고 공부(?)하느라
안써도 될 사람들이 데이터무제한 5G 쓰고 하는 덕분에
통신사들도 제법 짭짤하게 수익 올렸을 겁니다.
찾아보면 통신사 말고도 코인판 떡고물로 짭짤하게 수익 올린 업종이 꽤 여럿 있을겁니다.
근데 거래소가 전 공범 같아요. 쓰레기 코인 만들어서 사람들 돈 다 털어가며 번 듯 한 느낌
아이템거래 사이트 라더군요....
현대에 전기와 통신이 없어지면 원화도 달러도 의미없어지는건 별 차이 없습니다.
재산을 실물현금으로 보유하시는 분 있나요?
은행에 가도 전기와 통신 없이 확인 가능한 수기장부 없어요.
전세계 탄소 배출 악영향 등 전력사용량 기사가 나올 정도인데요.
현재 돈을 벌기 위해 사람들이 전기를 쏟아 코인으로 바꾸고 있는 것일 뿐이지 그렇게까지 안돌아도 안없어져요.
전기, 통신사정이 열악한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에 가깝죠...
별차이가 없다고 하시면 좀 그렇죠 (컴퓨터 보급률이 높은 선진국 기준이 아닌 전세계적으로 생각해보면...)
전기, 통신이 없을때 아예 불가능한 수단과 수기로라도 가능한 차이라고나 할까
수많은 암호화폐인지 가상화폐가 생기고 그것에 투자하는 것을 보면,
없어진 전기와 발전에 소모된 자원량이 대체 얼마일지? 아찔합니다.
전기가 없어지면 사라질 신기루로 사람들을 선동하고 있으니... 곧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화할겁니다.
전기로 이룩한 문명에서 전기가 없어지면 사라질 신기루라니요. 전기가 없어지면 남는게 뭐가있죠?
암호화폐가 크게 이슈가 된게 이제 올해로 10년이 됐고 이제 최악의 전쟁중인 나라에서도 위성인터넷을 하고 미, 중 G2 중앙은행에서도 서둘러 디지털화 폐를 발행하겠다는 상황인데 아직도 불법화 이야기가 나오네요.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은커녕 미국에서조차 그럴생각은 없어보입니다.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는 중앙집권적 통제수단으로 보이네요...
그건 비트코인 등이 선전하는 P2P 거래수단과는 거리가 멀어보이네요...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4/318915/
중국, 모든 암호화폐 거래 불법화…“법정 화폐와 교환 금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9446#home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보증하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탈중앙화가 아닐 뿐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화폐인것도 같고 그렇기에 님께서 주장하시는 “전기와 통신 없이는 무용지물”인건 똑같죠.
가닼님 말처럼 중앙은행이 발급하는 스테이블 코인인데, 코인이 불법화랑은 말이 안맞네요?
그 미국에서 하구있는데?
전기가 안대면 인터넷도 무용지물화라는건 동의하실텐데 걍 억지로 저건 불법이야 아불법이야 하고싶으신맘 잘알겠습니다
코인(암호화폐)은 P2P 거래수단이 그 시작점입니다.
인터넷 검색해보시면, 중앙은행의 CBDC랑 스테이블 코인은 별개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86657
세계어디서나 결제가능한가? 무료 또는 낮은 수수료인가? (전기가 그렇게 많이 소모되는데?)는 또 신기루네요...
https://bitcoin.org/ko/
전기와 통신 없이라는 말이 기분이 나쁘신거 같은데요
전기, 통신이 최악인 지역에서는 코인으로 어떻게 거래를 할 수 있죠?
불법화될거라는건 몇년이 더 지나야 알 수 있는 일인데, 왜 기분이 나쁘실까요? 선동한다는 말이 기분이 나쁘신가보네요? 개인의견으로 무시하시면 될 일이고 합법화되면 그때 저를 비웃으시면 됩니다.
기사 제대로 읽으신 것 맞죠?
기사는 현재 난립한 재단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들을 국가주도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이 대체할거라는 이야기입니다.
선을 긋는건 이게 탈중앙화이냐 아니면 특정 국가의 중앙은행에 종속되느냐의 차이로 생겨나는 것이지 기술적으로 다른게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저도 딱히 코인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기분이 나쁜게 아니라 코인을 금지시킬거라는 주장의 근거가 매우 빈약하여 드리는 말씀일 뿐입니다.
CBDC랑 스테이블 코인이랑 별개로 언급되고 있다고 링크를 걸었는데...
스테이블 코인은 이번에 루나-테라 같은 종류를 통틀어 칭하고 있네요...
비트코인 ( https://bitcoin.org/ko/ )에서는 스스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네요
ㅇ즉각적인 피어투피어 거래
ㅇ세계 어디서나 결제가능
ㅇ무료 또는 낮은 수수료
전기없이 작동하지 않는 수단이, 전기를 없애야지만 생성된다는 점에서 최악입니다.
1. 루나는 스테이블코인이 아니고요.
2. 스테이블코인은 다른 통화화의 페깅을 통해 고정된 가치를 보장해주는 코인을 이야기 합니다.
테라가 알고리즘을 통해 루나와 페깅을 한다는 봉이김선달과 폰지를 절절히 섞은 코인이었구요.
3. CDBC는 중앙은행이 자국화페와 페깅을 해주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4. 비트코인의 컨셉이 모든 암호화페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님께서 CDBC가 비트코인과 다르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이유도 그때문이죠.
5. CDBC도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가는 이상 전기와 통신없이는 이체를 할 수도 실물로 교환도 불가능합니다.
근데 왜 자꾸 엉뚱한 이야기로 논점을 이탈하시나요?
CDBC가 아닌 CBDC이구요
루나-테라라고 언급했는데… 부분강조네요?
암호화폐는 P2P 안돼면 존재가치가 없다고 보구요. 먼저 미,중 중앙은행 얘기하셔서 CBDC 얘기한거구요.
CBDC 지지자 아닙니다.
- 지난해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비트코인 엑스포에선 중앙은행 전문가 3명이 CBDC 발행에 반드시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한 건 아니라고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출처: http://m.ddaily.co.kr/m/m_article/?no=214419 )
- CBDC는 블록체인 기반 화폐가 아니라 그냥 디지털 화폐이므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https://www.ddaily.co.kr/ezview/article_main.html?no=203605 )
전기부산물 싫어합니다.
그 전기부산물중에 하나가 인터넷인데 신기하시네요..
부산물은 일반적으로 가공시 본목적(1차 가공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잉여생산물을 얘기합니다.
암호화폐의 본 목적은?
당연히 블록체인이 반드시 필요한건 아니지만 지금 중국이 추진중이고 미국에서 낸 보고서도 블록체인 기반입니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이 아니어도 전기와 인터넷이 필수인건 변함없죠.
https://www.federalreserve.gov/publications/files/money-and-payments-20220120.pdf
디지털화폐라고 맨처음 언급하셨는데, 쓸데없이 제가 말이 길었네요...(CBDC가 스테이블코인을 대체할것인가?는 다르니 공존할것이라고 인터넷에 글이 있구요... https://byline.network/2022/02/2-23-3/ ) 위에 링크된 유투브 동영상에도 유작가님도 얘기하고 있지만, 거래소가 끼는 순간 P2P 방식은 의미가 없구요...
P2P 방식으로 거래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니 신기루라고 하였습니다. 계속해서 했던말 반복하고 평행선을 달리게 될거 같습니다. 이만줄입니다.
세계어느곳에서나? 그렇다면 전기,통신사정이 안좋은 곳에서도? 라는 의문일뿐입니다.
현기차 영업이익의 10배라고합니다
영업수익은 매출이고, 영업이익은
두나무 작년 3.22조원
현대차 작년 6.67조원
현대차가 두배 많네요.
“영업이익률”은 10배 될수도 있겠네요.
거진 네이버 급이네요
생각보다 많이 번다고 친구가 그러더라구요
버는거에 비해서 소소한거네요 ㅎㅎ
코인 싫어하는건 알겠는대 돈 만지는 은행이나 증권들 다 신난 한 해였던대요. ㅎㅎ
------------------------------------------------------------------
달러패권을 위해서 연준이 CBDC 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