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클리앙홈
소모임 소모임전체 임시소모임 ·AI당 ·AI그림당 ·아이포니앙 ·굴러간당 ·주식한당 ·자전거당 ·MaClien ·AI그림당 ·방탄소년당 ·일본산당 ·AI당 ·골프당 ·안드로메당 ·디아블로당 ·소셜게임한당 ·가상화폐당 ·나스당 ·키보드당 ·개발한당 ·바다건너당 ·노젓는당 ·콘솔한당 ·육아당 ·밀리터리당 ·땀흘린당 ·걸그룹당 ·날아간당 ·IoT당 ·와인마신당 ·꼬들한당 ·이륜차당 ·포뮬러당 ·덕질한당 ·클다방 ·VR당 ·냐옹이당 ·갖고다닌당 ·캠핑간당 ·스팀한당 ·레고당 ·소시당 ·PC튜닝한당 ·야구당 ·퐁당퐁당 ·시계찬당 ·리눅서당 ·빨콩이당 ·전기자전거당 ·방송한당 ·축구당 ·총쏜당 ·개판이당 ·테스트당 ·가죽당 ·그림그린당 ·사과시계당 ·DANGER당 ·뚝딱뚝당 ·라즈베리파이당 ·KARA당 ·젬워한당 ·임시소모임 ·패스오브엑자일당 ·LOLien ·물고기당 ·여행을떠난당 ·심는당 ·스타한당 ·윈태블릿당 ·활자중독당 ·창업한당 ·나혼자산당 ·맛있겠당 ·3D메이킹 ·오른당 ·X세대당 ·요리한당 ·날아올랑 ·테니스친당 ·WOW당 ·뽀록이당(당구) ·문명하셨당 ·e북본당 ·찰칵찍당 ·보드게임당 ·안경쓴당 ·배드민턴당 ·농구당 ·블랙베리당 ·곰돌이당 ·블록체인당 ·볼링친당 ·클래시앙 ·쿠키런당 ·대구당 ·동숲한당 ·이브한당 ·패셔니앙 ·도시어부당 ·FM한당 ·차턴당 ·내집마련당 ·하스스톤한당 ·히어로즈한당 ·인스타한당 ·어학당 ·Mabinogien ·미드당 ·땅판당 ·헌팅한당 ·영화본당 ·MTG한당 ·소리당 ·노키앙 ·적는당 ·소풍간당 ·품앱이당 ·리듬탄당 ·Sea마당 ·SimSim하당 ·심야식당 ·미끄러진당 ·파도탄당 ·공대시계당 ·터치패드당 ·트윗당 ·WebOs당 ·윈폰이당
© CLIEN.NET
공지오늘 밤 10시부터 약 15분간 서버 점검이 있습니다. 더보기
f

모두의공원

한국 부동산 가격 통계의 오류 166

54
마루탱
39,542
2021-08-09 05:05:52 수정일 : 2021-08-09 09:11:20 82.♡.121.228

607b8626baffd.jpg





이런 통계를 보면 한국이 코로나 시국에 다른 선진국들 보다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르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4bccecbb660e8.jpeg



하지만 위의 통계를 보면 서울 상승률 5위, 런던 상승률 100위라는 말도 안돼는 차이가 발생하죠




한국이 물론 수도권 집중화가 과열되어 있다고 하지만 왜 저런 격차가 발생할까요? 런던도 영국에서는 한국의 서울 못지 않은 수도권 집중현상이 일어나는 곳인데 말이죠...

제가 현재 영국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서울, 수도권 아파트 위주의 부동산이 폭등하며 높은 집값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과는 반대로

현재  영국 부동산 가격을 견인하고 있는 거래는 도시보다는 외곽입니다.

오히려 런던 시내의 부동산은 공실이 많고 코로나 시국에 가격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유는 주요 회사들의 재택근무 때문입니다. 


제가 근무하고 있는 영국  IT 회사의 경우, 작년 3월부터 현재까지 약 1년 6개월을 전직원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 도시에서 비싼 방세를 지불하고 있던 직원들이 각자의 소도시나 방세가 싼 도시 외곽으로 거주지를 이동해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비단 저희 회사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산업 분위기가 그렇습니다.

재택근무의 장기화로 사람들의 수요가 좀더 넓은 집, 홈오피스를 추가로 운용할 수 있는 방의 갯수가 많은 집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때문에 아파트 보다는 정원이 딸린 외곽의 넓은 주택이 거래도 많고 가격도 많이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가 끝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지만 현재 상황을 보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현재 영국은 코로나 관련해서 모든 사회적 제한조치를 푼 상태이며, 모든 경제활동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피스들은 그렇지 않고 있죠. 아직도 많은 수의 회사들이 재택근무를 유지하고 실제로 직원을 뽑을 때

재택근무를 고지하고 채용공고를 내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저희회사만 해도 앞으로 정상적으로 출근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데 일주일에 3일출근, 2일은 재택근무를 하는 형태를

영구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종과 포지션에 따라 영구 재택근무를 선택할 수 있는 인원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부동산 가격은 올랐지만, 한국과 비교해서 몇달만에 50% 100% 오른 부동산은 없습니다.

오히려 탈 중앙화 현상 때문에 지방 집값들이 올라서 부동산의 양극화가 줄어든 느낌입니다.


이런 이야기를 굳이 이렇게 길게 쓰는 이유는 오히려 이러한 방법이 한국의 부동산의 해법으로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업과 학교를 중심으로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을 확대한다면 한국도 부동산의 탈중앙화와 양극화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마루탱님의 게시글 댓글
SIGNATURE
즐겁게즐겁게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54명
댓글 • [166]
메모동기화
을 누르면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조미운
LINK
#127418333
IP 118.♡.235.220
21-08-09 2021-08-09 05:13:12
·
그냥 저 5% 통계가 틀린 거에요. 서울 중심지나 경기도에 괜찮다는 곳의 아파트 뿐 아니라, 서울 최외곽이나 경기도 벗어난 강원도 충청도에 중소도시 아파트까지 2015년부터 50% 안 오른 곳은 찾기 힘들고, 두 배 넘게 오른 곳도 허다합니다. 심지어 아파트가 아닌 빌라들도 그래요.

그냥 실제 부동산 가격 변동, 체감 가격 변동이랑 전혀 맞지 않는 통계입니다. 통계가 원래 뽑기 나름이지만, 이 2015년부터 8% 상승이라는 수치는... 음... 주위 무주택자한테 가서 부동산 가격 얼마 안 올랐다고 들이대면 욕먹기 딱 좋을겁니다.
mericrius
LINK
#127418555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6:32:37
·
@조미운님 시세를 파악하기 쉬운 아파트와 빌라는 올랐는데 단독주택은 시세파악이 어렵습니다. 제가 사는 동네만 해도 직선반경 500m내에 1년동안 거래되는 건수가 10건 정도 입니다. 서울인데도요. 주택은 사실상 시세 파악이 안되는데 아파트, 빌라, 주택까지 전부 합쳐서 평균 내면 저렇게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부지역 주택가격은 오히려 내려가는 곳도 있었으니까요.
날라차기
LINK
#127418971
IP 223.♡.42.159
21-08-09 2021-08-09 07:42:46
·
@조미운님 주석에 주택이라고 써있는데... 아파트나 빌라 이야기 하시는거보면 음........
검은치마
LINK
#127419034
IP 211.♡.157.148
21-08-09 2021-08-09 07:48:08
·
@조미운님 대놓고 토계가 틀렸다니요 ㅎㅎ 코끼리 다리 만지고 이건 기둥이야라고 말하는 격입니다 ㅎㅎ
Picard
LINK
#127419791
IP 121.♡.224.86
21-08-09 2021-08-09 08:43:48
·
조미운님// 제가 사는 지방소도시는 산업단지 끼고 있어서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16년 분양 브랜드 아파트가 있고 분양가 2억9000에 지금 3억 2000정도 합니다. 어디 중소형 아파트가 50%나 올랐는지 궁금하네요. 수도권이면 모를까. (부모님이 사시는 용인 아파트 20년된 구축이 몇년 사이에 80% 올랐더군요. 지라철 뚫려서)
랜슬럿
LINK
#127420276
IP 118.♡.110.74
21-08-09 2021-08-09 09:07:07
·
@조미운님 지방으로 가면 떨어진 곳, 미분양 도 많아요. 15년도 부터 보면 수도권+광역시 까지 볼 수 있고, 20년도 이후로 보면 수도권+광역시 일부핵심지역 만 상승했죠.
블루모카
LINK
#127421571
IP 210.♡.98.165
21-08-09 2021-08-09 09:51:24 / 수정일: 2021-08-09 09:51:47
·
@조미운님

아파트만 보면 그런데 빌라는 안 오른 거 맞습니다. 오히려 서울도 빌라는 떨어지는 곳도 있죠. 아파트 통계가 아닌 집값 통계는 안 오를 수도 있어요.
청룡트윈스
LINK
#127421774
IP 61.♡.76.109
21-08-09 2021-08-09 09:56:45
·
@조미운님 통계가 틀린게 아니라 님이 통계를 모르는 것 뿐입니다. 어디가서 통계라는 단어 끄내지도 마세요.
히지리
LINK
#127422104
IP 180.♡.243.172
21-08-09 2021-08-09 10:06:18
·
@조미운님 ㅇㅂ충 쉴더라고 메모되어있는 분이네요
Queueue
LINK
#127422577
IP 59.♡.236.78
21-08-09 2021-08-09 10:20:22
·
@검은치마님 내가 살 집 얼마나 올랐냐가 중요하지 평균 내서 통계해봐야 무의미하죠.
서울이나 수도권은 거의 두배올랐다는게 체감입니다
ziin
LINK
#127422595
IP 119.♡.246.129
21-08-09 2021-08-09 10:21:03
·
@조미운님 님에게 하는 글이 아니라 님 댓글에 하는 말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또 그놈의 지방 빌라 나오네요.
그래서 님들은 어디 살아요? 일자리가 없는데 어케 지방 빌라서 사냐구요? 답답들 하시네.
네이버 부동산 들어가서 지금 살고 있는곳 시세 확인 해보세요.
그게 현실이니까
삭제 되었습니다.
Picard
LINK
#127423855
IP 121.♡.224.83
21-08-09 2021-08-09 10:57:32
·
@ziin님 조미운님이 지방 중소도시까지 50-100 올랐다고 하셔서 제가 저희 동네는 성장중인 도시인데도 안그런데요. 라고 한겁니다. 제가 수도권 안살아요.
사표방지위원장
LINK
#127425994
IP 59.♡.177.137
21-08-09 2021-08-09 11:56:55
·
@Picard님 거제도는 15년 분양한 아파트 분양가도 안되는곳 있어요,,,거제도 뿐만 아니라 광역시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은 그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mobilespace
LINK
#127427615
IP 106.♡.11.28
21-08-09 2021-08-09 12:40:19
·
@조미운님 통계를 자의적으로 해석할 거면 세상 모든 통계가 의미가 없죠 ㅎㅎㅎㅎㅎㅎ
삭제 되었습니다.
젠도
LINK
#127428081
IP 39.♡.47.32
21-08-09 2021-08-09 12:52:34
·
@조미운님
조미운
LINK
#127429264
IP 118.♡.235.220
21-08-09 2021-08-09 13:24:19
·
어우... 자고 일어났더니 대댓글 많이들 주셨네요. 진심으로 2015년부터 지금까지 주택 가격 8% 올랐다고 생각하시나요? 주택 가격 한 50% 오르려면 아파트 가격은 지금보다 10배는 더 뛰어야겠네요.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 제가 통계를 모르는 게 아니라, 제일 거짓말 많이 하는 숫자가 통계입니다. 저 "OECD 주요국 주택 가격 상승률"이란 자료의 각각 국가들이 나타내는 수치가 의미하는 바도 다 다를 테고요.

제가 옛날 같지 않아 대댓글 써가며 키배할 힘도 없어 그냥 한마디만 하고 지나가겠습니다. 더 대댓글은 안 달게요. 어차피 평행선일테니까요. 근데 다른 분들이랑 부동산 관련된 토론 할 때 저 자료 가지고 와서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집 값 제일 안 올랐다고!" 주장하시면 혼날 겁니다. 정신들 차리세요.
MDEASY
LINK
#127429486
IP 114.♡.26.165
21-08-09 2021-08-09 13:30:06
·
@조미운님 ㅎㅎㅎ
진네만
LINK
#127431540
IP 223.♡.18.127
21-08-09 2021-08-09 14:26:31
·
@조미운님.
가을길
LINK
#127437405
IP 220.♡.162.78
21-08-09 2021-08-09 17:02:54 / 수정일: 2021-08-09 17:03:51
·
@조미운님 부동산 양극화가 심해쟈사 2배 오른곳도 많지만
오르지 않은곳도 많습니다.

부동산 양극화와 전체적으로 상승했느냐는 또다른 문제라고 보는데요
다른 사람 얘기도 귀담아 들었으면 합니다.
배트맨
LINK
#127418345
IP 121.♡.196.222
21-08-09 2021-08-09 05:17:43
·
근데 부동산 가격이라는게 그렇게 한가지만 가지고 결정되는것이 아니라 그래서 정책을 만들기 어렵죠.
정확한 통계가 필요할까요?? 어차피 사람들은 자신만의 판단에 따라 시장에서 움직입니디. 아무리 정확한 통계를 제시해도 해석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데 다들 다른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오른다고 하면 떨어지길 기다리고 내린다고 하면 언제까지 떨어지나 기다려보자하고 결국 심리적으로 안사겠다는 사람은 어떤 통계가 나와도 안사요.
라랑
LINK
#127418354
IP 175.♡.185.10
21-08-09 2021-08-09 05:23:36 / 수정일: 2021-08-09 05:26:05
·
지방도 많이 올랐어요
한국 수도권 광역시에서 전체인구 70퍼가 거주를 하는데
지방 중소도시도 많이 올랐고 아예 완전 시골을 말하는 거면 인구수는 10% 안밖은 되려나요?
거기 떨어져봐야 무슨 의미가 있나 싶고..
우아한호랑이
LINK
#127427030
IP 223.♡.21.192
21-08-09 2021-08-09 12:23:13
·
라랑님// 그러니까요. 현실적으로 인구 대다수가 수도권에 사는데 지방은 떨어졌어요, 해봤자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거야말로 눈가리고 아웅 같아요.
wheelnut
LINK
#127418408
IP 81.♡.209.166
21-08-09 2021-08-09 05:45:07 / 수정일: 2021-08-09 05:48:25
·
저도 영국 도심에서 한참 외곽에 사는데 외곽쪽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것 같아요.
이유는 말씀처럼 재택근무가 활성화 되었고

같은 가격에 조금만 나오면 집이 대궐이 되니 점점 도시에서 탈출하는 경향이 짙어지는 것 같아요.

도심과 비교해서 삶의 질이 많이 달라지죠.
bigegg
LINK
#127418413
IP 58.♡.175.21
21-08-09 2021-08-09 05:47:04 / 수정일: 2021-08-10 06:27:59
·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서울 집중 현상, 주거형태의 특성
단순히 외국의 집값과 비교하는건 아니라고는 생각했었습니다.

저도 서울의 집값은 공급이 아닌 런던같이 주거형태의 변화, 집중현상의 해소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에 대기수요가 수백만 천만씩 존재하는 상황에서 단순한 공급이 가격을 낮춘다는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마루탱
LINK
#127420761
IP 82.♡.121.228
21-08-09 2021-08-09 09:25:13
·
@bigegg님 말씀대로 핵심은 공급이 아닙니다. 수도권에 물량때려 붓고 인프라 만들어 봤자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계속 올라옵니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탈피할 핵심적인 변화가 필요한거죠.
의외로 재택근무의 확대가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iohc
LINK
#127421053
IP 61.♡.89.246
21-08-09 2021-08-09 09:34:42 / 수정일: 2021-08-09 19:19:03
·
@마루탱님
오래 전에 집값 잡으려면 지금처럼 억누르는 정책이 아니라 지방에 꾸준한 투자를 해야한다고 얘기했는데요. 지금도 생각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이번 코로나 상황에 재택근무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단걸 알았네요.
wheelnut
LINK
#127418414
IP 81.♡.209.166
21-08-09 2021-08-09 05:47:57 / 수정일: 2021-08-09 05:49:21
·
첫번째 통계가 현실과 동떨어지게 느껴지는 부분은 아마 국토 전체의 ‘평균’ 으로 내었다는 건데,

사람들은 전 국토에 ‘평균’ 적으로 골고루 살지 않죠.

여기서 부터 해석상 큰 오류를 갖을 수 있고,
다음 이유로는 말씀처럼 지금 영국 사무실들의 경우 아직 재택하는 곳이 많다는 이유도 있을 것 같네요.

사교육이나 학군 문제가 있을 수 도 있지만
보통 영국인 가정의 경우 한국만큼 그렇게 열성적으로 학원도 다니는 경우는 드믄 것 같아요.
길상
LINK
#127418568
IP 180.♡.158.219
21-08-09 2021-08-09 06:36:18
·
공감합니다.
김현아 sh사장 낙마하는 걸 보고 부동산 문제가 개선될 여지가 있기는 하구나하는 일인입니다.
냉정하게 있는 그대로 세상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싄이나
LINK
#127418583
IP 117.♡.10.143
21-08-09 2021-08-09 06:40:17
·
이 정부가 집권중에 가중평균을 고려해 통계를 낼리가 만무하죠.
석군이
LINK
#127418619
IP 122.♡.252.54
21-08-09 2021-08-09 06:48:04
·
@싄이나님 통계는 과거부터 계속 동일한 방식으로 내는겁니다. 정부탓도 병입니다.
mericrius
LINK
#127418627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6:50:18
·
@석군이님 기존의 지표가 시장의 방향성을 설명해주기 부족하다면 새로운 지표를 개발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기존의 관성을 그대로 유지할게 아니라요.
석군이
LINK
#127418649
IP 122.♡.252.54
21-08-09 2021-08-09 06:54:06
·
@mericrius님 기자들이, 정부정책자들이 자기 입맛에 따라 끌어오는 지표들 말고 통계청에가서 직접 공부해서 통계를 보면 관성에 젖은건 정부가 아니라 님이라는걸 알게됩니다.
mericrius
LINK
#127418662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6:56:39
·
@석군이님 아니 그렇게 좋은 통계가 많은 데 왜 김현미 장관은 부동산 정책 발표하는 곳에서 집값 안 올랐다고 했느냐는 거죠. 제가 문제 삼은 부분은 통계청에서 통계 잘못냈다는게 아닙니다.
찹쌀군
LINK
#127418680
IP 211.♡.68.60
21-08-09 2021-08-09 06:59:55
·
싄이나님// 코인이나 하세요~
/Vollago
석군이
LINK
#127418717
IP 122.♡.252.54
21-08-09 2021-08-09 07:06:07
·
@mericrius님 그런 쓸데없는 정치적 워딩들 틀렸다고 정부욕 할 시간에 규제발표문서 자세하게 다 들여다보고, 정부의 숨은 의도와 드러나지 않는 현재상황을 읽을수 있으면 됩니다.
어차피 통계가 틀렸냐 아니냐 중요한거아니잖아요~ 정부욕하고싶어서 욕할거리 찾아와서 퍼뜨리고 싶은게 님의 심정일뿐이죠.
mericrius
LINK
#127418745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7:10:49
·
@석군이님 제 마음 속에 들어와 보셨나요? 왜 저의 심정을 석군이님이 규정하려고 하시나요? 부동산에 대해서는 대통령도 사과했고 잘못을 인정했어요. 어떤 정권이든 공과가 있는거죠. 잘한거는 잘했다하고 잘못한 부분은 잘못했다고 말할 수 있는 거죠.
석군이
LINK
#127418925
IP 117.♡.1.190
21-08-09 2021-08-09 07:37:03
·
@mericrius님 정부가 잘못한건 단지하나입니다. 막을수 없는걸 막겠다고한거죠.
그러니까 상승 자체에대한 사과를 하는게 맞는거구요. 님은 정부가 나도 쉽게 알수있는 통계를 안바꿔서 실패했다고 잘못된 인과로 정부를 비판하니까 제가 님을 비판한겁니다.
mericrius
LINK
#127419030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7:47:48 / 수정일: 2021-08-09 07:49:53
·
@석군이님 제가 통계 바꾸지 않은 것을 비판한 이유는 김현미 장관이 부동산 정책 발표하는 자리에 나와서 감정원 통계를 가지고 우리나라는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거를 보았기 때문입니다. 제가 언제 통계를 안 바꿔서 실패했다는 말을 썼나요? 필요하다면 새로운 통계를 개발해야 했다고 썼죠. 그들이 부동산 정책을 통계를 잘못썻는지 어쨌는지는 저는 모르죠. 하지만 김현미 장관의 워딩은 박제되었죠.
짜장77
LINK
#127419162
IP 61.♡.175.11
21-08-09 2021-08-09 07:58:19 / 수정일: 2021-08-09 11:18:41
·
@석군이님 의식주에 해달하는 주택에 대해....막을 수 없는걸 막겠다고 허위발표를 했든... 아니면 정말 무지해서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해서 그렇게 했든.... 이 하나의 잘못은 국민의 삶을 책임져야할 정부에서 한 잘못치고는 너무 큰 잘못 아닐까요...물론 다른 정권은 더한 잘못도 했지만....부동산에 대한 하나의 이런 큰 잘못은 그에 비견될 정도의 잘못같네요....
석군이
LINK
#127419273
IP 117.♡.1.190
21-08-09 2021-08-09 08:09:08
·
@mericrius님 진짜 웃기는게 그때 김현미 장관이 "한국집값 급등하고 있습니다! 공급도 빠른시일에 할 방법이 없습니다! 집값잡을 방법이 없습니다!" 라고 말했다면 뭔소리를 들었을까요? ㅋㅋㅋㅋㅋ

집값은 바로급등하고
장관은 무책임한 발언으로 집값급등 부추겼다고 집값상승은 장관의 발언이 촉매가되었다고 쌍욕먹고 바로 짤렸겠죠.

마치 자신은 정당하게 논리에 근거하여 비판을 하고있다고 착각하는것도 무지입니다.
어떤 정부가 무슨짓을 했어도
집값은 올라있을거고
님은 정부욕을 하고있을거에요.
mericrius
LINK
#127419461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8:23:00
·
@석군이님 네~넹~ 위대한 선지자 석군이님!
석군이
LINK
#127419507
IP 117.♡.1.190
21-08-09 2021-08-09 08:26:44 / 수정일: 2021-08-09 08:26:51
·
@mericrius님 아 선지자긴합니다. 2017년에도 이렇게될거라고 글을 썼거든요..^^ 물론그때도 비웃는사람들은 있었지만요.^^
iohc
LINK
#127421398
IP 61.♡.89.246
21-08-09 2021-08-09 09:45:18 / 수정일: 2021-08-09 19:19:36
·
초기에 경질하고 바꾼 곳이 통계청이었죠.

그리고 2020년말에 정책발표 질의응답에 실거래가 통계를 처음 봤다는 장관을 보면서 부동산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황당해 했는데요.

같은 통계도 해석이 다른데 아예 입맛에 맞게 뽑은거는 ... 답답하죠
cvn6668
LINK
#127427306
IP 223.♡.54.247
21-08-09 2021-08-09 12:31:13
·
@석군이님
님 큰 오해를 하고 계십니다
정부가 잘못한건 못막은게 아니라 못막는걸 막을수 있다고 말한것..이라고 하셨는데요
막을수 있다고 말만 한게 아니라 막는다고 오히려 폭등시킨 정책을 20개가 넘게 쏟아낸 것입니다
차라리 막을수 있다면서 실제로는 아무것도 안한게 더 나을뻔 했어요
바로 이 "무능", 이게 잘못입니다
정부가 무능할수도 있지 라는게 아니고 무능한 정부는 나쁜 정부이고 잘못한 정부입니다
잘못한 부분은 잘못했다고 말해야 하며, 특히 그 지적이 지지자들의 입에서 나와야만 정부는 새로워집니다
석군이
LINK
#127427358
IP 117.♡.1.190
21-08-09 2021-08-09 12:32:53
·
@메리핀님 ㅎ 정책이 폭등시켰다면 아무것도 안했으면 안올라야하는데
죄송하지만 아무것도 안했으면 저는 지금 집이 세채정도는 더있고 돈도 10억정도는 더 벌었을겁니다. ^^
귀토레미
LINK
#127429733
IP 61.♡.183.22
21-08-09 2021-08-09 13:35:48
·
@iohc님 통계청장 바꾼 일은 부동산 통계 때문에 바꾼 게 아니었죠. 소득 관련 조사 때문에 그랬던 걸로 아는데요.

제발 억까는 그만 하시죠. 팩트 기반 비판해도 할 거리 충분합니다.
iohc
LINK
#127441352
IP 61.♡.89.246
21-08-09 2021-08-09 19:07:16 / 수정일: 2021-08-09 19:17:34
·
@귀토레미님
잘 몰라서 그러는데, 당시 통계청장이 소득관련 비리가 있었던 것인가요? 갑자기 변경한 이유가 뭔지 ...

제가 좀 확대 해석해서 얘기한 것은 인정합니다.
이 게시글이 부동산에 대한 것은 맞지만 댓글들의 전체적인 흐름은 통계에 대해서 서로 보는 바가 다르다는 것과 조사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수장을 바꾸는 것은 통계에 대해서 변화를 줄려고 했다는 의미로 적은 것이구요.

게다가 그런 통계들을 바탕으로 정책에 반영해야 할 타 부서 수장은 수십 번의 정책을 발표하면서 중요한 자료 중 하나를 임기 말에서야 처음 봤다고 하니 이게 대체 무슨 말인가 하는거죠.
basketguy78
LINK
#127418599
IP 114.♡.166.95
21-08-09 2021-08-09 06:43:04
·
5년기준이냐 1년기준 분기시점이냐 차인대요 머 딱 그시기만 들이대면 안되죠. 최소 3넌 정도 비교해야죠
mericrius
LINK
#127418613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6:47:06 / 수정일: 2021-08-09 06:47:43
·
근데 부동산 통계에 너무 안이하게 대처한거는 무조건 이번 정부에 책임이 있습니다. 아파트 거주를 선호하는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특이한 구조를 가진 게 한국 부동산 시장인데 그럼 거기에 맞춰서 통계를 만들어야 했음. 그냥 전국 평균을 낸 지표를 가지고 정책을 내면 매번 뒷북 정책이 나올 수 밖에 없죠.
석군이
LINK
#127418636
IP 122.♡.252.54
21-08-09 2021-08-09 06:51:53
·
@mericrius님 통계청 가서 통계를 안보시는모양인데, 수도권 지역별, 주거형태별로 다 통계를 내고있습니다. 그리고 통계를 함부로 바꾸는게 더 미친짓입니다.
mericrius
LINK
#127418651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6:54:35
·
@석군이님 다들 집값 오른다고 난리 났을 때도, 수십 번 부동산 정책 발표하는 현장에 나와서 김현미 장관이 감정원 통계 가지고 집값 안 올랐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통계청에서 통계 잘 내도 정책 입안자가 잘못된 통계를 보면 말짱 꽝이죠.
석군이
LINK
#127418688
IP 122.♡.252.54
21-08-09 2021-08-09 07:01:52
·
@mericrius님 정부 정책자들은 님 생각보다 훨씬 똑똑하고, 저보다도 훨씬 더 많은 통계를 살펴보면서 정책을 입안합니다.
통계가 잘못된것이 아니라
통계를 님의 체감에 맞추라고 요구하는 님이 틀린겁니다.
정부가 지금 집값이 엄청 오른걸 모르고 저렇게 발표를 하는게 아닙니다.
mericrius
LINK
#127418719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7:06:14
·
@석군이님 당연히 저보다 똑똑하겠죠. 석군이님보다도 똑똑하고요. 그런데 부동산 정책은 실패했잖아요. 이 부분은 대통령 조차도 인정했고요. 그러니까 욕먹는거고요. 제가 언제 정부 당국자가 멍청하다고 했습니까? 똑똑해도 실패할 수 있죠. 똑똑하다고 무조건 성공하는 거 아니잖아요. 아무리 유동성 확대가 부동산 가격의 트리거라고는 해도 지금 같은 폭등에는 정책입안자들의 실책도 작용했다는데에는 다들 동의하는거 아닌가요? 좋은 통계가지고 있었고, 똑똑했으면 국민들이 오해할만한 발표를 해서는 안되겠죠.
석군이
LINK
#127418885
IP 117.♡.1.190
21-08-09 2021-08-09 07:32:56
·
@mericrius님 실패는 정책을 잘했다면 상승을 막을수 있었다고 할때 할수있는말입니다. 님이야 말로 가격만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실패를 정부탓으로 돌리고싶어하는거죠.
mericrius
LINK
#127418924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7:36:55 / 수정일: 2021-08-09 07:40:33
·
@석군이님 ^^ 님은 항상 상대방의 의도를 혼자서 재단하시고 말씀하시는 습관이 있으신 거 같네요. 왜 제가 실패하고 정부 탓을 한다고 하시는 지 이해가 안되네요.^^
흡혈귀왕
LINK
#127418928
IP 211.♡.140.131
21-08-09 2021-08-09 07:37:14 / 수정일: 2021-08-09 07:48:26
·
@석군이님 그건 좀 아닌거같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 자체가 현정부만으로 탓을 돌리기엔 당연히 말이 안되지만 분명 더 억제할수있었는데 그러지 못했습니다...

심지어 정책적인 헛발질도 분명 있었구요

특히나 지금 반감이 더욱 나오는게
국토부 전임자들의 어그로성 멘트가 너무 강했어요
이것만 아니었어도 아마 구설수는 덜 올랐을거라봅니다...

과정이 어찌됬던 현 상황이 그런건 어쩔수없어요..

게다가 이미 대통령께서 부동산 사과를 한 시점에서 더더욱이요...


일반인들 기준에서 결국
이것때문에 그렇다 저것때문에 그렇다
그러니 어쩔수없다 말하는건 결국 책임안지려고
회피성 면피로밖에 안들릴겁니다.

대부분 지금 상황 욕하는 사람 대부분도
집을 못사서 배가 아픈 사람만 있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이사철 다가와서 전월세난으로 이사를 못가고 있어서 그걸로 발 동동구르는 사람들이 훨씬많습니더.
석군이
LINK
#127418960
IP 117.♡.1.190
21-08-09 2021-08-09 07:41:18
·
@흡혈귀왕님 딱 현재시점에서 현재시점보다 더 잡을수있는 방법은 없습니다.물론 집값만 잡으면 다른건 어떻게 되든 아무상관없다 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서는요.
흡혈귀왕
LINK
#127418985
IP 211.♡.140.131
21-08-09 2021-08-09 07:44:17 / 수정일: 2021-08-09 07:50:24
·
@석군이님 그건 저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늦었어요..
가격은 돌아올수없는 강을 건넜구요...

빈부격차 벌어지고 멸망의 길로가는거죠 뭐

역사적으로도 집값이 빠졌던건
경제적 타격이있던 IMF나 리먼브라더스 사태
정도인데

정부가 집값을 하향 시키기위해 경제를 죽인다?

말도안되고 소도안되는 소리죠
금리 이야기가 계속 나오지만 이게 IMF 시절 처럼 올릴것도 아니고 이미 대출규제 빡쌔게 조인 시점에서 의미없습니다.

심지어 국토부는 이번 8.4 담화때
수도권에 50만호 공급한다고한것도 7년이될지 10년이될지 알수없다했습니다.

3기 신도시?
입주가 2030년에 되면 다행입니다.

걍 답이 없어요 현 상태에선
석군이
LINK
#127419142
IP 117.♡.1.190
21-08-09 2021-08-09 07:57:13
·
@mericrius님 음? 님은 마치 아닌것처럼 말씀하시네요...
혹시 제가말한 실패가 집못사서 실패한거라고 제 의도를 혼자서 재단하시고 말씀하신건 아니구요?
석군이
LINK
#127419208
IP 117.♡.1.190
21-08-09 2021-08-09 08:03:03
·
@흡혈귀왕님 정부가 지금 쌍욕들어가면서 최대한의 규제로 다주택자 매수를 막는 이유가 그나마 빈부격차 급증을 막으려는거죠. 바보같이 집값하나만보고 이런 이상한 레토릭으로 정부가 무능하다는 프레임 만드는게 너무 보여서 싫네요.
mericrius
LINK
#127419232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8:05:18
·
@석군이님 "님이야 말로 가격만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실패를 정부탓으로 돌리고싶어하는거죠." 따움표로 님이 말한 내용을 인용합니다. 님이 저렇게 말하니 "왜 제가 실패하고 정부 탓을 한다고 하시는 지 이해가 안되네요.^^"라고 말했는데 저 말 조차도 제가 님의 생각/의도를 재단했다고 하시니 할 말이 없네요. 저는 그냥 이해가 안되는 거라 자꾸 제가 무슨 의도를 가지고 말 한다고 생각 안하셔도 되요. 그냥 이해 안되면 이해 안되는 거지 뇌내망상을 돌리면 삶이 너무 피곤하지 않을까요?
흡혈귀왕
LINK
#127419255
IP 59.♡.28.124
21-08-09 2021-08-09 08:07:09
·
@석군이님 어쩔수없죠
집 자체가 되게 민감한 부분이고 삶과 집결된 부분이라...
기타사외유출
LINK
#127419538
IP 106.♡.194.190
21-08-09 2021-08-09 08:28:49 / 수정일: 2021-08-09 08:30:02
·
@석군이님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1년 7월부터는 한국부동산원에서 통계 표본 산출 및 조사 방법을 변경했습니다. 통계청에서조차 부동산 통계의 부실 가능성은 예전부터 제기했고요
석군이
LINK
#127420335
IP 117.♡.1.190
21-08-09 2021-08-09 09:09:53
·
@기타사외유출님 욕을 오지게먹어서 바꾸긴 바꿔도 그렇게 바꾸면 과거로부터 쌓여온 시계열 데이터를 다 잃는것이기 때문에 손실이 엄청 큽니다.
그 변경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알아서하는부분이니 제가 언급할 필요는 없지만, 인터넷에서 나만 잘난 사람들이 정치인이들고나온 통계만 보고 이래라 저래라 하는건 백해무익하다고 보네요.
삭제 되었습니다.
귀토레미
LINK
#127429766
IP 61.♡.183.22
21-08-09 2021-08-09 13:36:32
·
@mericrius님 통계를 바꾸면 그 이전 통계와의 비교가능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그닥 공감이 가진 않네요.
공모공모
LINK
#127418742
IP 218.♡.90.186
21-08-09 2021-08-09 07:09:46
·
저 8퍼센트 상승 자료는 어디서 나온걸까요??
처리
LINK
#127418866
IP 14.♡.211.155
21-08-09 2021-08-09 07:29:28
·
@공모공모님 김현미? ㅎ
지골
LINK
#127418908
IP 223.♡.218.233
21-08-09 2021-08-09 07:34:45 / 수정일: 2021-08-09 07:38:15
·
통계는 다 나름의 기준과 의미를 가지고 있죠.
그걸 아전인수격으로 엄한 곳에 쓰니까 문제죠.

1. 서울 부동산은 정책의 효과로 매우 안정적이라 월 0.x 퍼센트 상승 이하이다.
2. 전세 갱신율은 70퍼정도니까 임대차 3법의 효과로 시장이 매우 안정되었다.
3. 매월 10만채 이상 전 정부 이상의 과할 정도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4. 전세계 상승률이 우리나라 5퍼센트보다 훨 높다. 한국처럼 강하고 효율적인 부동산 정책이 없었으면 우리도 저랬을거다.

1. 빌라 원룸 다 포함. 대책은 모두 아파트 중심
2. 계갱권 비율은 50퍼 전후, 그리고 신규 전세 상승률은 제외
3. 임대, 원룸, 다세대 전부 포함. 비교 대상은 1,2기 신도시 물량이라 다수가 아파트 분양물량이였는데..
4. 정책 옹호도 정말....하...이건 말을 아낄게요...
mericrius
LINK
#127418938
IP 121.♡.71.128
21-08-09 2021-08-09 07:38:09
·
@지골님 팩트폭행.... ㄷㄷ
삭제 되었습니다.
우물쭈물럭
LINK
#127425476
IP 121.♡.140.226
21-08-09 2021-08-09 11:43:36
·
@지골님 부동산에 관해선 현 정부의 진정성만(부동산을 안정화시키고자하는 마음) 인정합니다. 결과론으로 정책실패했고 이부분은 문통 뿐 아니라 민주당 대선주자+의원 대다수가 같은 의견이죠.
문정부 잘한거 많습니다.(외교 안보 국방 수출경제 등) 잘한건 잘했다하고.
부동산 같이 잘못한건 잘못했다고 말해야 참된 지지자 아닐까요...
Fly183
LINK
#127428082
IP 117.♡.28.71
21-08-09 2021-08-09 12:52:36
·
@우물쭈물럭님
공감합니다
국짐당은 갱생할 필요도 없는 쓰레기들이고
민주당이 잘해주면 정치 고민이 없겠습니다.

못한건 못하고 있다고 해주자구요
그래야 좋아지지 무적건 쉴드는 지금봐선 오히려독이 될것 같습니다

국짐당 보세요. 민주당이 욕먹는 페미, 부동산으로 물고 늘어지잖아요
지골
LINK
#127428576
IP 223.♡.218.233
21-08-09 2021-08-09 13:07:26 / 수정일: 2021-08-09 13:09:32
·
@우물쭈물럭님 그래서 제가 쟤네 표라도 주고, 짜증나서 천원으로 줄였지만... 권리당원으로 경선 때 누구누구 표라도 주고 있는거죠.
왜 쟤넨 정부나 여당이나 부동산에 대해서 저렇게 현실외면할까 답답할 뿐입니다. 경제에 무조건적으로... 정치논리를 씌우니...
튀김우동매냐
LINK
#127418958
IP 210.♡.102.83
21-08-09 2021-08-09 07:41:07
·
서울 경기 아파트는 최소 30% 오르지 않았나요? 월급쟁이는 저축해서 집사기 어려운...하 또 혈압오르네요.
블루텀
LINK
#127419359
IP 223.♡.163.7
21-08-09 2021-08-09 08:14:57
·
@튀김우동매냐님 최소 70프로는 올랐죠
골든슬램버
LINK
#127419037
IP 59.♡.80.170
21-08-09 2021-08-09 07:48:26
·
내마당 어셈블!
샤프슈터테리
LINK
#127419293
IP 106.♡.129.149
21-08-09 2021-08-09 08:10:49
·
고견 감사합니다.
댓글들이 다 통계에 대한 내용이라 주신 의견에 대한 얘기를 조금 해볼게요.

저도 경기도에서 서울 출퇴근하면서 전 직장에서는 풀재택근무를 했었는데요.
만약 재택근무를 확대한다면 직주근접이라는 큰 고리는 해체될 수 있다고 봅니다.
요즘처럼 워라밸을 중시하는 문화에서는 양양이나 강릉같은 곳에서 근무하면서 저녁엔 바다에서 아이들과 놀거나 서핑을 즐길 수도 있겠고요.
또, 육아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분들이나 지방에 거주하는 분들의 취업도 용이하게 되면서 인력난이나 구직난도 조금은 해소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마루탱
LINK
#127420634
IP 82.♡.121.228
21-08-09 2021-08-09 09:20:46
·
@샤프슈터테리님 저 역시 도시에 살다가 재택근무로 인해 최근 외곽으로 이사를 했는데
외국이라 렌트비에서 나가는 돈이 줄어드니 삶의 질이 많이 올라가는 느낌입니다.
출퇴근 러시아워에 낑겨서 아둥바둥 살고 싶은사람이 그렇게 많을까요? 다들 여건만 되면
외곽의 넓은 집에서 여유롭게 살고 싶은게 사람 마음이죠
얼마전 한국의 대기업 중 한곳도 서울 본사 근무지 외에 리모트 근무가 가능한
원격 근무 사무실을 거점별로 마련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런 변화가 한국의 가장 어려운 부동산 문제에도 조금씩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주지 않을까 싶네요
바앤홀
LINK
#127419334
IP 114.♡.4.170
21-08-09 2021-08-09 08:13:01
·
주택가격 통계보다는 아파트, 그것도 수도권 지역 통계가 국민정서에 더 맞긴 합니다ㅎ
몸튼튼맘튼튼
LINK
#127419492
IP 211.♡.69.188
21-08-09 2021-08-09 08:25:15
·
사람마다 모두 환경이 달라서 체감은 쉽지 않아 보이네요. 서울, 경기 현실은 최근 5년동안 2~3배 오른걸로 실거래 나오던데요.
피와바람
LINK
#127419564
IP 223.♡.22.117
21-08-09 2021-08-09 08:30:23 / 수정일: 2021-08-09 08:56:24
·
저 두 통계가 서로 상충하는거 맞나요?

기간이 다르면 비교하는 의미가 없는데, 기간이 다른 걸 넘어서 하나는 제대로 명시되어 있지도 않네요.

이런 식으로는 통계를 잘못 이해하고, 의견에 갖다 맞추는거죠. 물론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있다는 맥락 자체는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댓글보니 부동산 이야기만 보면 정부 깔려고 달려드는 분들이 몇 있는데, 이런 분들 이야기는 그냥 아몰랑 정부 잘못이죠.......

세계적인 부동산 상승은 정부 정책 방향을 뒷받침해주는 근거인데, 정부 정책의 일관성은 애써 무시하고 일부 실책만 들고 와서 난리난리......

그냥 까기 위한 의견이죠. 아마 이 분들은 정부가 뭘해도 깠을 겁니다.
마루탱
LINK
#127420519
IP 82.♡.121.228
21-08-09 2021-08-09 09:16:37
·
@피와바람님 둘다 맞는 통계이지만 관점에 따라 달리 봐야 한다는 이야기죠
두가지 통계를 봤을때 알수 있는 사실은
'한국'의 전체 부동산 값은 다른 국가에 비해 소폭올랐지만
'서울'의 부동산은 말 그대로 미친듯이 올랐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때문에 반대로 전체 부동산의 가격은 올랐지만 도심지의 부동산은 거의 제자리인
영국의 상황을 보았을때. 주요기업의 재택근무의 확대가 부동산 양극화 해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피와바람
LINK
#127420790
IP 223.♡.22.138
21-08-09 2021-08-09 09:26:11 / 수정일: 2021-08-09 10:05:05
·
@마루탱님
네, 그럴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만...

앞의 통계는 2015년 대비 xx년 전체 부동산, 뒤의 통계는 20년 대비 21년 서울 부동산 입니다.

말씀하신 의견의 근거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이 두 통계의 기간이 일치해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통계의 기간이 조금 차이도 아니고 많이 달라서 결과를 도출하기에 따로 노는 통계처럼 보입니다.

의견의 취지는 공감합니다.
Ktae
LINK
#127420609
IP 211.♡.91.50
21-08-09 2021-08-09 09:19:51 / 수정일: 2021-08-09 09:23:40
·
부동산 정책은 실패입니다.
대전도 서구, 유성구는 3배 동구도 2배는 올랐습니다.
얼마전에 대전 아파텔도 P천만원 이상 붙더군요.

운좋게 청약된 경기도 지인은 지금 10억짜리 아파트 보유자들 입니다.

아시죠? 시가대비 대출 나왔던거요.
자기돈 천만원 정도만 있어도 아파트 살수 있었습니다.

단순하게 따지면 10억의 60퍼면 6억 대출이 나오니깐요.
40퍼라고 해도 4억 나와서 분양가 그대로 나옵니다.
지금은 그걸 막았구요.

평범한 직장인들은 몇년전에 계획했던 집 못삽니다.
3억짜리가 5억이 넘어갑니다.

공무원끼리 결혼해서 특공 코스로 세종, 서울, 경기도에 청약 당첨된 부부들이 승리자 입니다.
프린스오마르
LINK
#127421020
IP 218.♡.213.170
21-08-09 2021-08-09 09:33:42
·
까방권 얻기 위해 입맛에 맞는 통계를 골라온 거죠.
달비얌
LINK
#127421399
IP 112.♡.107.39
21-08-09 2021-08-09 09:45:19
·
실패인데 자꾸 실패 아니라고 쉴드 치는거 보기 안 좋네요.
귀토레미
LINK
#127430125
IP 61.♡.183.22
21-08-09 2021-08-09 13:45:30
·
@달비얌님 원글에 그런 내용이 있었나요? 같은 글을 읽으신 건지 의아하네요.
drifter00
LINK
#127421458
IP 210.♡.22.72
21-08-09 2021-08-09 09:47:20 / 수정일: 2021-08-09 09:48:15
·
말씀하신데로 재택근무가 해답을 줄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기를 바라구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힘든 이유가 몇가지 있습니다.

1. 업무 성과에 대한 평가
보통 우리나라 기업들은 '얼굴'보고 일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심지어 재택근무에 가장 적합한 IT기업들도 그렇죠.
이는 모두 업무 성과 평가 방법이 객관적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얼굴'을 봐야 그 사람이 자리에 앉아 있는지(일을 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그걸로 업무 성과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그 사람이 만들어낸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는 기업은 흔치 않습니다.

2. 재택근무 환경
재택근무를 위해서는 적당한 PC가 집에 있어야 하고, 서재 같은 업무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중요한건 가족 구성원들의 이해입니다.
근무시간중에는 배우자와 자녀들의 간섭이 최소화 되어야 합니다.

3. 근로자 본인
사람이라면 집에 있다보면 늘어지게 마련입니다.
간식에 손이 자꾸 가기도 하고, 잠깐 거실에 나가서 넷플렉스 드라마라도 한편 보고 싶어집니다.
업무 시간이 나태해지기도 합니다. 낮에는 딴짓하다가 밤늦게 일하는게 반복되다보면 협업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죠.


매일마다 수백만명의 직장인들이 출퇴근에 2-3시간의 시간을 사용하고 있고
그 사람들을 실어 나르기 위해서 길에다가 기름을 흘리고 있죠. 기름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이것은 명백히 사회적 손실입니다.
우리 사회가 좀 더 발전적 방향으로 가기 위해선 공론화 되고, 논의하고, 방법을 찾아야 하는 일이죠.

그런데 놀랍게도 10년전 MB시절때 솔루션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696980

배드타운 곳곳에 스마트워크센터를 만들고, 그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자는 거였죠.
PC, 서재, 가족간의 동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긴 했습니다.
이것은 재택근무가 가능한 업종의 기업들에게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거라 봅니다.
배드타운에 비어 있는 사무실이 많은데, 그런곳을 저렴하게 계약해서 업무를 볼수 있도록 하는거죠.
이렇게 하면 지역경제(자영업자들)에도 도움이 될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안될거에요. '얼굴'보고 일해야 하거든요.
폴라티
LINK
#127421707
IP 183.♡.251.211
21-08-09 2021-08-09 09:54:51 / 수정일: 2021-08-09 11:01:21
·
@느려도좋아님 맞습니다. 얼굴 보고 일하는 데도, 사원대리들은 업무 시간에 이력서 업데이트 하고 있거든요. 그리고 남편이 24시간 집에 있으면 와이프가 불편해 해요.
spider
LINK
#127423327
IP 117.♡.32.112
21-08-09 2021-08-09 10:40:47
·
@느려도좋아님 맞아요. 우리나라는 1번의 이유만으로도 불가능할겁니다.
우아한호랑이
LINK
#127427279
IP 223.♡.21.158
21-08-09 2021-08-09 12:30:25
·
느려도좋아님// + 학군요. 자녀 있는 분들은 학군 땜에 서울 수도권에 어찌됐든 남으려고 할 거예요.
Summerset
LINK
#127421539
IP 118.♡.24.21
21-08-09 2021-08-09 09:50:28
·
저기 모든 국가의 가격 변화 집계방식이 모두 달라서 아무런 의미 없는 통계. 기준이 모두 다른 자료라 데이터를 저렇게 비교한다는거 자체가 노이즈이고 불순한 의도가 있을 수 있음. 아주 나쁜 자료.
그래나다어쩔래
LINK
#127421716
IP 118.♡.6.3
21-08-09 2021-08-09 09:55:02
·
재택근무의 영향으로 전세계 주요 기업들의 업계 지도도 바뀌고 있습니다. 당장 실리콘밸리에서도 이제 정상 출근하라고 발표한 회사들의 퇴사 러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즉 회사 가치 판단 중 하나가 재택근무 제공이냐 아니냐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겁니다.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모르지만 재택이 가능한 서울 외곽 중 인프라가 갖추어진 도시들의 가치가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 의견은 서울에 있는 회사 중 사람이 꼭 모여야하는 회사가 아니라면 재택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갖춘 기업도시를 건설하여 기업들 이주를 권장하고 재택근무 환경을 직원들에게 잘 제공하는 회사에 혜택을 주는 제도를 시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Vollago
생계형개발자
LINK
#127422409
IP 211.♡.156.126
21-08-09 2021-08-09 10:14:58
·
@그래나다어쩔래님 격하게 공감합니다. 재택에 최적화된 교통과 교육 인프라만 갖춰진다면 지방 도시들도 많은 기업들이 이전하여 세제 혜택도 누리고, 메리트가 많아질 것 같습니다. 제주도가 대표적이죠. 제주도는 재택이 가능한 기업들의 많은 직원분들이 이전하거나 장기간 거주 프로젝트로 살고 있습니다.
귀토레미
LINK
#127430154
IP 61.♡.183.22
21-08-09 2021-08-09 13:46:07
·
@그래나다어쩔래님 좋은 생각이네요.
카디건
LINK
#127421729
IP 175.♡.155.241
21-08-09 2021-08-09 09:55:20
·
맥락에 동의합니다. 지금 깔고 있는 온갖 서울로 가는 광역철도는 결국 서울 중심화를 심화시키고 서울 집값을 넘사벽으로 만들뿐이예요. 지나친 서울 중심화를 해결하는게 집값 잡을 최선의 수단입니다. 근데 이게 말처럼 쉽지 않겠죠...
Aspendos
LINK
#127421744
IP 1.♡.65.36
21-08-09 2021-08-09 09:55:44
·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을 확대 중
우리나라는 재택근무가 활성화되기 힘듭니다.
제조업 중심에 경직된 사회조직 문화가 자리하고있죠.
금융의 중심인 런던에서 일어날 법한 일을 대입하면 안 됩니다.
drifter00
LINK
#127422505
IP 210.♡.22.72
21-08-09 2021-08-09 10:18:03
·
@Aspendos님
제조업은 규제가 생기기 이전의 오래된 기업이 아니라면 어짜피 서울에 공장이 없습니다.
그리고 IT가 발달한 우리나라는 IT업종등 재택근무가 가능한 업종이 꽤 됩니다.
문제는 말씀하신데로 경직된 사회구조와 '얼굴'보고 일해야 한다는 인식이죠.
Aspendos
LINK
#127426026
IP 1.♡.65.36
21-08-09 2021-08-09 11:57:52
·
@느려도좋아님
이미 판교의 많은 회사들은 재택입니다. 여의도 금융업이 말씀하신 인식의 문제에 걸린 것으로 보이긴하네요.
drifter00
LINK
#127429675
IP 210.♡.22.72
21-08-09 2021-08-09 13:34:33
·
@Aspendos님
네, 판교의 많은 회사들이 재택을 하고는 있지만 아직은 코로나 상황에 따른 제한적 선택입니다.
코로나 상황이 해제되면 언제 그랬냐는듯이 출퇴근으로 바뀔겁니다. (이미 몇차례 그렇게 되었었죠)
판교의 많은 게임, IT회사들도 아직은 인식이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wheelnut
LINK
#127432877
IP 81.♡.209.166
21-08-09 2021-08-09 15:02:45
·
@Aspendos님 영국에서 제조+연구 업종에 일하고 있습니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아는 회사들은 가능한 인원이라면 회사에서도 최대한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저도 실험 없는날에는 재택합니다.
맛게
LINK
#127421832
IP 121.♡.84.110
21-08-09 2021-08-09 09:58:24 / 수정일: 2021-08-09 10:08:23
·
국민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적극적인 지방 지원, 분산 정책(=수도권 내려치기)을 할 수 있을까요?
해봤자 대충 깔짝깔짝 할지도요

이미 한국은 늦었고
통일, 전쟁, 재난 등 거대한 사건 아니면
변곡점이 생기기 불가능할 듯 합니다.
생계형개발자
LINK
#127422315
IP 211.♡.156.126
21-08-09 2021-08-09 10:12:22
·
@맛게님 판교나 세종만 하더라도, 특정 직업군의 대규모 이전이 인구 분산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 수 있죠. (판교는 수도권이긴 합니다만 덕분에 용인으로의 인구 이동이 매우 많아졌죠.) 그래서 행정 기구 이전을 시작으로 산업단지의 개편과 부지 이전이 중요합니다. 다만, 찔끔 찔끔 이동은 효과가 없고 파격적인 세제 혜택 등을 통해서 대규모 단지 이전이 필요할 것 같아요.
cornerback
LINK
#127422302
IP 110.♡.57.139
21-08-09 2021-08-09 10:12:07 / 수정일: 2021-08-09 10:14:11
·
"평균의 오류" 죠 매우 흔한.
소득 100만 100, 100, 100, 1억 다섯이면
평균소득이 2,100만이 되어버리는 것 처럼.
다수의 저소득을 가려버리는 현상...
신자유주의 시대 소득 양극화 심화가 평균치로는 잘 모르는 것처럼 부동산도 똑같죠
국가 전체 평균치로 따지면 너무 오류가 심해져요

2mb 시절 10년전 거주 집 가격이 6-7억대였는데
이게 지금 27억이더라구요

문제는, 저희 집이 8억까지 올랐던게 쥐박시절 6-7억으로 떨어졌었고
그 후 특정 기간동안 유달리 상승세가 매우 가파랐습니다
그러면 실수요자들에게 체감되는 상승폭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꽤나 심한 편인거죠
퓨리넬
LINK
#127422362
IP 106.♡.213.239
21-08-09 2021-08-09 10:13:45
·
살기 싫네요 진짜...
김꾸준
LINK
#127422583
IP 221.♡.185.240
21-08-09 2021-08-09 10:20:38
·
역시 클리앙은 재밌어
clibox
LINK
#127422951
IP 211.♡.163.50
21-08-09 2021-08-09 10:31:07
·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149

한국정부 부동산 통계가 현실과 괴리가 큰걸로(=정부 입맛대로 만드는걸로) 유명합니다
uncertainty
LINK
#127423213
IP 210.♡.41.89
21-08-09 2021-08-09 10:37:43
·
두통계 다 맞았는데 입맛대로 가져다 쓴거로군요.
님의 이야기는 결국
나라 전체로 보면 윗통계가
서울만 보면 아래통계가 맞다는 이야기를 길게 쓴걸로 보입니다.
uncertainty
LINK
#127423297
IP 210.♡.41.89
21-08-09 2021-08-09 10:40:00 / 수정일: 2021-08-09 10:40:14
·
참고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선호하는 주택 타입이 아파트라. 외곽이 인기 있는 조건이 되기 어렵죠. 테라스 하우스 같은게 폭발적으로 인기가 많아지지 않는이상
삭제 되었습니다.
Starless
LINK
#127423589
IP 121.♡.125.53
21-08-09 2021-08-09 10:49:00
·
코로나19로 인한 실제적인 영향과 돈이 부동산에 몰려 너도나도 뛰어든 차이로 보이네요.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3880
IP 14.♡.56.211
21-08-09 2021-08-09 10:58:06 / 수정일: 2021-08-09 11:17:02
·
@Starless님 아니요, 정부는 일관되게 LTV를 축소와 증세 정책으로 유동성은 차라리 잘 관리했죠, 단지 매매가는 2017~2019년(코로나 전부터) 올랐고, 와중에 안정된 전세도 2020년 7월 (임대차 3법 시행, 각종 실거주 요건 강화로 임차시장 축소책)으로 신규 전세 위주로 급등했죠. 이미 민주당 내에서도 인정한대로 유동성의 문제(대출총량 증가, 증세로 수익률 저하)는 상대적으로(?) 잘 관리했지만, 그 보다 수급 조절이 실패했죠.
uncertainty
LINK
#127424254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09:22
·
@전설의초파리님
아닙니다.
대출은 이미 매년 최대치를 갱신하고 지금이렇게까지 규제해도 갱신되고 있죠
대출의 증가가 유동성의 증가에요
유동성 관리 해도 이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만약 관리 안했으면 더 올랐을겁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4323
IP 14.♡.56.211
21-08-09 2021-08-09 11:11:19
·
@uncertainty님 아하… 둘다 실패했군요.
uncertainty
LINK
#127424419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13:54
·
@전설의초파리님
답을 단다는게 공감을 눌러버렸네요 ㅋ
결과론적으로 둘다 실패는 맞죠..
다만 하나 여쭤보면 국짐당 정책대로 대출 풀고 세금 줄이면 집값 떨어지는거 맞죠?
(전 갠적으로 정책은 유동성에 비해 하찮은 이유로 보고 있긴 합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4727
IP 14.♡.56.211
21-08-09 2021-08-09 11:23:23 / 수정일: 2021-08-09 11:25:15
·
@uncertainty님 공급은 사전에 많았다면 좋았을테고, 증여가 양도보다 세율 면에서 유리하게 짜놓으니, 다주택 이익실현 매물이 전방위로 시장에 나오는 걸 억지로 감소시킨 것 같네요. 대출을 늘릴수록 가격 하방경직에 도움이 되는데, 그게 6억이하 생애 첫주택같은 경우에 많이서 이런 주택은 오히려 더 안떨어지고 반대로 오르는거죠.
uncertainty
LINK
#127425001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31:24
·
@전설의초파리님
대출이 가격 하락에 도움을 준다라 ㅎㅎ
참고로 부동산은 수요공급이 지배하는 시장이 아닙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5291
IP 14.♡.56.211
21-08-09 2021-08-09 11:38:16 / 수정일: 2021-08-09 11:38:45
·
@uncertainty님 헐… 모든 가격 있는 물건이 수요공급에 의존하는 게 부정이 되시나봐요? 그리고 ㅎㅎ “하방경직”과 하락이 같은 뜻인 줄 아신건가요 ㅎㅎ
uncertainty
LINK
#127425464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43:20 / 수정일: 2021-08-09 11:48:42
·
@전설의초파리님
그게 엄청난 고정관념인데..
자신있으면 단기적인 이슈 말고
공급해서 가격 떨어진 지역 대봅시다.
(참고로 시기는 유동성 감소시와 겹칠수 있으니 시기 말고 장소로 답해봅시다. 부동산은 장소의 공급이기도 하니)


중학교수준의 수요공급내용을 단순 시장에 대입하니까 머릿속에서 껴 맞춰지게 되는거죠
uncertainty
LINK
#127425529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44:55
·
@전설의초파리님
제가 하방이란 정확한 의미가 애매해서 검색하고 댓글쓴겁니다. 댓글 수정하셨네요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5854
IP 14.♡.56.211
21-08-09 2021-08-09 11:53:36 / 수정일: 2021-08-09 11:56:12
·
@uncertainty님 예전 글의“”일단 저는 부동산 시장은 수요공급 원리보다는 유동성에의해서 좌우 되는시장이라 보고 있습니다. “ 쓰셨는데 궤변같았는데 다시 보니 유동성 자체가 수요(outcome) 요소인걸 분리해서 생각하셨나봅니다. 전형적인 confounding 오류인데 중학생 아닌 님 같은 분도 저지를 수 있는 오류지요. 하신 말씀들이 어떤 논리적 엉큄에 시작되었는지 이제 이해가 잘되네요. ㅎㅎ 그리고 하방경직과 하방은 반대 의미지요. 앞으로 용어의 조작정의와 관계를 살피시면 이해가 쉬워요ㅋ
uncertainty
LINK
#127426008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57:16
·
@전설의초파리님
이분 장난 아니네요. 본인이 하방 경직 이라 안쓰시고 하방이라 쓰셨죠 수정전이요.
딴말 마시고 떨어진 지역 대보라니까요.
uncertainty
LINK
#127426058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58:44
·
@전설의초파리님
하나더 물어봅니다. 유동성이 수요라니요 ㅋㅋㅋㅋ
기축국 유동성 푼게 집값의 수요랑 무슨상관이죠.?
거시 경제이야깁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6385
IP 14.♡.56.211
21-08-09 2021-08-09 12:06:54 / 수정일: 2021-08-09 12:11:09
·
@uncertainty님 헐 수정 전혀 안했는데요. 맞다쳐도 “문맥상” 하락에 도움이 되는데 주택가격이 오른다고 제가 쓸까요?! 본인이 뜻 모를 단어가 있으셨는지 모르겠는지만, 갑자기 남의 글이 수정 타령하시니 황당합니다 ㅎㅎㅎ 저는 가격 올라갈 가능성 언급했는데, 갑자기 웬 내려간 지역 내놓으라고 연거푸 말씀하시는지요?! 간만에 웃고 갑니다. ㅎㅎㅎ 노태우 100만 1기 신도시 공급 후, 잠실 아파트 가격 그냥 보세요.
uncertainty
LINK
#127426573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11:02 / 수정일: 2021-08-09 12:12:48
·
@전설의초파리님
헐.. 그래요 뭐 제가 잘못 봤다 칩시다(제가 이분이 하방경직을 쓴건가 재차 보고 검색을 했음을 알려드립니다) 빨리 대보세요 우리나라 공급해서 떨어진 지역이요
노태우 시기말고
uncertainty
LINK
#127426681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14:14
·
@전설의초파리님
참고로 100프로 노태우 이명박 시기로 대답하는건 잘알고 있어요. 장소의 공급이니 어떤 공급이 많은 장소는 님이 생각하는 수요 공급 법칙에 맞게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야죠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6726
IP 14.♡.56.211
21-08-09 2021-08-09 12:15:35
·
@uncertainty님 웃음 주셔서 감사한 마음으로 링크 드립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37671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6870
IP 14.♡.56.211
21-08-09 2021-08-09 12:19:13
·
@uncertainty님 근데 본인 주장의 반례만 왜 빼요?! 블랙 스완 나오면 명제가 깨져야지. 근거를 무시하나요?! 두번째 웃음 주시네요.
uncertainty
LINK
#127426875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19:26 / 수정일: 2021-08-09 12:20:07
·
@전설의초파리님
90년대 시기를 또 들고오시네 ㅠㅠ
조중동 기사까지 랑크하며 자꾸 돌리고 대답을 못하니 그럼 다른걸 묻죠

코스피는 왜 올랐죠?
혹시 코스피는 외부탓으로 올랐고
짒값은 정책 실패 탓으로 올라야만 하는 분인가요?

박스피 탈출한게 딱 두번 문재인 노무현시기였죠.
집값도 딱 그때 올랐고
uncertainty
LINK
#127426928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20:52
·
@전설의초파리님
님이 무슨 반례를 했나요?
제가 시기적으로 말하지 말라고 미리 단서를 달았는데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7716
IP 166.♡.98.118
21-08-09 2021-08-09 12:42:46 / 수정일: 2021-08-09 12:43:15
·
@uncertainty님 망치든 아이는 세상이 못으로 보인다고, 유동성을 하나를 가지고 수요-공급 뒤섞어서 사고가 좀 엉킨신거 같네요. 박혀버린 생각이 풀기 어려운 것도 이해합니다. "유동성" 때문에 주택전세/ 주식시장도 상방이 열린다고 하는것과 임대차 3법으로 임차 매물을 급감해서 전세가가 오른다는 게 다차원적인 세상에서는 양립가능한 주장이죠, 물론 세부 판단은 그 영향력의 크기를 개별 자산에 맞춰서 보면 되는거고요.
uncertainty
LINK
#127428104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53:12
·
@전설의초파리님
평가하려 마시고 질문의 답이나 해주세요.
전 수요공급이 이슈가 아니라고 했지 얽힌적이 없어요
전세레버리지는 다른축이니 확장하지 마시고
uncertainty
LINK
#127428263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58:10 / 수정일: 2021-08-09 12:59:36
·
@전설의초파리님
솔직히 님이 왜 요리조리 피하기만하고 답을 못말하는지 알려드릴께요.
제가 부동산 스터디에서 도 여러번 물어봤는데
이렇게 물으면 결국 답못하고 비방만하다가 대깨문 그러고 튀어버립니다.

신념이 머리를 지배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부동산 관계 된 논쟁하면 이분들은 자기가 머리가 상당히 좋은줄 알아요 경제에대해 1도 모르는 분들이...
신념이 넘 강해서 본인이 틀리면 수십년 유지한 가치관이 부정당하는거죠. 그래서 인정하고 싶지 않아하는거 정말 많이 봤습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8844
IP 166.♡.98.118
21-08-09 2021-08-09 13:14:18 / 수정일: 2021-08-09 13:19:34
·
@uncertainty님신념과 경제관에 대한 긴글을 주셨지만, 저도 솔직히 당최 여러번 제글을 오독을 하는 게 본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편이지, 아니면 본인의 뇌피셜 사로잡혀 계신지 구분하기가 어렵네요. 한가지 확실해 보이는 건, 님께서 얼마나 유동성에 얼마나 사로잡혀 계시냐면, 제가 "임대차 3법으로 임차 매물을 급감해서 전세가가 오른다" 즉 전세매물이 급감(수요-공급 축)으로 인한 가격 상방을 말씀드렸는데요. 여기서 갑자기 "전세레버리지는 다른축"이라고 또다시 엉뚱한 이야기/급발진하시네요. 제 이야기를 대출로 유동성 공급이 전세대출(레버리지)로 유인되서 전세가 상방에 영향으로 잘못 알아들으셨나요? 간만에 소통의 난이도가 높은 분을 뵙네요 ㅎㅎ
uncertainty
LINK
#127429156
IP 210.♡.41.89
21-08-09 2021-08-09 13:21:53 / 수정일: 2021-08-09 13:22:44
·
@전설의초파리님
전세 시장은 갭투기가 없는 다른 시장이라서요.
님은 됐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나 좀 하세요.

님의 답변 할 차례에서
전세 매물 급감등의 딴소리가 나올이유가 없거든요.
그냥 쉬운거에요 답전엔 그냥 무시하겠습니다.
전설의초파리
LINK
#127429387
IP 166.♡.98.118
21-08-09 2021-08-09 13:27:38
·
@uncertainty님 Procrustes's bed가 괜히 나온게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해처리22
LINK
#127424024
IP 211.♡.22.154
21-08-09 2021-08-09 11:02:13
·
걍 뭐 탓하지 말고 주변 부동산만 가도 체감상승률 느낄수 잇을텐데요
본인이 전세,월세 살면서 지금의 부동산 정책을 옹호한다면, 본인
지능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uncertainty
LINK
#127424345
IP 210.♡.41.89
21-08-09 2021-08-09 11:11:50 / 수정일: 2021-08-09 11:17:13
·
@해처리22님
님 머리에는 오른이유가 정책 실패라고 단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생각이 나오는거죠. 사실 모두들 정책 실패로 올랐다 라고 인과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것을 철저히 믿고 있죠. 그래서 이준구 교수가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를 구분할줄 알아야 한다고 쓴겁니다.
아마도 국짐당 마지막 동아줄이라. 프레임을 상당히 견고하게 짰다고 봅니다.
ananGa
LINK
#127426635
IP 58.♡.38.95
21-08-09 2021-08-09 12:12:50
·
@uncertainty님 한분은 팩트에 기반한 의견이고, 한분은 뇌피셜이네요. 제발 인터넷 세상에서 살지 마시고, 부동산에 한 번이라도 가보십시오.
uncertainty
LINK
#127427690
IP 106.♡.128.85
21-08-09 2021-08-09 12:42:07
·
@ananGa님 제가 부동산이 없을거 같나요? 정말 뇌피셜은 그거 아닌가요?
공모공모
LINK
#127427856
IP 218.♡.90.186
21-08-09 2021-08-09 12:45:54
·
@uncertainty님 아파트신가요, 빌라인가요, 혹은 단독이신가요?
uncertainty
LINK
#127427967
IP 210.♡.41.89
21-08-09 2021-08-09 12:49:18 / 수정일: 2021-08-09 13:03:52
·
@공모공모님
왜 궁금하신가요?
님들 뇌피셜까발리는거니 ..
ㅡㅡㅡㅡㅡㅡㅡ
답글에 지운다고 공지드린후 5분후 삭제 했습니다.
공모공모
LINK
#127428748
IP 218.♡.90.186
21-08-09 2021-08-09 13:11:59
·
@uncertainty님 아 못 봤네요 ㅠㅠ
uncertainty
LINK
#127428907
IP 210.♡.41.89
21-08-09 2021-08-09 13:15:50
·
@공모공모님
여튼 상위권에 속하면 속하지
그지는 아니니 남 부동산 궁금해하거나 걱정 마세요.
공모공모
LINK
#127429047
IP 218.♡.90.186
21-08-09 2021-08-09 13:19:27
·
@uncertainty님 부럽습니다^^ 우리 함께 세금 열심히 내요
uncertainty
LINK
#127429357
IP 210.♡.41.89
21-08-09 2021-08-09 13:26:54
·
@공모공모님
비꼴 정도로 여유가 있나봅니다.
클량에서 까지 부동산 문제가 이정도로 왜곡되었는데
이부분이 국짐당의 아킬레스 건이란걸 확실히 느낍니다. 국짐당은 부동산 이슈만 국민이 제대로 알게되도 지지율 20프로 미만으로 봅니다.
공모공모
LINK
#127429753
IP 223.♡.169.24
21-08-09 2021-08-09 13:36:16
·
@uncertainty님 아뇨 전 여유없어요. 일주택자인데 종부세가 진심 부담되는 금액이라서요.
uncertainty님이야말로 여유가 있으시니 현정부 부동산 정책에 자유로우셔서 옹호 가능하신 거라 생각됩니다.
uncertainty
LINK
#127430155
IP 210.♡.41.89
21-08-09 2021-08-09 13:46:07
·
@공모공모님
1주택자의 종부세 정책으로 정책탓을 했다면 이해가 되죠. 다만 윗글은 부동산 상승의 이유를 정책탓으로 일반화 시킨지라. 잘못되었다는거고요.

다소 님에게 말도 안되는 이야기로 들릴수 있을거라 예상하는데
종부세가 부담된다면 그리고 종부세가 합리적이라면(사실 종부세가 부적절한게 아니고 전 거래세를 줄이지 않는상황에서 보유세를 늘리는게 더 문제라 봅니다) 다른 곳으로 이사 가는게 맞습니다.

자본주의는 돈이 많은 사람이 좋은집을 가지는 제도거든요.
이 말은 논란의 여지가 분명 있습니다만) 돈있는 사람이 좋은곳에서 살아야 한다라는 기본 적인 개념에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모공모
LINK
#127430355
IP 223.♡.169.24
21-08-09 2021-08-09 13:51:20 / 수정일: 2021-08-09 13:51:37
·
@uncertainty님 네~이사가라는 말 할 줄 알았어요^^
당장은 양도세 땜에 어렵네요.
근데 이상하네요. 돈 많은 사람이 좋은집 가지라면서 수도권 신축아파트에 임대는 왜 박는건지..
어쨌든 여유있으시니 부럽습니다.
uncertainty
LINK
#127430540
IP 210.♡.41.89
21-08-09 2021-08-09 13:56:21 / 수정일: 2021-08-09 13:57:32
·
@공모공모님
그쵸 재건축 1대 1정도로만 허가되면 임대 없어도 됩니다. 자기집은 자기돈으로 새로 짓는게 상식이죠.
남의돈으로 자기짓 못짓게 한다. 남의돈으로 집 못사게 한다. 이런 도둑마인드의 불평이 안들렸으면 합니다.
축구좋아
LINK
#127424582
IP 45.♡.186.93
21-08-09 2021-08-09 11:18:58
·
예전에 다큐멘터리인지 영국 런던에서는 재건축 초과이익을 아예 못 가져 가는 걸로 소개했던 거 같은데 기억이 맞나 모르겠네요.
MarcoMillions
LINK
#127424724
IP 223.♡.18.213
21-08-09 2021-08-09 11:23:15 / 수정일: 2021-08-09 11:23:41
·
정말 훌륭한 구상입니다. 하지만 언급하신 재택근무는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이사할 이유는 될 수 있지만 그 이상은 어렵다고 봅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교외의 고밀화 경향을 볼 때 그 효용이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런던이나 미국 같은 스프롤은 보기 힘드니까요.
소풍이
LINK
#127425340
IP 211.♡.83.94
21-08-09 2021-08-09 11:39:30 / 수정일: 2021-08-09 11:39:56
·
19년 12월 말에 사려고 봐둔 아파트가 1억 5천이었는데 몇 달 전에 5억찍힌 거 보고 접었는데요
책상 앞에서 통계만 보면 답이 안나오고요
본인이 전세 값 올려줄 걱정을 해봤거나 매매하려고 부동산 관심 있게 봐왔으면 통계 너머로 보이는 게 있겠죠
라루조
LINK
#127425635
IP 122.♡.74.134
21-08-09 2021-08-09 11:48:02
·
맨 위 통계는, 정부가 그렇게 좋아하는 한국 감정원 통계인듯 하네요. 감정원 통계로 오면, 정부가 감정원 통계기준만 봐서서울 집값은 별로 안올랐다고 해서 엄청 욕먹던게 생각나네요
sjh3980
LINK
#127425683
IP 219.♡.67.41
21-08-09 2021-08-09 11:49:43
·
OECD 통계 비교가 의미가 없는수준이라...

실제 국가별로 OECD에 제출하는 집값 자료가 기준은 각기 다르다.
한국은 주택가격지수 산출을 위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제출하지만, 일부 국가는 실거래 통계를 제시하는가 하면 다른 일부 국가는 호가도 반영한다.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통계를 내는 국가도 있고 신축 주택만으로 통계를 만드는 곳도 있다.
littlefinger
LINK
#127425777
IP 106.♡.35.57
21-08-09 2021-08-09 11:52:02
·
그냥 기레기와 투기집단과 정치권이 한몸을 이루고 있는 이상, 일개 국민들은 휩쓸릴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 환경 현실태입니다.
정상회로
LINK
#127426116
IP 125.♡.3.190
21-08-09 2021-08-09 12:00:16
·
부동산 이슈는...... 결국 문통이 서민들 못 살게 뒤통수 씨게 친 결과를 부정할 수는 없는 것 같네요. 급등한 전세값에 울분 토하고... 닭근혜가 집사라고 할 때 문통 믿고 집 안사서 엄청난 격차를 겪고 우울증 걸린 분들도 있다죠.
삭제 되었습니다.
leanne
LINK
#127426455
IP 223.♡.73.37
21-08-09 2021-08-09 12:08:24
·
크게 두가지 착시(?)가 있어보입니다.
1. 통계의 착시
2. 기저효과의 착시

첫 번째는 글쓰신분이 잘 적어 주셨고,
두 번째는 런던 외곽의 집값과 서울 센터의 집 값의 차이죠.
예를들어....
런던 외곽에 기존 1억하던 집이 50% 올라 1.5억 된 것과
서울 센터의 10억 하던 집이 10% 올라 11억 된걸 비교하면..
50% vs 10%... 서울이 괜찮네 할 수 있지만...
실제 구매에 필요한 돈은 5천만원 va 1억원.....
서울이 두 배 더 많은 돈이 들죠.
기저효과에 대한 예시니.... 가격이 맞다 틀리다는 말씀은 말아주세요!
삭제 되었습니다.
danew
LINK
#127428110
IP 220.♡.189.193
21-08-09 2021-08-09 12:53:25
·
제목과 달리 통계 자체는 오류가 없어 보이는데요.
지방에는 거제, 마산 등 집값이 내려간 지역도 있기 때문에 전국 평균은 서울 (그것도 아파트) 평균과 다릅니다.
(이와 별개로 감정원이 표본집단을 바꿨다며 전년대비를 리셋하는 건 치팅에 가까워 보이지만 본문은 시계열 비교에 대한 내용이 아니니 관계 없겠지요)
깻잎소년
LINK
#127429270
IP 103.♡.13.11
21-08-09 2021-08-09 13:24:26 / 수정일: 2021-08-09 13:26:04
·
서울로의 양극화가 재택근무 탓이라구요???
집을 강제로 한채로 가지라고 하니 다 팔고 서울 한채로 오는거 안보이세요?

터키는 외환 방어 안되고 환율 불안한 나라니까 당연한 현상이죠.
오죽하면 화폐개혁한 나라인데... 터키 빼곤 서울이 1위네요.
이게 부동산 정책 탓이 아니면 뭐겠습니까?
귀토레미
LINK
#127431031
IP 61.♡.183.22
21-08-09 2021-08-09 14:11:28
·
@박총웨이님
터키가 환율 방어하려고 금리 대폭 인상한 것은 알고 계시죠? 인플레가 강하지만, 그만큼 기준금리도 올려놓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터키의 화폐개혁은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된 것으로 최근 주택가격과 연관짓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네요.

왜 자꾸 터키는 빼야한다고 말씀하시는지 이유를 알고 싶네요. 그냥 통계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시면 될 것을… 반드시 서울이 1등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너무 강하신 듯 합니다.
깻잎소년
LINK
#127432288
IP 103.♡.13.11
21-08-09 2021-08-09 14:46:31 / 수정일: 2021-08-09 15:37:03
·
터키에 현지 주재원으로 근무해 본 사람입니다.
터키는 정말이지... 그냥 농업국가로 보면 됩니다.

반드시 서울이 1등일 필요가 있나요?
그것도 부동산 급등 순위 1위가 뭐 대단한 자랑이라고?
마루탱
LINK
#127438091
IP 82.♡.121.228
21-08-09 2021-08-09 17:18:26
·
@박총웨이님 글을 잘못 읽으신 것 같은데...
재택근무를 확대하면 탈중앙화 효과가 있어서 서울의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고
부동산 양극화가 해소 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다들 다닐만한 회사가 서울 및 수도권에 있어서 현실적인 통근거리를 위해 역세권에 살기위해서
아둥바동하다보니 집값이 올라가는 상황이 크죠.
깻잎소년
LINK
#127445521
IP 116.♡.80.228
21-08-09 2021-08-09 21:46:30 / 수정일: 2021-08-09 21:49:29
·
재택근무를 하면 서울 부동산 가격이 내려간다구요???
참... 이분 순진하시네... 역세권은 언제나 비싼거구요.
한국에선 IT 회사 외는 재택근무 할일 별로 없어요.
마루탱
LINK
#127511295
IP 82.♡.121.228
21-08-11 2021-08-11 21:59:45
·
@박총웨이님 실제 영국이 재택근무 확대로 인해
중심지 집값이 내려갔습니다.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 전체 집값 상승률은
한국 보다 높지만 서울과 런던을 비교했을때는 서울의 상승률이 훨씬 높습니다.
현지에서 이런 부분을 체감하고 있기때문에 쓴 글입니다.
MDEASY
LINK
#127429552
IP 114.♡.26.165
21-08-09 2021-08-09 13:31:39
·
글 잘봤습니다. :-)
귀토레미
LINK
#127431046
IP 61.♡.183.22
21-08-09 2021-08-09 14:11:44
·
고견 잘 읽었습니다. 신선한 아이디어네요.
Bmvsaudi
LINK
#127505532
IP 39.♡.46.48
21-08-11 2021-08-11 18:13:27
·
5프로가 5억정도 되나봐요
제 주위는 5억정도 올랐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용규칙 운영알림판 운영소통 재검토요청 도움말 버그신고
고객지원
  • 게시물 삭제 요청
  • 쪽지 신고
  • 닉네임 신고
  • 제보 및 기타 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청소년 보호정책
©   •  CLIEN.NET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