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꼬들한당 ·뚝딱뚝당 ·굴러간당 ·아이포니앙 ·주식한당 ·자전거당 ·꼬들한당 ·MaClien ·방탄소년당 ·골프당 ·일본산당 ·가상화폐당 ·나스당 ·키보드당 ·개발한당 ·뚝딱뚝당 ·안드로메당 ·바다건너당 ·노젓는당 ·소시당 ·콘솔한당 ·육아당 ·레고당 ·걸그룹당 ·냐옹이당 ·소셜게임한당 ·땀흘린당 ·날아간당 ·캠핑간당 ·VR당 ·포뮬러당 ·디아블로당 ·덕질한당 ·PC튜닝한당 ·야구당 ·퐁당퐁당 ·이륜차당 ·IoT당 ·축구당 ·빨콩이당 ·와인마신당 ·클다방 ·테니스친당 ·사과시계당 ·리눅서당 ·시계찬당 ·갖고다닌당 ·임시소모임 ·스팀한당 ·개판이당 ·방송한당 ·심는당 ·창업한당 ·3D메이킹 ·그림그린당 ·젬워한당 ·여행을떠난당 ·안경쓴당 ·패스오브엑자일당 ·소리당 ·요리한당 ·LOLien ·오른당 ·나혼자산당 ·날아올랑 ·스타한당 ·WebOs당 ·리듬탄당 ·찰칵찍당 ·MTG한당 ·활자중독당 ·헌팅한당 ·곰돌이당 ·도시어부당 ·영화본당 ·미드당 ·라즈베리파이당 ·대구당 ·X세대당 ·보드게임당 ·어학당 ·DANGER당 ·e북본당 ·총쏜당 ·가죽당 ·파도탄당 ·WOW당 ·인스타한당 ·패셔니앙 ·맛있겠당 ·윈폰이당 ·볼링친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블랙베리당 ·뽀록이당(당구) ·블록체인당 ·문명하셨당 ·클래시앙 ·쿠키런당 ·동숲한당 ·이브한당 ·물고기당 ·FM한당 ·차턴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KARA당 ·Mabinogien ·땅판당 ·노키앙 ·적는당 ·소풍간당 ·품앱이당 ·Sea마당 ·SimSim하당 ·심야식당 ·윈태블릿당 ·미끄러진당 ·테스트당 ·공대시계당 ·터치패드당 ·트윗당
© CLIEN.NET
공지모든 회원의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였습니다. 더보기
f

모두의공원

정시가 공정하다구요? 130

17
한옥은추워요
14,641
2022-04-19 00:07:46 수정일 : 2022-04-19 00:09:23 59.♡.188.114

강남이나 서울 몇몇학군 애들 가는 학원에선 

서울대 나온 강사들이 자기들 인맥 네트워크 동원해서

간접적으로-비공개적으로 귀띔 해주는데요 ㅋㅋㅋ

딱 지금정도 비율이 적정해요 

근본적인 개선이 없으면 뭐 어떻게 해도 그냥 악영향만 생겨요… 

이제서야 일반고들이 수시에서 나름 살길 찾았는데…

이걸 정시로 확 틀어버리면 진짜 전멸입니다 그다음부턴… 

그리고 정시 100퍼할거면 고교평준화 없애야죠

진보교육감들이 만들어놓은 성과도 의미없어지구요.

한옥은추워요님의 게시글 댓글
SIGNATURE
-젊은이들에게 전하고픈 말이 있는지요?

"딱 한 가지야. 덮어놓고 살지 마세요. 그리스 사람들은 진실의 반대가 허위가 아니라 망각이라고 했어요. 요즘 거짓말하는 사람들은 과거를 잊어서 그래요. 자기가 한 일을 망각의 포장으로 덮으니 어리석어요. 부디 덮어놓고 살지 마세요."
-이어령

하나를 위한 다양함.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17명
댓글 • [130] 을 클릭하면 간단한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닉크네크임크
LINK
#134484977
IP 39.♡.28.184
22-04-19 2022-04-19 00:08:50
·
이러니 저러니 해도 수시보다 공정한건 사실이죠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4999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0:24
·
@닉크네크임크님 어머니 아버지가 아이가 걱정하지 않을정도에 형편에다가 월 150정도의 학원비 꾸준히 지출해주는 정도면 정시가 확실히 공정하긴 합니다.
lazsa
LINK
#134485727
IP 125.♡.70.135
22-04-19 2022-04-19 01:18:02 / 수정일: 2022-04-19 01:19:30
·
@님 제가 지켜봣던 몇몇 아이들은 고등졸업할때까지 자기방은 커녕 자기 책상도 가져본적 없지만 수능 1프로 안쪽성적받고 이름 들어본 대학가더군요... 장담하는데 이 아이들 현재의 수시 정시체계에서 대학갔으면 듣도보도못한 학교 갔을거에요
토반이-
LINK
#134485787
IP 58.♡.42.56
22-04-19 2022-04-19 01:24:58
·
@님 학원비 150이면 비싼건가요? 회사분 보니 고1때부터 학원비.및 과외비가 300나가든데... 인서울 겨우 하더라구요 ㅜ
INVESTINGPAPA
LINK
#134486847
IP 221.♡.34.9
22-04-19 2022-04-19 07:13:16
·
@토반이-님 학원비 과외비와 입결은 비례하지 않습니다
qpqpq
LINK
#134487029
IP 121.♡.205.239
22-04-19 2022-04-19 07:32:44
·
@lazsa님 그렇지 않습니다. 수시 교과 전형의 경우 일반고 학생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전형입니다. 대다수 일반고 학생들이 정시가 아닌 수시 교과 전형으로 서울시내 주요 대학에
진학합니다. 수시 학종이 자사고/외고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편파적인 상황이지만, 심지어 그나마도 정시전형보다는 통계적으로 일반고 학생들에게 더 유리합니다. 잘 모르시는 문제에 대해서 함부로 장담하시면 안됩니다.
첫비
LINK
#134487343
IP 210.♡.51.61
22-04-19 2022-04-19 07:59:59
·
@qpqpq님 동감입니다. 객관적인거과 공정한것을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네요. 강남 8학군에서 수시와 정시 각 숫자를 통계내면 답 나옵니다
그것이알고싶당
LINK
#134487509
IP 211.♡.41.168
22-04-19 2022-04-19 08:10:52 / 수정일: 2022-04-19 08:20:24
·
@님 애들을 수시, 정시로 두루 대학보냈습니다.
주요대학 수시는 크게 교과, 학종, 논술로 구분됩니다. 교과는 내신+수능최저, 학종은 생기부+내신, 논술은 논술+수능최저 있거나 없거나 입니다.
정시나 수시나 전부 학원 가야됩니다. 게다가 학종의 경우는 부모의 정보력과 능력, 즉 돈으로 생기부를 챙겨야 됩니다.
논술은 뭐ㅋㅋㅋ 합불합의 이유를 모르는 시험이구요. 애들 대학보내면서 느낀게 수시는 불공정과 불합리가 판치는 아사리판이라는 겁니다. 수시는 없어져야 합니다.
그것이알고싶당
LINK
#134487658
IP 211.♡.41.168
22-04-19 2022-04-19 08:19:06
·
@qpqpq님 저희 애들도 일반고 출신으로 대학보냈지만 일반고 학생들에게 더 유리한게 미덕은 아닙니다. 더 노력하고 실력있는 아이들이 원하는 대학에 가는게 공정한거죠. 일반고에 유리한 교과나 특목자사고에 워리한 학종이나 다 불공정한거죠. 수시는 폐지되야 합니다.
앙투시푸
LINK
#134487890
IP 110.♡.31.244
22-04-19 2022-04-19 08:30:54
·
@qpqpq님 일반고 특수고의 문제는 아닌것같습니다. 일반고 내에서 공정한지를 보는 게 좀 더 나을듯합니다
qpqpq
LINK
#134488538
IP 39.♡.28.9
22-04-19 2022-04-19 09:04:47
·
@그것이알고싶당님 수능시험이 교과에 비해 더 노력하고 실력있는 아이들에게 유리한 전형도 아닙니다. 학교 생활을 성실하게 하고 수업을 잘 들었는데, 학교 다니는 내내 결석과 지각을 밥먹듯이 하면서 학원 강의에 매달리는 학생들이, 아니 심지어 재수생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시험이 수능입니다. 정작 학교에선 정시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학교에서 사라지는 학생들이 부지기수입니다. 일반 학교에선 경험도 할 수 없는 기이한 문제들이 고난이도 문항이라는 이름으로 매년 출제되고 있는 수능의 폐단이지요.

애초에 시험 한 번으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노력과 실력을 온전히 평가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얼마나 공정하겠습니까? 심지어 대학에서도 정시전형으로 들어온 학생들보다 수시전형으로 들어온 학생들의 평균 학점이 우수하다합니다. 시험 한 방으로 쉽게 대학에 들어온 학생들이 그 ‘노력과 실력’이 없다는 걸 증명하고 있는거지요. 공정과 불공정이 그렇게 쉽게 판단될 수 있었으면 애초에 입시 문제가 이렇게 시끄러워질 이유가 없었습니다.
포톤84
LINK
#134484989
IP 14.♡.20.38
22-04-19 2022-04-19 00:09:42 / 수정일: 2022-04-19 00:09:55
·
대안이 없다는 댓글이 많이 달릴 것 같습니다.
안내자
LINK
#134484995
IP 27.♡.232.66
22-04-19 2022-04-19 00:10:05
·
수시의 밑낯을 보시면 정시는 세상 평등하다고 느껴지실 거에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015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1:02
·
@안내자님 네 제가 작년에 당사자였습니다. 민낯 잘 알아요. 그래도 수시비율 유지해야해요.
lazyzeus
LINK
#134487149
IP 221.♡.108.110
22-04-19 2022-04-19 07:43:00 / 수정일: 2022-04-19 07:45:34
·
@님 수시 혜택 보는 당사자인지 아닌지는 우린 모릅니다.

어떤 수시 전형이 있고 그게 왜 정시보다 공정한지 알려주셔야죠. 본인 글에서도 설명 못 한다면 그게 엄청나게 이해하기 어려운 제도라는 걸 본인이 인정하시게 되는 겁니다.
글라디
LINK
#134487482
IP 223.♡.41.253
22-04-19 2022-04-19 08:08:52
·
@lazyzeus님 요즘 수시는 점점 내신 점수 중심으로 가고 있어요
논란이 있을만한 부분을 계속 없애고 있습니다
삭제 되었습니다.
포틀랜드
LINK
#134484996
IP 1.♡.160.248
22-04-19 2022-04-19 00:10:06
·
수시는요?? 정보가 떨어지는 아이들은 따라잡을수가 없는데요 굳이 수시와 정시를 따지면 정시쪽이 더 공정한거 같네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020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1:24
·
@포틀랜드님 수시정보도 못챙기는데 정시 어떻게 따라잡아요??
좋은걸보고오렴
LINK
#134485034
IP 211.♡.115.4
22-04-19 2022-04-19 00:12:13
·
@님
정시는 EBS니 기출문제니 공부 열심히 하면 되기라도 하죠.
FR0ST
LINK
#134485041
IP 118.♡.15.210
22-04-19 2022-04-19 00:12:30
·
@포틀랜드님 수시 정보를 못따라잡는데 정시를 본다고요? 수시는 정말로 학교공부 밖에 안보는데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046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2:45
·
@좋은걸보고오렴님 ebs 연계율 박살난지가 언젠데요 ㅋㅋㅋ 이제 문학정도만 연계됩니다
좋은걸보고오렴
LINK
#134485080
IP 211.♡.115.4
22-04-19 2022-04-19 00:14:33
·
@FR0ST님
그놈의 표창장이니 뭐니 그런건 대체 어디서 구합니까?
정시는 그런 거는 없어요.
포틀랜드
LINK
#134485091
IP 1.♡.160.248
22-04-19 2022-04-19 00:15:17 / 수정일: 2022-04-19 00:16:21
·
@님 정시는 모두 똑같은 기회에서 시작하고 수시는 모르면 아예.접근도 안되죠 유치원부터 컨설팅 붙어서 하는걸 어떻게 따라가나요 정보에 수준이 차이가 다른데? 수시정보 ebs나 문제집으로 찾아보실수 있나요?? 정시는 그래도 모든 정보가 다 공개되고 노력에 따라 어느정도 따라잡기 가능하죠 여기 댓글들 의견도 참고해보세요 본인이.생각하는게 무조건 정답이 아닙니다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093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5:32
·
@좋은걸보고오렴님 그건 어떤 제약도 없을 때 얘기구요. 수시도 이제 많이 안정화 됐습니다. 이슈 업데이트 하셔야 할 것 같아요.
햇살아이
LINK
#134485123
IP 122.♡.68.230
22-04-19 2022-04-19 00:17:31
·
한옥은추워요님// 업데이트해서 글을 올려주세요
요
좋은걸보고오렴
LINK
#134485130
IP 211.♡.115.4
22-04-19 2022-04-19 00:17:56 / 수정일: 2022-04-19 00:26:41
·
@님
보통 수시가 공정하다고 하는 사람들은
어떤 개선을 했는지 얘기를 안하시더라고요.
FR0ST
LINK
#134485132
IP 118.♡.15.210
22-04-19 2022-04-19 00:18:00
·
@좋은걸보고오렴님 표창장은 학교에서 주는거잖아요;
님이 말하는 수시는 특기자전형이지만 실제로 특기자전형은 극히 일부고 수시의 대부분은 학교성적으로 결정되는 학생부교과와 성적+면접으로 결정되는 학생부종합입니다. 수시가 줄어들어도 특기자전형은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겠죠?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156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19:32
·
@포틀랜드님 도대체 정시가 모두 똑같은 기회에서 시작한다는게 어떤 말씀이신지 모르겠습니다. 수시=학교 실적이라서 학교에서도 공부 잘하는 애들있으면 아무리 개똥통 학교라도 밀어줍니다. 그리고 대학들도 수시로 돈버는게 훨씬 편해서 가이드북, 학생부 가이드, 모집요강 버러지 학교 아닌이상 친절하게 다 해줍니다….
더군다나 지역차별 있다고 학교장 추천, 즉 그냥 학교 내신으로도 일반고가 갈 수 있게 길을 열어놨는데 왜 이걸 안된다 생각하세요?

그리고 작년에 불수능이 왜 불수능인지 아시나요? 이제 인서울권 들어와야할 애들은 성적 변별해야하니까 오지게 어렵게 내는겁니다 ㅋㅋㅋ
가뜩이나 정시 to 늘려놓고 문이과 통합시켜서 아무런 생각도 없이 이과학생들이 철학과 집어넣고 디여서 절반이 반수준비하는게 작금의 현실인데…
도대체 몇년을 또다시 좌충우돌해야 하나요?
백퍼 몇년하다가 다시 수시전환 얘기나옵니다 ㅋㅋㅋ 왜냐? 서울하고 전국자사고 말고는 인서울 못보내니까요 ㅋㅋ
좋은걸보고오렴
LINK
#134485160
IP 211.♡.115.4
22-04-19 2022-04-19 00:19:46 / 수정일: 2022-04-19 00:21:46
·
@FR0ST님
그런데 이런 경우는 특기자전형을 포함시켜서 말해야 합니다.
본질적으로 계층이동의 문제다보니 허점이나 예외 없이 공정함을 추구하다보니
수시에서 특기자전형 제외해서 장점 부각하고 하는건 성립이 안되는 얘기거든요.
포틀랜드
LINK
#134485210
IP 1.♡.160.248
22-04-19 2022-04-19 00:23:53 / 수정일: 2022-04-19 00:24:59
·
@님 본인이 글 쓰셨네요 학교에서 잘하는 학생 밀어주는게 공정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럼 다른 학생들 기회는 빼앗고 초반에 잘하는 학생 밀어주기? 그 학생들도 미리 셋팅된.준비된 학생일지도 모르는데, 이미 그런 마인드가 물들어 있으니 공정한걸 판단 못하고 이렇게 답글 쓰시겠죠 수시에 문제가 그렇게 셋팅된 아이들만 밀어주고 없는 상 만들어서 보내고 그런게 정말 발전이 있을가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239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26:21
·
@포틀랜드님 무슨 잘하는 학생이 못하는 학생 기회를 뺏나요 ㅋㅋㅋ 그것도 내신처럼 이제는 정량평가로 가름하는 시대가 됐어요.
없는 상 도대체 언제적 얘긴가요 이제 학기당 상 하나밖에 못넣어서 그거 의미도 없어요 ㅋㅋ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250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27:17
·
@포틀랜드님 막말로 학교에서 퍼자는 학생이 태반이 넘는데 그 학생들이 정시 준비 하겠습니까? 그런 애들도 어찌어찌 해서 기회 가져가는게 지금 수시입니다. 정시되면 얄짤도 없어요 정시야말로..
포틀랜드
LINK
#134485292
IP 1.♡.160.248
22-04-19 2022-04-19 00:31:29 / 수정일: 2022-04-19 00:33:48
·
@님 네 이미 본인이 수시로 혜택을 보신건지 아니면 수시에 장점만 보신다면 모 맞겠죠 그런게 공정하다 생각하신다면 더 할말이.없네요 수시에 최초 취지는 알지만 현재 정말 그 취지에 맞게 수시가 이뤄지고 있는지 잘 생각해보세요 본인이 공정을 이야기했으니 정시가 더 공정하다고 본다는겁니다 둘다 완벽할순 없지만 , 아 그리고 정량평가나 힉기당 상 하나도 밀어주면 끝입니다 있고 없고로 끝나죠? 정시처럼 시험이라도 볼수있는게 아니라, 공정의 의미가 정말 먼지 잘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여기 댓글 의견들 좀 보세요 본인 틀에 갇혀있지만 말고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300
IP 39.♡.46.241
22-04-19 2022-04-19 00:32:49
·
@포틀랜드님 적어도 제 주변에 보면 다 갈만한 애들이 수시로 잘 갔습니다. 수시도 허점 많이 보완했습니다.
파나메라911
LINK
#134486540
IP 104.♡.64.32
22-04-19 2022-04-19 05:59:46
·
@좋은걸보고오렴님 솔직히 내신등급만 보는 수시 전형도 많은데 일반화하긴 좀 그렇죠.
흐붓한별빛
LINK
#134486827
IP 118.♡.10.227
22-04-19 2022-04-19 07:10:56
·
@님 글쎄요
학교에서 퍼자는 학생은 대학 못가는게 정상 아닌가요??
그것이알고싶당
LINK
#134487072
IP 211.♡.41.168
22-04-19 2022-04-19 07:35:25
·
@FR0ST님 님이 말씀하시는 학교성적만 보는 수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과전형이 그나마 비슷하긴한데 그것도 상위권으로 가면 수능최저가 있고 사실상 공정하다고 볼수도 없어요. 논술은 거의 요행을 바라는 시험이고 학종은 뭐 ㅋㅋㅋ 학부모능력으로 애들 대학보내는 전형이죠.
수시, 정시로 두 아이 대학보냈습니다.
lazyzeus
LINK
#134487206
IP 221.♡.108.110
22-04-19 2022-04-19 07:47:56 / 수정일: 2022-04-19 07:55:04
·
@FR0ST님 숙명여고 문제지 유출 사건도 있는데 그게 백퍼센트 공정하다고 보세요?

제 친구는 종교활도 열심히 했다고 교장 추천제로 서울대 들어갔습니다. (정시로는 절대 못 들어갈 상황이었죠)
첫비
LINK
#134487365
IP 210.♡.51.61
22-04-19 2022-04-19 08:01:42
·
@좋은걸보고오렴님 표창장으로 대학 못간지 꽤 됐는데요
그것이알고싶당
LINK
#134487920
IP 211.♡.41.168
22-04-19 2022-04-19 08:32:51
·
@FR0ST님 잘못 알고 계시는듯. 학생부교과라는건 없습니다. 학교내신 + 수능최저로 결정하는 교과, 생기부+내신으로 결정하는 학종이 있죠. 둘 다 불공정한 방식입니다. 폐지되야죠.
ssid
LINK
#134485016
IP 59.♡.167.29
22-04-19 2022-04-19 00:11:08
·
그나마 정시는 기울어진 정도라면 수시는 기울어진곳에 올라가 보지도 못하거든요
삭제 되었습니다.
마시멜로우
LINK
#134485048
IP 112.♡.127.9
22-04-19 2022-04-19 00:12:53
·
아무리봐도 부모의 재력이나 사회성, 교육에 대한 열의로 좌우되는건 수시가 더 큰것 같습니다
거미날다
LINK
#134485062
IP 211.♡.113.30
22-04-19 2022-04-19 00:13:53 / 수정일: 2022-04-19 00:16:23
·
정시가 기울러졌다면,...수시는 그냥 떠먹여 주는 것이죠.

지금의 수시의 장점으로 꼽고 있는 것들은 정시제도에서도 충분히 특별전형 (농어촌 전형, 다문화 전형, 특기자 전형, 외국인 전형,......)으로 보완 하면 되죠.
geoman
LINK
#134485084
IP 211.♡.68.111
22-04-19 2022-04-19 00:14:46
·
절차의 공정성에 매몰되어 진정한 공정을 못보고 있다 봅니다. 정시 100%로 가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우리는 이미 다 경험했죠.
이하늬다
LINK
#134485086
IP 58.♡.227.27
22-04-19 2022-04-19 00:14:58
·
수시가 허들이 더 높습니다...
이뽀오오
LINK
#134485088
IP 1.♡.252.181
22-04-19 2022-04-19 00:15:07 / 수정일: 2022-07-25 16:15:14
·
...
포커페이스
LINK
#134485097
IP 220.♡.230.168
22-04-19 2022-04-19 00:15:45
·
ㅋㅋㅋ 정시 경험하고 수시 대응 옆에서 봐왔습니다. 어딜 봐서 수시가 정시보다 공정하다는 겁니까;; 수시야 말로 진짜 자원 퍼붓는대로 되는 건데요ㅋ
햇살아이
LINK
#134485104
IP 122.♡.68.230
22-04-19 2022-04-19 00:16:09
·
수시가 공정하다는거는 학교차이없이 균등하게 배분을 해준다는거네요

정시가 공정하다는 의견은 실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거를수 있다는거고요

기준의 문제라고 생각되네요
요
사유
-
일시
-
관리자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달콤생활
LINK
#134485142
IP 211.♡.163.174
22-04-19 2022-04-19 00:18:38
·
친척이 일반고 미술교사인데 예고출신을 수시로 일반고 학생이 밀어내고 홍대미대 합격하는거보고

돈보다는 선생님 케어와 의지라고 생각드네요.

수시에서 학원에 의존하는애들은 최종실기면접에서 400~500만원쓰는데 그렇게해도 3년 동안 돈별로안들인 학생부가 더 강력하다고 하더군요.

수시도 수시 나름이죠. 누구는 돈퍼부어서 갈 수 도 있지만 돈 안들이고도 성공적으로 대입할 수도 있습니다.
aiko
LINK
#134485194
IP 211.♡.49.160
22-04-19 2022-04-19 00:22:12 / 수정일: 2022-04-19 01:04:00
·
공평과 공정을 혼동하는가 본데, 출발선이 불공평하다는건 애초에 해결할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게 재력일수도 있고, 고소득층이 서로 동질혼을 해서 공부잘하는 애의 머리일수도 있고 그런겁니다.
애초에 학생들의 기본 소스는 다 달라요. 거기에다가 교사층도 중산층이기때문에
중산층 이상의 아비투스 환경에서는 애초에 저소득층은 소외될수 밖에 없어요.

애초에 아비투스가 다른데 뭔수로 녹아들어가요.

이 출발선이 불공평한걸 해결하기위해서 EBS연계니 뭐 하지만 그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수가 없죠.
애초에 해결을 할수 없는 문제니까요.
정시는 어찌되었건 특정 점수를 찍어야하죠. 이 점수를 못찍으면 누가와도 특정 대학 못가요
점수를 누군 머리빨로, 사교육빨로 쉽게 찍을수있고 누군 어렵게 찍겠지만, 그 점수를 못찍으면 못갑니다.

수시요? 애초에 정보의 비대칭을 이용해서 자기들만 해먹을수 있는게 수시죠. 점수를 안찍어도 되요
그렇게 점수가 나오게 판을 짜면 되니까요. 없던 전형이 생기고, 특정 조건이 생기고, 애초에 그게 그냥 생기겠어요? 다 자기들 판에서 바꿔서 합격자를 끼워맞추는거지.
그와중에 자기들만 헤쳐먹으면 까일거같으니까 농어촌이니 저소득이니 사회배려랍시고 떨궈주는거구요.

정시100%로 하면 강남출신애들이 다 sky 휩쓸겠죠. 그게 정상이에요. 근데 그건 불공평인거지 불공정이 아닙니다.

윗동네 A매치서 블라인드채용하니까 서울대 동문회장 됬다는게 왜 웃픈소린지 아세요?
기존엔 서울대 출신, 뭐 연고대 출신 인서울 출신 지거국 출신 TO 다 안배해서 조절하다가 블라인드 하니까
그냥 순번대로 짤려서 그런거에요.
기존에 블라인드 안할때 서울대인데 TO안배때문에 같은 서울대출신에 밀려서 떨어진애는 그럼 뭘까요? 불공정일까요? 불공평일까요?

위에가 헤쳐먹던 말던 난 약자인데 윗동네서 이거나 먹어라 하고 주는거 주워먹으면 이득이니 그만이다라는거면 정말 에러입니다.

한국이 아직까지 계층이동이 그래도 타 선진국 특히 구주에 비해서 유동적인게 아직까지 입시를 통해서 계층이동이 가능하다라는 희망이 있어서입니다. 이미 고시는 날아간지 오래죠. 그렇게 사다리 다 걷어차고 이거나 먹어라 하고 주는게 로스쿨의 저소득층 TO 이런 거죠? 결과가 어떻던가요?

계층이동이 경직되서 고착화되면 어떻게 되냐구요? 그냥 프랑스 그랑제꼴이니 이런거나
북유럽의 재벌은 재벌대로, 소시민은 그냥 포기하는 삶을 사는것처럼 그냥 보이지 않는 귀족, 평민 계층 분화가 되는거에요. 그리고 하류층이 사회지도층은 커녕 중산층 넘어오는데 150년 이렇게 걸리겠죠.
ceer
LINK
#134485605
IP 223.♡.28.252
22-04-19 2022-04-19 01:05:36 / 수정일: 2022-04-19 01:10:14
·
@님 중간에 정시면 강남이 sky 휩쓴다는데 그럼 결론과 문맥이 맞지않으신데요. 결국 계층 고착화 아닙니까. 말씀대로면 강남이 휩쓸지 못하는 제도를 만들어야겟죠. 그러니까 정시면 강남이 휩쓸지 못한다고 해야 주장이 일리가 있을것같습니다. 만약 현실이 그렇지않다면 성립 불가한 주장이 되겠죠.
사실 현실적으로 각종 정보의 습득과 활용도 능력이고 말씀처럼 능력있는 애들이 더 대우받는게 공정하다면 수시는 충분히 공정한 제도라 봅니다. 단지 수능점수가 모든 기준인 관점으로는 그렇게하면 자신이 능력없음이 되는걸 받아들이기 힘들뿐이죠. 더군다나 수시는 공정할뿐 아니라 말씀처럼 강남이 휩쓰는 현실에서 정시보다 공평하기까지 합니다. 부작용만 잘 손본다면 수시가 오히려 인재양성의 공정성에나 공평성에나 모든면에서 좋은 제도라고 봅니다.
aiko
LINK
#134485653
IP 211.♡.49.160
22-04-19 2022-04-19 01:10:00 / 수정일: 2022-04-19 01:17:37
·
@ceer님 위에서 떨궈주는 먹잇감이 계속 있을거라고 생각하면 매우 오산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먹잇감을 얻어먹어서 능력이 안되는데 그냥 입시에 성공한 층과, 정시를 뚫는 계층의 능력 격차는 커요

애초에 능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위 계층이면 계속 상위계층으로 남을수있는게 수시입니다
정시는 아무리 부모능력이 좋던 뭐던간에 자기가 성적 못찍으면 상위계층에서 탈락해야합니다.

애초에 현재 한국사회구조에선 상위계층 100명과 하위계층 100명이 있으면, 상위계층은 한 80명 살아남고
20명중 19명은 중산층으로, 1명은 하위계층으로,
하위계층은 100명이 있으면 한 1-2명은 사회지도층으로, 20명은 중산층 80명은 하위계층 유지
이런식으로 1세대를 움직여요. 기존의 열강등으로 대표되는 선진국들은 저기서 이 계층이동이 1세대가 아니라 3-5세대가 필요한거구요.
수시요? 능력되는 80명은 어찌됬던 똑같이 상위층에 남을겁니다. 20명이 탈락해야하는데 살아남죠.
저 20명을 탈락시켜야하는데 별에별수를 다 써서 살아남겨놓고선 하위계층 몇명 잡아다가 니들도 여기 대학들어와, 그 후는 나도 몰라. 하는게 현재 한국의 수시에요. 저런 수시의 폐해를 가진채로 그냥 그게 정상인거마냥 되면 더이상 하위계층엔 국물도 없습니다
세이로스
LINK
#134485195
IP 125.♡.157.103
22-04-19 2022-04-19 00:22:30
·
정시보다 수시가 공정한게 아닌건 다 아는 바인데 ...
고등학교가 진학처가 아닙니다. 필요한 교육을 하는 곳이에요...
정시의 보완은 필요하겠지만 정시가 공정한 것은 아니니 정시보다 공정할 수가 없는 수시 유지하자도 별로에요.
수시에서 들고 오는 소수의 케이스는 개인에게는 의미가 있어도 전체에게 큰 의미가 없습니다.
오펜하이머
LINK
#134485274
IP 223.♡.75.184
22-04-19 2022-04-19 00:29:35
·
@세이로스님 공감합니다. 교장선생님이 써주는 수시.... 아... 아닙니다
오펜하이머
LINK
#134485248
IP 223.♡.75.184
22-04-19 2022-04-19 00:27:06
·
왜 우리나라는 이렇게 복잡한가요... 학생들만 불쌍합니다. 신경 쓸게 넘 많아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259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28:03
·
@오펜하이머님 욕심은 다들 드글드글한데 편하게 살고 싶으니까요
오펜하이머
LINK
#134485350
IP 223.♡.75.184
22-04-19 2022-04-19 00:37:18
·
@님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어요.
카라디스
LINK
#134485253
IP 221.♡.0.45
22-04-19 2022-04-19 00:27:48 / 수정일: 2022-04-19 01:33:22
·
정시가 같은 1부리그내 싸움이라면, 수시랑 입학사정관은 얼추 한.. 1부리그와 한 10부리그정도 갭이 있죠.
couchcat
LINK
#134485255
IP 110.♡.191.179
22-04-19 2022-04-19 00:27:55
·
출발선이 달라요. 정시는...
그걸 100% 개인의 노오오력으로 치환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CIRRUS
LINK
#134485270
IP 125.♡.80.181
22-04-19 2022-04-19 00:29:18 / 수정일: 2022-04-19 17:43:23
·
수시제도가 정시보다 구멍이 많고 불공정한게 많이 드러났으면 수시제도를 축소 하거나 공정하게 만들 생각을 해야죠
이상하게 수시 문제점을 조금만 지적하면 항상 비율도 낮은 정시제도를 공격 하는군요
한옥은추워요
LINK
#134485281
IP 59.♡.188.114
22-04-19 2022-04-19 00:30:29
·
@CIRRUS님 통째로 뜯어고치면 꿀빨아가는건 언제나 강남이고 또 고생하는건 그저 고등학교 몇년동안 성실하게 공부해온 중류층 애들입니다
CIRRUS
LINK
#134485306
IP 125.♡.80.181
22-04-19 2022-04-19 00:33:17 / 수정일: 2022-04-19 14:32:19
·
@님 수시는 더 공정하게 될 방법조차 별로 없으니 현행보다 비율 조금 더 줄이자는 이야기가 계속해서 나오는 겁니다
줄 세우기로 강남 자제들이 꿀 빨아도 정시제도가 수시제도 보다 제도적으로 공정한 건 변함이 없어요 그나마 줄세우기가 공정하거든요
강남은 수시든 정시든 언제나 강세이고 경제력+정보력 격차 비공정성은 수시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공정성과 공평성은 구분 해야죠
수시제도는 초기 취지가 무색하게 기본적인 객관성조차 보장이 안됩니다 학교 내신 비리는 제대로 조사 한 적이나 있나요
정시제도 확대하고 사회적 배려 입시제도 대폭 확대해도 수시제 보다 공정성면에선 훨씬 나을 겁니다
사표방지위원장
LINK
#134485279
IP 27.♡.225.45
22-04-19 2022-04-19 00:30:22
·
옛날처럼 수학의정석 이런거 찾아보고 모르면 학교 선생님에게 물어보고 그런것도 아닌 시대이고 알고자하면 인터넷에서 다 찾을수 있는 세상에서 정시가 휠씬 공정한거 아닌가요?? 공부하려는 머리와 마음만 있으면요,,과외 없이도 이제는 가능한 시대 아닌가요?? 정말 궁금해서요,,,수능세대라서요. 근데 20년 전엔 정말 궁금하고 모르는건 학교에서 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말고는 답이 없던 시절이라서요,,,
위례소년코난
LINK
#134485328
IP 180.♡.14.156
22-04-19 2022-04-19 00:35:15 / 수정일: 2022-04-19 00:35:44
·
정시는 부모가 돈이 많아도
애가 공부에 손을 놨다면 입학자체가 불가능 하지만

수시는 부모가 돈이 많으면
애가 공부에 손을 놔도 입학조건을 만들어볼수 있죠
Ghost_K
LINK
#134489361
IP 218.♡.235.74
22-04-19 2022-04-19 09:37:18 / 수정일: 2022-04-19 09:37:38
·
@위례소년코난님 +1 본문에서 예를 든 수업시간 퍼질러 자는 애들은 수시로 대학을 가면 안될텐데 말입니다. 물론 극단적이고 극적인 일부 예겠지만요.
arcenciel
LINK
#134485361
IP 211.♡.211.218
22-04-19 2022-04-19 00:38:03
·
정시도 불공정한거 맞긴 한데요
그냥 두뇌빨로 밀어버릴수 있긴합니다만
수시는 아예 불가능해요
삭제 되었습니다.
컴구조
LINK
#134485646
IP 1.♡.153.236
22-04-19 2022-04-19 01:09:34 / 수정일: 2022-04-19 01:10:13
·
@왈츠님

// 부모의 재력? 인맥? 이런게 직접적으로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어요.

이게 착각입니다. -_-;; 생기부가 가장 중요한데.. 생기부 누가 쓰나요. 담임과 교과 선생님들이 씁니다.

학교장이 입시 결과에 얼마나 민감한 줄 아시나요. 아래 쪽에서는 만들어 줘야 합니다.

어떻게 만드나요. 될만한아이.. 만들어 줘야죠. 학교 내신이 필기시험만 있나요.. 수행평가 비중이 더 큽니다.

수행평가 진짜 공정하다고 장담할 수 있나요.

학교에서 대입 관리시 가장 싫어하는 아이가 누구인가요.

다른거 다 못하는 아이가.. 특정 과목만 잘해서.. 상위 티어 내신 관리 힘들게 하는 아이일 겁니다.

수시는 사회의 문제가 학교내의 문제가 되게 하는 전형입니다. 일선 교사의 힘은 강해졌죠.

지역균형선발, 농어촌 전형 빼고는 다 정리하는 게 맞습니다.
까탈이선생
LINK
#134485693
IP 118.♡.129.158
22-04-19 2022-04-19 01:13:29
·
왈츠님// 좋은 의견이고 저도 동의합니다. 지금 학생부에 기록되어 입시에 반영되는 항목들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물론 특기자 전형 등 전형별로 별도 반영하는게 있겠지만 고등학교에서 대학에 제공하는 학생부 자료 자체는 심플하고 부모가 외적으로 가꾸어줄만한게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이정도로 찬반이 오간다는 것은 어느정도 중간 지점에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크륵크큭
LINK
#134486354
IP 112.♡.188.52
22-04-19 2022-04-19 04:22:46
·
@왈츠님 그 동안 여러 문제 때문에 입시에 반영되는 항목들을 점점 줄였는데 그러면 지원하는 학생들이 제출하는 내용도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을텐데 어떻게 학생을 선발하나요? 외부 개입의 여지가 줄어드는 대신에 변별력은 점점 더 떨어질 겁니다. 아마 지원했던 서류들과 선발 결과 공개하면 엄청나게 많은 곳에서 논란이 나올 것이라고 봅니다.
보라돌이
LINK
#134485525
IP 211.♡.123.248
22-04-19 2022-04-19 00:56:58
·
https://dvdprime.com/g2/bbs/board.php?bo_table=comm&wr_id=20526796
이런글 보면 많은 생각이 납니다
얼룩배기황소
LINK
#134485683
IP 121.♡.189.248
22-04-19 2022-04-19 01:12:31
·
정시 100%시절에는 재벌들도 서울대 가기 힘들었습니다. 이재용도 눈치작전끝에 서울대 동양사학과들어갔고 정몽준 들어갔을때는 정주영이 그렇게 이병철한테 자랑했다지요.

돈을 아무리 쏟아부어도 머리나쁘면 안되는게 정시 아니던가요. 최소한 수시비율을 조정하고 손볼필요는 있어보입니다.
카이저칩스
LINK
#134486666
IP 121.♡.79.162
22-04-19 2022-04-19 06:40:51
·
@얼룩배기황소님
이재용 대학가던 시절이랑 지금은 다릅니다 오히려 정시에서 부모재력이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왜냐? 사교육의 차원이 다르니까, 초6정도면 이미 고3진도 끝내놓습니다
혼자서 ebs본다고 따라갈수가 있나요?

수시가문제없는건 아니지만 정시100퍼센트로 바꾸면?
1. 부모재력승부 사교육승부
2. 이에따라 박살나는 어린이~청소년 시절
arcticmission
LINK
#134487498
IP 203.♡.218.34
22-04-19 2022-04-19 08:10:11
·
@카이저칩스님 초6에 고3 끝내는 건 대치동 한복판에서도 극히 일부 , 그나마 좀 머리 돌아가는 애들 중 일부 이야기입니다. 기계적으로 선행 마쳤다고 sky 가는 것이라면 대치동 및 부근 동네 출신이 sky 100% 차지하겠지만 결국 머리 되는 애들만 입학하는거죠.
파도솔레라미시
LINK
#134494027
IP 106.♡.65.138
22-04-19 2022-04-19 12:42:46 / 수정일: 2022-04-19 12:43:22
·
@카이저칩스님 죄송하지만 돈만 꼴아박으면 다 정시 점수 받을 수 있을 거란 생각 자체가 착각이란 거에요.. 돈 꼴아박아서 정시 잘 나오고 스카이 가는 애들은 애초에 똑똑한 아이에요. 그만한 머리가 있는 아이란 얘깁니다
얼룩배기황소
LINK
#134507039
IP 121.♡.189.248
22-04-19 2022-04-19 22:32:28
·
@카이저칩스님 예나 지금이나 머리나쁘면 아무리 돈 쏟아도 정시는 서울대 못갑니다. 대치동에서도 안되는 얘들은 외국으로 보내서 학력세탁합니다. 지금 수시는 적당히 공부 하는 학생을 인서울, sky 보낼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1945ST
LINK
#134485949
IP 211.♡.112.52
22-04-19 2022-04-19 01:53:28
·
좋은 대학 수시 = 정보력+많은돈 아닌가요~
경력은 어떻게 만들고 상장은 어떻게 만들고 학교 성적은 어떻게 만들겠습니까.
혼자서도 불가능하진 않지만
부모님과 학원 입시전문가들의 서포트에 의해 달라지는게 수시 아닌가요.

그나마 정시는
개천에서 용이라도 날 수 있죠.
mongolemongole
LINK
#134486114
IP 222.♡.78.136
22-04-19 2022-04-19 02:41:43 / 수정일: 2022-04-19 02:43:30
·
어떤 제도라도 헛점은 있죠 그런데 헛점은 제도를 운용하는 사람이지 제도가 아닙니다 그 헛점을 보완하는 것도 바꾸는 것도 사람이지 제도가 아닙니다 어떤 제도라도 만점은 없고 사람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그저 모나고 못난 모양을 계속 다듬을 뿐이죠 그래서 정시냐 수시냐는 논의는 의미없습니다 어느 쪽이 승리해서 다른 쪽을 절멸시키지도 못할 겁니다 대학은 스스로 수시를 없애지 않을 것이고 정시를 더 늘리기도 힘듭니다 게다가 서울대는 정시에 생기부를 반영하고 있어요 다른 학교도 따를 겁니다 수시는 여러가지 이유로 없어지지도 않고 비율도 어느 정도 유지되겠죠 개인적으로 현역과 재수생의 격차 그리고 상위권과 중위권 격차가 늘어나는 현상이 가장 우려스럽습니다 인서울과 지방의 격차는 말할 것도 없구요 학력 격차가 이렇게 벌어지면 제도를 어떻게 다듬어도 패배감은 계속 커지기만 할 겁니다
사유
-
일시
-
관리자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벼리는자
LINK
#134486358
IP 39.♡.44.62
22-04-19 2022-04-19 04:25:26
·
정시 수시 단순하게 무엇이 공정하다 아니다 말하기 매우 어렵죠. 조금더 본질을 봐야 하지 않을까요?
사람을 어떤 방법으로 교육하고 평가하여 그 잠재력을 키우는가가 더 본질적인거 같습니다.
정시는 공정의 문제에선 입학사정관보다 조금 더 나을지는 몰라도 객관식 답만 잘 찍는 사람을 키운다는 본질적 문제가 있죠.
수시 중 논술은 교수의 주관에 너무 크게 좌우되어서 체점하는 교수와 상반되는 의견을 가진 사람을 담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고요.

그보다도 더 본질적인 문제는 왜 어떤 대학을 나왔는지, 고작 고등 학생때 얼마나 잘했는지로 인생이 결정되는 사회 구조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을 나온 사람이 그 시간과 돈에 대한 반대급부로 출발선이 조금더 좋아야 겠지만, 가정을 이루고 후대를 키우고 노후에 쉬는 동안엔 아주 큰 차이가 나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요?

대한민국은 지금 계급 사회에 들어가기 직전입니다. 아니 어쩌면 이미 들어 왔을지도 모르죠.
이 부분에 대해서 논의는 없고 그저 대학에 어떤 방법으로 들어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니 조금 아쉽더라고요.
걔랑노른자
LINK
#134486360
IP 58.♡.56.34
22-04-19 2022-04-19 04:26:04
·
분명한건 수시보다 수사를 잘해야 공정을 따질수 있을것같아요
소시떼
LINK
#134486504
IP 175.♡.43.161
22-04-19 2022-04-19 05:43:02
·
뭘 귀뜸해주나요? 글쓴이님 발언 책임 질 수 있어요?
어떻게든 되겠지
LINK
#134486538
IP 124.♡.44.216
22-04-19 2022-04-19 05:59:24 / 수정일: 2022-04-19 06:01:12
·
여기 댓글 다신 분들 현재 수시 제도에 대해서 아시는 분은 아무도 안계신 것 같네요.
혹시 자녀가 중학생 정도 되신다면 제대로 알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학원샘들한테 물어보진 마시고요……
noloyalty0000
LINK
#134486605
IP 49.♡.120.93
22-04-19 2022-04-19 06:26:05 / 수정일: 2022-04-19 06:32:23
·
요즘 서울대 부터 시작해서 자칭 명문이라는 학교들 과거 보다 기득권 자녀 입학률이나 비율이 높아진 것만 봐도 수시가 정시 보다 덜 공정한 건 사실이죠.

정시가 옳다는건 아니고 또한 적성 찾아주고 인재 발전에 적합하다 생각은 안합니다만

수시의 세세한 교육 정책 문제와 이 나라 부동산 상황 수도권 집중형상으로 인해

정시만도 못한게 수시라고 봅니다.

지금 명문이라는 대학생들 꼬라지보면 내로남불 행태만봐도 수시 자체 문제는 아니지만 정시만도 못해요
이멀더
LINK
#134486686
IP 106.♡.193.183
22-04-19 2022-04-19 06:45:11
·
매일같이 시장에서 새벽부터 저녁까지 장사하는 부모 밑에서 자라도 공부만 열심히 하면 누구든지 서울대 합격할 수 있어야 공정한건데 수시전형으로 그렇게 할 수 있나요?
미오냥냥
LINK
#134486693
IP 112.♡.93.43
22-04-19 2022-04-19 06:47:17
·
정시는 큰몇명이부정을이루지만 수시는 각학교마다부정을일으키죠
옥토버페스트
LINK
#134486703
IP 121.♡.184.179
22-04-19 2022-04-19 06:48:53
·
이런 의혹을 공공연하게 얘기하실때는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시길 바랍니다.
Kaffeebonbon
LINK
#134486762
IP 121.♡.219.214
22-04-19 2022-04-19 06:58:57
·
로스쿨이 사시보다 공정하다 할 분이네....
읏챠2020
LINK
#134486788
IP 180.♡.233.41
22-04-19 2022-04-19 07:03:14
·
ㅎㅎ일리 있는 글인데 편들어주는 분들이 별로 없네요. 전 어느 정도 공감합니다.

주변에 관련 업계(?) 분들이 좀 있어서 들은 바에 따르면, 정시를 늘리려면 지금 수능방식은 안된다는 거였어요. 여기 계신 분들이 연세가 많아 현재 수능을 몰라서 그러는데 지금 수능은 과목수나 범위가 너무 줄었고 선택과목이 많아져서 예전 학력고사나 수능 초기와는 많이 다르다더라고요. 과목수가 얼마 안되다 보니 정보력, 학원 선생 능력으로 수능시험 능력도 만들어 낼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런 부분들이 정시확대를 위해선 같이 보완돼야한다더라고요.
수시는 그동안 문제점들을 많이 보완해서 교사나 부모 힘으로 만들어낼수 있는 스펙이 많이 줄었대요. 수시 심사때에 정성평가 요소는 별로 안 남았고 대부분 정량평가라서 불공정할 부분들이 예전보다는 사라지고 있다더군요. 그리고, 수시, 하면 또 이런저런 전형들이 있는데 내신으로 가는 수시는 전 일부 필요한것 같아요. 학교수업 열심히 듣는 애들이 수능 하루 잘본 애들보다 더 성실한 애들일 수 있지 않나 싶어서.

그리고 한가지 더, 정시, 수시 얘기에 관련있는 대학은 경쟁률 높은 스카이나 인서울 몇몇 대학, 인기 학과 몇몇이고요, 나머지는 수시가 필요하단 얘기도 들었어요. 지방대는 수시가 아니면 학생 뽑기 힘들대요. 꼭 지방대 아니어도 이제 학령인구 줄어서 대학들마다 학생 유치에 혈안이라..이제 곧 수험생들이 성적 관계없이 대학 골라갈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수시폐지라고 딱 잘라 말하기 보단 여러 층위로 나눠 고민해야한다고 봅니다.

그런데 교육이랑 부동산은 어떻게 건드려도 답이 없어서...맨날 스카이, 강남 기준으로 모든 사람들이 얘기하고, 그걸 기준으로 정책 만들었다 부작용 나고 욕먹는 수순이죠..ㅎ
Ghost_K
LINK
#134489628
IP 218.♡.235.74
22-04-19 2022-04-19 09:47:19 / 수정일: 2022-04-19 18:58:17
·
@읏챠2020님 당연히 정시의 시험 방식(과목, 난이도, 출제방법 등)은 수시와 공존하는 현재에서 수정보완이 가해진 것을 토대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저는 정시에 학폭 등 학교생활 과락 기준만 딱 반영하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삭제 되었습니다.
완두앙금마니아
LINK
#134486841
IP 220.♡.61.154
22-04-19 2022-04-19 07:13:01
·
저도 정시가 더 공정하다는 말에는 동의 못하겠습니다. 수시 정시 각자 나름대로 장단이 있는거지 정시가 더 공정하다? 그러면 예를들어 강원도 화천에서 공부하는 학생들과 서울 대치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같은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라는거 누구나 다 알지 않나요?
아테나GT
LINK
#134486892
IP 223.♡.222.133
22-04-19 2022-04-19 07:18:33
·
옛날과 비교해보면.
EBS강사 퀄리티보면 정시는 거의 동일선상이라 봅니다.
제가다니던 지방 고등 선생들 수준 생각해보면..
그때나 정시가 불공평하던시절이었죠.

그냥 특차도 부활했음좋겠네요
빈여사남편
LINK
#134486915
IP 180.♡.15.9
22-04-19 2022-04-19 07:21:00
·
시험을 봐서 입학하는게 공정하죠 이것에 반대의견은 별로 없습니다. 헌데 수능이 변별력 있는 시험이라고 물으면 교육학자 백이면백 다 쓰레기 같은 시험이라함 ….
급인지풍
LINK
#134486926
IP 175.♡.64.123
22-04-19 2022-04-19 07:22:11 / 수정일: 2022-04-19 07:22:25
·
이글보니 수시폐지에 대한 확신이드네요
자크손
LINK
#134486935
IP 211.♡.198.186
22-04-19 2022-04-19 07:22:52
·
아니? 인맥 동원해서 뭘 귀뜸해준다는거죠?
수능문제요?
이게 사실이면 8시 뉴스 메인에 한 달 가까이 걸릴 엄청난 비리에요. 알고 하시는 말씀일까요?
근데 지금 그게 행해지고 있다고요?
무슨 근거가 있는 말씀인가요?
왼발의달사람
LINK
#134486979
IP 182.♡.189.21
22-04-19 2022-04-19 07:27:21
·
수시가 폐지되면, 학교는 수능시험 공부를 위한 교육기관으로 전락하는거죠. 대입이 아니라 배움의 측면에서 학생이 학교 수업에 충실하게 하는 역할을 수시가 일정 부분하고 있다고 봅니다.

수시는 꾸준한 노력이 빛을 발하고
정시는 나중에 정신차리고 한방을 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reminiscent
LINK
#134486980
IP 211.♡.140.124
22-04-19 2022-04-19 07:27:22
·
줄세우기를 부정하는 이상주의신것같네요. 입시는 부정차단이 가장 우선되어야합니다. 부유층 부모 백도어가 있는 수시는 장점보다 단점이 너무 커서 안됩니다.
arcticmission
LINK
#134487303
IP 203.♡.218.34
22-04-19 2022-04-19 07:56:28
·
@reminiscent님 공감합니다. 시험을 본다는것 자체가 일종의 줄세우기죠. 줄세우기가 싫다면 대학입시 자체를 없어버리면 됩니다.
금펜
LINK
#134487067
IP 61.♡.156.128
22-04-19 2022-04-19 07:35:14
·
수능으로만 뽑다보니 일부대학은 특목고 동문회 처럼 되더군요. 그게 더 심화되다 보니 수시 도입 한 건데
이것 역시 문제가 많고 참 어려운것 같습니다.
lazyzeus
LINK
#134487433
IP 106.♡.130.87
22-04-19 2022-04-19 08:06:29 / 수정일: 2022-04-19 09:07:32
·
@금펜님 특목고 동문회에서 탈피한건 의대로 가는 인원이 많이 빠진 원인이 큽니다.
바앤홀
LINK
#134487115
IP 223.♡.165.67
22-04-19 2022-04-19 07:39:53
·
수시보다는 공정하죠.
타이니
LINK
#134487124
IP 118.♡.32.102
22-04-19 2022-04-19 07:40:50
·
그 학원 이름좀 알려주세요. 대치에서 잠깐 공부했고 대치키즈들도 많이 알고 있지만 수능 정보 귀띔은 금시초문이네요. 아무리 인맥을 동원해도 격리된 교수들이 뭐 출제할지 어떻게 압니까. 대충 그런다더라 식의 말씀은 선동밖에 안됩니다.
이승재
LINK
#134487131
IP 110.♡.25.82
22-04-19 2022-04-19 07:41:27
·
출제자는 난이도 및 범위만 설정
문제 내용과 보기는 AI가 결정하면 되죠.
sbdp
LINK
#134487164
IP 175.♡.212.40
22-04-19 2022-04-19 07:44:46 / 수정일: 2022-04-19 07:46:49
·
절대적으로 공정하냐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봐야죠.
수시보다 정시가 공정한건 사실입니다. 변수가 적으니까요.

그리고 수능문제유출 관련해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서 증거를 제시할 수 있거나 발언에 대해서 책임질 수 있으신가요?

그게 아니라면 그냥 선동입니다.
veejay
LINK
#134487177
IP 175.♡.142.112
22-04-19 2022-04-19 07:45:42
·
정시가 100% 되려면 자사고, 외고,과고 등을 다 폐지한 후에 해야 합니다.
저녁나무
LINK
#134487183
IP 118.♡.61.184
22-04-19 2022-04-19 07:46:26
·
입시제도 아무리 바꿔봐야 다 소용없다고 생각합니다. 줄서기 대학 서열 문화 있는 이상 앞에 서기 위해 공정은 다 말아먹는 세력들이 있죠. 대학 서열을 바꿀 생각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과거 유럽 68혁명 세대처럼 대학 서열문화를 반드시 손 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sbdp
LINK
#134487199
IP 175.♡.212.40
22-04-19 2022-04-19 07:47:17 / 수정일: 2022-04-19 07:47:49
·
@저녁나무님 서열도 서열이지만 궂이 노력해서 명문대 나오지 않아도 모두 잘 살 수 있는 세상이 되어야겠죠... 서열만 없애봐야 의미가 없어요.
저녁나무
LINK
#134487261
IP 118.♡.61.184
22-04-19 2022-04-19 07:52:15 / 수정일: 2022-04-19 07:52:47
·
@sbdp님 지금도 명문대 나온다고 다 잘 살지는 않습나다. 돈 벌려면 다른 일 하죠. 다만 학생들을 상대로 대학들이 서열로 장사를 합니다. 거기게 사교육이 들러 붙어 있구요. 명문대 아니면 세상 망하는 줄 압니다. 이런 구조적 문제점 개선 작업을 해야해요.
sbdp
LINK
#134487289
IP 223.♡.84.26
22-04-19 2022-04-19 07:55:10
·
@저녁나무님 부동산에서 그랬듯이, 사람들의 기본적인 욕망과 욕구는 억누를 수 없어요. 고졸, 중졸로도 먹고살만한 사회가 된다면 자연스레 명문대 진학 욕구도 줄어들겠죠. 서열화도 희석될거구요
디펜
LINK
#134487201
IP 223.♡.75.189
22-04-19 2022-04-19 07:47:33 / 수정일: 2022-04-19 07:48:13
·
수시는 역차별요소가 있어요..참가자들이 결과에 승복해야하는데, 승복하기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공정성시비가 늘 있죠.. 교수아들 편입학 이런거 보면 답답한게 있어요
정시는 부작용도 있겠지만, 점수기반이라서 그나마 공정성 시비는 덜하죠.. 전 정시 한표입니다. 우리나라는 공정성시비를 떨쳐내기에는 아직은 그만큼 사회가 성숙하지 않았다고 봅니다..사람사는데가 다 그렇죠.
커피를줄여야할텐데
LINK
#134487215
IP 223.♡.215.216
22-04-19 2022-04-19 07:48:43
·
돈 없는 집 애들 서울대 가는 비율보면 수능하나로 갈때가 더 많을듯 합니다
shine7
LINK
#134487220
IP 39.♡.28.83
22-04-19 2022-04-19 07:49:04
·
글쎄요 전혀 공감이 안가네요
moonliter
LINK
#134487226
IP 27.♡.238.8
22-04-19 2022-04-19 07:49:20 / 수정일: 2022-04-19 07:50:12
·
이 주제에 논의가 너무 파편적이네요. 수시전형도 천차만별이고 수능 역시 괴물이 되어버린 상황입니다. 좀 심하게 얘기하면 수시는 예전보다 좀더 공정해졌고 정시는 예전보다 좀더 불공정해졌습니다. 누구말마따나 수시의 문제는 저신뢰사회인 한국에 맞지 않고 수능 줄세우기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박살내는 상황이죠. 이런 상황에서 공정이라는 잣대는 능력주의를 굉장히 비약적으로 포장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고교학점제도 그런 고민의 일환인데 여기서는 아직 이 정도 논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로 보이는 군요
arcticmission
LINK
#134487249
IP 203.♡.218.34
22-04-19 2022-04-19 07:51:28
·
수능 문제를 학원 강사들이 인맥 동원해서 귀띔해 준다고요? 책임질 수 있으신가요?
이건 지금 모든 정치 , 경제 이슈를 덮을 수 있는 엄청난 속보감이네요.
언론사 제보 들어가겠습니다.
금펜
LINK
#134487424
IP 223.♡.246.196
22-04-19 2022-04-19 08:05:44
·
@arcticmission님 쪽집게 과외 이야기 하는거 아닐까요?
fancylady
LINK
#134487262
IP 210.♡.98.124
22-04-19 2022-04-19 07:52:22
·
가짜뉴스 선동 글이였군요
0그림0
LINK
#134487297
IP 182.♡.183.38
22-04-19 2022-04-19 07:55:41
·
원글 작성자님의 지침이 보이네요. ㅋㅋ
우리 아이가 지금 고3인데, 정시가 수시보다 공정하다는 말은 어떤 부분은 맞지만 어떤 부분은 틀립니다.
정시,수시에 대한 공정성 시비는 이 부분에 대해 엄청난 노력으로 이해해야 그나마 언급이 가능하다고 봐요.
그냥 이게 공정하겠지란 답글은 삼가해 주셨음 합니다.
물론 저도 아직 잘 이해 못해서 언급을 못합니다.
자크손
LINK
#134487318
IP 211.♡.198.186
22-04-19 2022-04-19 07:58:19 / 수정일: 2022-04-19 08:02:32
·
1, 정시가 공정한 것은 아니다?
지방의 시골에 사는 학생들도 인터넷만 되면 한국 제1타강사 수업 들을 수 있죠. 시험범위가 정해진 시험이에요. 마치 서울 강남의 학생들은 고액과외로 못듣는 정보를 몰래 듣는다거나(그렇다면 엄청난 비리인거에요!) 자기들만 유명강사의 수업을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말이 안되는 거에요! 1타강사들 수업 인터넷에 다 공개되어 있어요. 하나 물어봅시다. 서울강남의 상위층 학생들만이 얻을 수 있는 정시정보라는게 뭐죠? 애매모호한 말장난은 마세요. 그런것은 없어요!!

2, 공정한 것이 최고다?
그 공정하다는 정시가 가져오는 엄청난 부작용들이 있어요.
과한 입시위주 교육, 학교의 입시공장화, 어렸을때부터 선행경쟁에 내몰리는 아이들, 도를 넘어서는 문제를 위한 문제를 푸는 행위, 인성교육의 부재, 공부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사회, 과도한 경쟁으로 사교육비증가, 경쟁에 과도한 국가 에너지 소비, 주요과목 편중화, 본고사부활, 실력만능주의등등

3, 이상은 수시, 현실은 정시에서 우리의 방향은?
수시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중에 하나이기에 완전 버릴수는 없어요. 현재 비율을 유지하면서 수시도 계속 어느정도 공정성을 확보하도록 경험하고 보완해나가야 해요.
예를 들어, 마트 주차장에서 여성상대 범죄가 늘어난다고 해서 여자만 주차하는 주차장을 만드는 짓 따위는 하지 말아야해요. cctv를 늘리는 방향으로 해야하지요.
마찬가지로 수시가 문제가 있다고 100프로 정시로 가자는 것은 시대역행적인 것이에요. 좀 더 많은 시행착오와 보완이 필요한거에요.

4, 교육으로 사회를 바꾸지 못한다.
일부 사람들은 교육을 바꾸어야 사회가 바뀐다고 생각해요! 천만에요!! 그 반대입니다. 사회가 바뀌어야 교육이 바뀌는 것이에요. 사회가 먼저 민주주의와 공정한 사회가 확보되어야지 교육도 민주적이고 공정한 수시같은 제도가 자리를 잡는 것이에요.
기득권들의 불공정 잣대로 조작과 편가르기로 권력을 잡아 시대 역행적인 반민주적 행태의 사회에서, 그것을 채점하고 평가하는 어른들이 너희들은 공정해야 한다고 말하면 그게 그냥 되나요?
그러니 교육의 질을 높히고 우리 아이들에게 꿈을 실어주고 싶으면 이 글을 읽는 당신들 한명 한명이 공정한 사람이 되어서 공정한 사회를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민주지산
LINK
#134487356
IP 39.♡.22.116
22-04-19 2022-04-19 08:00:49
·
그래도 수시보다는 정시( 수능 100%)가 훨씬 공정합니다.
사법시험 시설 판검사 자녀들 사법시험을 합격 못했죠. .
그러나 로스쿨 생기고 판검사 자녀는 쉽게 통과하고 있죠
jj34
LINK
#134487380
IP 58.♡.95.70
22-04-19 2022-04-19 08:02:34
·
수시는 내신을 박제해서 실수한 학생을 구제할 방법이 없죠. 이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꼼지락박사
LINK
#134487400
IP 125.♡.19.185
22-04-19 2022-04-19 08:04:34
·
저도 학부모가 되다보니 느끼게 되는데 수시 없어지면 지방 일반고 애들은 절대로 인서울 불가합니다. 2~3% 정도나 가지 나머지는 절대 불가라 봅니다. 그동안의 격차가 너무 커져 있고 현 정시수능 자체도 예전과 많이 다릅니다. 정시가 더 공정하다 보다는 진정 공정하려면 싹 뒤집어서 reset해야 합니다. 그리고 reset을 더 자주 해줘서 정보로 우위를 점하는 일을 없게 해야합니다.
금펜
LINK
#134487467
IP 223.♡.246.196
22-04-19 2022-04-19 08:08:07
·
@꼼지락박사님 공감 합니다.수능이든 수시든 시간지나면 문제 생기더군요.
그렇다고 바꾸면 바꾼다고 욕들어 먹는게 문제죠.
뷰티풀라임
LINK
#134487444
IP 223.♡.53.181
22-04-19 2022-04-19 08:07:09
·
깝깝하다
짜장77
LINK
#134487456
IP 106.♡.192.62
22-04-19 2022-04-19 08:07:46 / 수정일: 2022-04-19 08:15:46
·
그냥 전체 정시로 돌리고 ebs연계율 많이 높이면 되고 ebs에서도 기본수준이상의 심화강의도 하게 하면 변별력 생깁니다.... 그나마 노력에 대한 공정성 평가는 수시보다는 훨 낫습니다....개천에 용도 학력고사나 수능때처럼 많이 나올겁니다...또다시 입시지옥 만들거냐...그동안 공공연히 돈과 권력으로 만들어내왔던...수시비리보다는 낫다고 봅니다...개천에 용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었죠...

단지 시험 1번으로 평가는 안좋을수 있다 생각하고 전국시험을 2회정도 매학년마다 보아서 평균내거나 하는식은 어떨까 하네요...

사회적배려자전형...저소득층전형등은....따로 그 해당군에서 선발하면 되겠죠...

비리를 막기 힘든 구조라면...단순하게 가야죠..
eversmile
LINK
#134487524
IP 223.♡.22.173
22-04-19 2022-04-19 08:11:42 / 수정일: 2022-04-19 08:12:13
·
1650323315575.png
민감한 주제라 조심스럽지만
정시와 수시, 공정과 공평
쉽지 않지만 꾸준한 대화와 소통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분명한건 둘 다 부작용이 있고, 완벽할 수 없다는 것 같습니다.
Steinbourg
LINK
#134487582
IP 182.♡.41.106
22-04-19 2022-04-19 08:14:38
·
@eversmile님
지금은 이런 논문, 외부 수상경력 등 수시에 넣을 수 없습니다.
eversmile
LINK
#134487688
IP 223.♡.22.173
22-04-19 2022-04-19 08:20:27
·
@Steinbourg님 네 지속적으로 보완이 되고 있고, 앞으로도 보완 될 예정이라 알고있습니다. 과거의 문제가 미래의 문제로 직결된다고 단정하지 않습니다. 모든 제도는 완벽할수 없고 악마는 디테일에 있듯이 운영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리라 생각되요. 제 원 글이 좀 짧았네요. 언급 감사합니다.
Steinbourg
LINK
#134487675
IP 182.♡.41.106
22-04-19 2022-04-19 08:20:02
·
현직 학원강사입니다. 13년정도 사회과목 수업하다 수학으로 전향한지 3년째인데 사회탐구 과외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저같이 동네에서 노는 선생도 1:1 과외 붙으면 모의고사 점수 쑥쑥 올라갑니다. 작년에는 사문, 생윤 6, 7 등급 받던 학생 4개월만에 1, 2등급 만들어줬네요. 저 일주일에 한번 3시간 수업하고 80 받습니다. 고작 탐구에도 월 80 투자할 재력이 있으면 정시는 참 좋은 제도네요.
쭐량
LINK
#134487910
IP 202.♡.150.19
22-04-19 2022-04-19 08:32:04
·
한국의 학벌 중시하는 마인드와 풍토가 한국사회를 지해하는한 사교육 시장은 계속 커질 것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과 가족의 사교육에 투자하는 것은 막을 수도 없고 잘못된 것도 아닙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특정 대학 선호/서열을 없애는 방법으로 막 드는 생각입니다.
1. 대학 졸업 허들을 높인다. (e.g. 졸업시 학과별 자격증 필수 취득; 면허시험, 자격시험 등)
2. 국립대 교수 근무지 Rotation
eversmile
LINK
#134640210
IP 211.♡.46.131
22-04-26 2022-04-26 09:05:54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