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콕님 저런거 임대로 전환한 호텔들은 대체로 비지니스급이라 방음 정말 정말 취약합니다. 화장실 물소리도 들릴걸요.
BlueX
LINK
#119680319
IP 39.♡.53.94
20-11-20
2020-11-20 08:38:19
·
40대도 살게..아 곧 50대구나...
좋네요 청년들 설기에 딱..동년배들도 많을테고..재밌을듯
하하호호@@@
LINK
#119680323
IP 115.♡.224.111
20-11-20
2020-11-20 08:38:24
·
상업시설을 주택으로 개조할때 문제가 많습니다. 이번 정책 발표가 일반인들에게 더더욱 건축에 대한 안좋은 이미지를 줄 거 같아 우려스럽습니다. 저 공사할 때도 주방 후드 덕트하고 화장실 덕트를 바로 연결 시켜서 문제가 제기 되는데도 무시하고 진행한다 했는데 어떻게 해결했는지 모르겠네요. 이게 이렇게 포장되서 소개되니 참... 씁쓸합니다.
1000Clouds
LINK
#119681058
IP 115.♡.0.226
20-11-20
2020-11-20 09:03:47
·
건축에 대한 안좋은 이미지가 대체 어디서 생기나요. 반지하 쪽방 이런데 안살아보셨죠? 덕트가 뭐죠. 창문도 없는 공간에 가스레인지가 있고 덕트가 한군데도 없는 그런 집도 저것보다 비싼 월세 받는 곳 많습니다. 절대 포장되어 소개된 것ㅇ 이닙니다.
초식견
LINK
#119682442
IP 223.♡.29.230
20-11-20
2020-11-20 09:43:57
·
@하하호호@@@님 여행으로 암스테르담에서 선배 방에 몇일 묵은 적이 있었는데 오래된 병원을 개조한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화장실과 욕실은 공유하더군요. 대신 오래된 대리석 건물이 아주 멋있었습니다. ^__^
당연히 문제는 있지만, 주거 문제에 있어서 어떤 문제들은 어느 정도 안고 가야한다고 봅니다. 이러한 것들을 '안좋은 이미지'로 보기 시작하면, 사실 서울 시내에 문제가 없는 주거는 거의 없습니다. 대치동 학원시간에 길 막히는 것 보세요....
@제주의푸른밤님 영등포 쪽방촌 가보니 그 정몽주 의원이 고시원 보고 나오는 표정이 그대로 나오더군요.
고라니라니
LINK
#119680695
IP 106.♡.237.187
20-11-20
2020-11-20 08:51:50
·
처음 시행하는 정책이라 잡음이 많고 문제가 생길 여지가 많지만, 보완해서 수정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 실제로도 많이 수정되기도 했죠. 이런 정책 많이 생기는게 좋겠어요.
mamamamoo
LINK
#119680722
IP 211.♡.255.199
20-11-20
2020-11-20 08:52:48
·
호텔이라 위치가 괜찮을거 같은 생각이 드네요. 1인가구 젊은층이면 차 없어도 괜찮을거 같네요. 졸업후~결혼전까지ㅎ
답설야
LINK
#119680817
IP 221.♡.69.46
20-11-20
2020-11-20 08:55:19
·
서울 한복판에 2천4백에 40도 안된다니... 24형... 와아...
쪽방이 한 다섯개는 들어가겠네요 하나에
drzest
LINK
#119680970
IP 125.♡.120.89
20-11-20
2020-11-20 09:00:39
·
@답설야님 저 40만원이 전부가 아닙니다..^^
답설야
LINK
#119681189
IP 221.♡.69.46
20-11-20
2020-11-20 09:07:56
·
@drzest님 옵션질이라고 좀 자극적으로 표현했는데 크게 문제 있는 옵션질은 아닌걸로 보입니다. 관리비는 원래 감안해야 하고 수도/전기/가스 요금은 내야하는거고, 식비는 안먹고 안내면 그만이니 말입니다. 다른 원룸에 비하면 비싸보이지만 오피스텔에 비하면 비싼거 아닙니다.
region
LINK
#119680838
IP 211.♡.133.140
20-11-20
2020-11-20 08:56:11
·
서울에 저정도에 저 가격에 헬스장무료면 엄청나게 훌륭하죠. 관리비가 어떨런지는 모르겠네요.
진우원
LINK
#119680853
IP 122.♡.242.238
20-11-20
2020-11-20 08:56:48
·
처음취직했던 10년전에 처음 올라왔서 살던 곳이 2평 남짓한 화장실까지 있던 고시텔로 한달에 38만원이였는데... 도대체 저게 쪽방촌이면.. 제가 살던 곳은 뭐라고 불러야했을까요...
@엔알이일년만님 사실상 나이 많은 싱글들은 지원 받을 수 있는게 거의 없죠.. 저도 그렇고 아마 클량 상당수 분들이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뭐 전 큰 불만은 없어요.. 아무래도 20대, 30대들 보다는 상황이 나으니까요.. 뭐.. 좀 더 있으면 회사 짤리고 어찌될지 모르지만.. -_-;;
여기네요.. 동묘역, 신설동역 중간에 있어요.. 종로구 서울시내 한복판에 이런 집이라... 좋네요 ㅎㅎ
유주애비
LINK
#119681974
IP 112.♡.71.100
20-11-20
2020-11-20 09:29:41
·
그냥 갑자기 뜬금없이 궁금한데...이사는 어케 해요? 사다리차는 안될꺼 같은데..엘베랑 방도 거리가 꽤 있을테고.. 1인가구라 짐이 거의 없나...
써카펀치
LINK
#119683013
IP 210.♡.41.89
20-11-20
2020-11-20 09:58:28
·
@유주애비님 초년생들 이케아에서 사서 꾸미기 좋을거같네요
내삶의비타민
LINK
#119682066
IP 175.♡.12.151
20-11-20
2020-11-20 09:32:34
·
사회 첫 시작을 고시원에서 시작한 친구가 있어요. 그때 같이 고시원 방 보러 다니며 많은 걸 느꼈었네요. 1인 가구에겐 괜찮은 선택지 아닐까요. 원룸 오피스텔도 월세가 워낙 비싸니..
Phoenixsunz
LINK
#119682108
IP 110.♡.55.10
20-11-20
2020-11-20 09:33:37
·
1인 가구는 당장 머물기는 괜찮겠네요. 문제는 자녀있거나 부모님 모시고 사는 사람들은 좀 힘든거
KeiGun
LINK
#119682258
IP 168.♡.154.14
20-11-20
2020-11-20 09:38:04
·
@피닉스선즈님 자녀는 몰라도.. 부모님은 불가능한거 같아요.. '역세권 청년주택' 자격조건에 대해서 찾아봤는데 대학생, 사회 초년생, 신혼부부 기준이고 6년간 거주할 수 있어요. 신혼 부부 경우 아이 1,2명 있으면 거주 기간이 8년, 10년으로 늘어나긴 한데.. 옛날에 저 어릴때는 그렇게 살았는데 지금도.. 역시나 돈 없는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야만 하겠죠? 살고 싶어서 사는건 아닐거 같아요. 아이까지 딸린 부부들은..
LINK
#119682125
IP 211.♡.11.17
20-11-20
2020-11-20 09:34:18
·
방 자체는 괜찮아보이지만... 광각질이 너무 심하네요. 실제 넓이는 대학가 원룸 크기보다 좀 큰 수준일것 같은데
나르크
LINK
#119683358
IP 122.♡.148.105
20-11-20
2020-11-20 10:06:15
·
@님 저게 넓어보이게 하려는 것도 있지만 광각이 아니면 방구조를 한눈에 보이게 찍을수가 없어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에버후리
LINK
#119682136
IP 115.♡.154.246
20-11-20
2020-11-20 09:34:35
·
몇년 전 고시원에 잠깐 있을 때 20만원 정도 준거 같은데 ㅠㅠ 공용 화장실 샤워실 라꾸라꾸 침대에 CRT TV 있던 레알 고시원
WASUP
LINK
#119682329
IP 39.♡.48.66
20-11-20
2020-11-20 09:40:16
·
위치가 어디느냐에 따라 판단이 갈리겠네요
제이디피
LINK
#119682373
IP 223.♡.53.76
20-11-20
2020-11-20 09:41:49
·
엄청 저렴하네요. 제가 서울 대학로에 12년전 자취할때 시세가 저정도 됐던거 같아요. 저거보다 더 좁았는데
삭제 되었습니다.
레이어마스크
LINK
#119682561
IP 61.♡.140.111
20-11-20
2020-11-20 09:46:59
·
근데 잠깐 지내기에 괜찮지만 거주하기엔 불편한 구조같은데요.. 그냥 고오급 고시원 이런 느낌
청년주택 중에 저런 호텔이나 모텔 개조시설 같은 것들이 있는데 입주자들이 많이들 입주 포기했던 이유가 저기 들어가 있는 침대, 세탁기, 냉장고, 책상, 의자 등에 대해 별도로 임대료를 받았기 때문이죠. 풀옵션이 임대료가 더 비싼 건 어찌보면 당연하긴 하지만 당시 금액이 상당했던 점, 선택이 불가능했던 점, 사전에 설명이 없었던 점 때문에 대부분이 입주를 포기했었습니다. 저건 어떨지 모르겠네요.
거주자입니다. SH 청년주택 외에도 민간부분으로 몇십채 매물 나왔었습니다. 전세, 반전세 가능하며 보증금 높일 경우 SH로 들어가는것보다 저렴합니다. 비즈니스호텔이라 방음 잘 안됩니다. 오늘도 윗집 발망치소리, 문여닫는 소리에 새벽 4시까지 잠을 못잤어요. 정의당에서 뭐라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보증금 1억 이내 서울 역세권에서 이 금액에 여기보다 괜찮은곳 없을거에요. 단점이라면 층간소음, 1년마다 재계약이 있네요.
1인가구가 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지금 전세가격이 올라가는 사회 구성원은 1인가구가 아닐텐데요.. 그리고 저 호텔 개조한 곳은 옵션장난질로 방송에서 욕먹은 곳입니다. 관리비 + 다양한 옵션 등등해서 실제 저 월세만큼 돈이 더 나온다고.... 그리고 1인가구를 위해서 저런 것을 많이 만든다고 하더라도... 1인가구는 사실 오래 지속되는 형태가 아니죠. 결국 결혼을 해서 가정을 꾸리게 되면 저런 주거 형태는 벗어나게 될텐데...
청년들을 위해서 복지 차원에서 하는 건 좋지만 지금 문제라고 인식되는 3-4인 가구의 전세 매물 부족에 대해서 해결할 방안이 아닌 거죠...
저 호텔 개조 주거 형태가 살만하다? 이게 지금 문제의 본질인가요? 전세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그걸 1인가구의 증가가 원인이라고 생각해서 저런 걸 공급한다? 그것도 세금을 들여서?
3-4인 가구를 위한 공공임대를 내놓는다고 하던데... 지금도 빈 공실인 곳을 소득 제한 없이 임대하겠다지요? 위치가 어디일지, 어떤 집인지... 지금도 공실이면 거기 들어가려고 할까요? 전세집을 구하는 다양한 요인중에 하나가 아이 학군 / 직장까지의 출퇴근 거리 / 생활 편의성 이런 거일텐데, 지금도 공실이면 이런 부분에서 뒤쳐지는 집일 가능성이 크죠. 지금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전세집의 가격이 올라가서 문제인거지 경기도 외곽의 교통 불편한 곳에 공공임대 공급한다고 한들 얼마나 갈까요....
삭제 되었습니다.
우구가가
LINK
#119687060
IP 223.♡.29.11
20-11-20
2020-11-20 11:38:51
·
지금 인구수 역대급 이상으로 떨어지는데... 1인 공급이요?.... 이러다 나라가 망하는게 아니라 소멸됩니다
@우구가가님 ㅣ이미 외국인으로 채울려고 준비중이예요..주민번호 다루는 직업군들은 아마 아시겠지만 외국인 엄청 많아요. 특히 조선족 중국인 . 대책 안세우면 저들이 애 낳으면서 친중국성향의 사람들이 대량 생산되겠죠 . 그리거 갸들이 투표둰을 행사하고 친중국성향 정치인이 들어슬겁니다. 화교들이 나라 장악하는 그 루트를 밟는거죠
사고가 70 80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죠.
대학가 원룸 빌라촌을 가면 저것보다 훨 비싼데 ㅎㅎㅎㅎ
캬 그러고 보니 호텔엔 욕조가 있군요 부럽
아니면 보증금이 쎄거나
1년지나서 근처 오피스텔로 다시 알아보니 5~6평대도 50만원에서 시작하더라고요.
결국 인근 오래된 빌라로 이사했네요
이거 애당초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역세권 청년 주택이에요.. ^^;;
다른 지역에는 있나 모르겠네요.. '-'
그런데도 방 비면 금세 나가요....게다가 관리비는 7만원 따로...주차비 전기 수도요금 따로 공용수도비 따로
추가비용 내면 조식도 나올 느낌
오피스텔 경우 평당 5~7천원 나오더라고요. 주차장 없으니 싸겠쥬?
고시원 구경도 안 해 봤을 듯..
관리비월세비싸서포기들많이했다는
기사본적있는데..
그 사람들 쪽방이 뭔지 알기나 하나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5604751CLIEN
저런거 임대로 전환한 호텔들은 대체로 비지니스급이라 방음 정말 정말 취약합니다.
화장실 물소리도 들릴걸요.
좋네요 청년들 설기에 딱..동년배들도 많을테고..재밌을듯
여행으로 암스테르담에서 선배 방에 몇일 묵은 적이 있었는데 오래된 병원을 개조한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화장실과 욕실은 공유하더군요.
대신 오래된 대리석 건물이 아주 멋있었습니다. ^__^
당연히 문제는 있지만, 주거 문제에 있어서 어떤 문제들은 어느 정도 안고 가야한다고 봅니다.
이러한 것들을 '안좋은 이미지'로 보기 시작하면, 사실 서울 시내에 문제가 없는 주거는 거의 없습니다.
대치동 학원시간에 길 막히는 것 보세요....
이 정책의 본질적 정의는 아름답게 표현하자면, 부실화된 호텔, 사업용 부동산 자산의 정부 매입이라고 표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부분 때문에 안좋게 생각합니다.
숭인동 청년주택
검색해보니 재밌는 기사가 있네요.
http://news.bizwatch.co.kr/article/real_estate/2020/04/06/0017
업체는 옵션으로 돈 뽑으려다가 실패한 느낌...
너무 유명한데요... 뉴스에도 여러가지 의미로 탔었죠.
저같으면 옵션 실행시키겠어요.
관리비 10만원 (경비, 시설 등, 아파트처럼 1/N)
청소비 6만원 (카펫,침구류)
침대, TV렌탈 1.5만원
인터넷, TV 1.2만원
헬스장 0.3만원
식대 20만원 ( 조식 4천원 석식 5천원 월 40회)
저 옵션이 말이 옵션이고 필수라고 해서 많이 욕먹었을거에요
월세 30 + 39 면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절대적인 월세가 높아진 느낌이 드니까요
지금 전세난에는 큰 도움이 안되는;
1인가구 비율이 30.2% / 614만 가구입니다. 생각보다 많아요.
이런 정책 많이 생기는게 좋겠어요.
24형... 와아...
쪽방이 한 다섯개는 들어가겠네요 하나에
옵션질이라고 좀 자극적으로 표현했는데 크게 문제 있는 옵션질은 아닌걸로 보입니다.
관리비는 원래 감안해야 하고 수도/전기/가스 요금은 내야하는거고, 식비는 안먹고 안내면 그만이니 말입니다.
다른 원룸에 비하면 비싸보이지만 오피스텔에 비하면 비싼거 아닙니다.
관리비가 어떨런지는 모르겠네요.
보증금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있네요.
40대가 좀 안타까워요..
청년 뭐다해서 많은 혜택들이 있지만
40대는 나이제한으로 못 받는 경우가 많죠...
사실상 나이 많은 싱글들은 지원 받을 수 있는게 거의 없죠.. 저도 그렇고 아마 클량 상당수 분들이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뭐 전 큰 불만은 없어요.. 아무래도 20대, 30대들 보다는 상황이 나으니까요..
뭐.. 좀 더 있으면 회사 짤리고 어찌될지 모르지만.. -_-;;
검색해 보니 여기네요..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417475
청년 주택인데.. 호텔을 개조해서 호텔 서비스로 돈 뽑아 먹으려다 입주포기 속출하자 다 빼겠다.. 라고 했는데..
결과가 어떻게 됐는지는 못 본거 같아요..
청년주택이 다 이런 방식인지는 모르겠는데.. 민간업자를 끼고 하다보니 형태도 다양하고,
본문처럼 상당히 괜찮은 곳이 있는 방면.. 어이없는 곳도 있고..
복불복이 좀 있는거 같네요..
혹시나 국가에서 지원받고 하는 거라면 제대로 관리 좀 했으면 좋겠는데....
방송에 나갔으니 피드백 받고 고친거지.. 안 나간 곳은 이렇게 장사하려는 곳 더 있지 않을까... 싶네요.
이런 걸 시행했다 몇호 공급했다 숫자 놀음 같은것만 하지 말고 관리까지 잘해주면 좋겠다 싶어요...
10년도 전에 5평짜리 원룸이 월 30이었는데.
다만 1ㅡ2인가구한정이 될거같네요
애딸리면 대략 난감할듯
월세 40만원 창문X 화장실X..
좋네요. 맞춰 가는 거니까요.
https://younghome.modoo.at/?link=34sq7gk4
여기네요.. 동묘역, 신설동역 중간에 있어요.. 종로구 서울시내 한복판에 이런 집이라... 좋네요 ㅎㅎ
1인가구라 짐이 거의 없나...
1인 가구에겐 괜찮은 선택지 아닐까요.
원룸 오피스텔도 월세가 워낙 비싸니..
자녀는 몰라도.. 부모님은 불가능한거 같아요.. '역세권 청년주택' 자격조건에 대해서 찾아봤는데 대학생, 사회 초년생, 신혼부부 기준이고 6년간 거주할 수 있어요. 신혼 부부 경우 아이 1,2명 있으면 거주 기간이 8년, 10년으로 늘어나긴 한데.. 옛날에 저 어릴때는 그렇게 살았는데 지금도.. 역시나 돈 없는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야만 하겠죠? 살고 싶어서 사는건 아닐거 같아요. 아이까지 딸린 부부들은..
공용 화장실 샤워실 라꾸라꾸 침대에 CRT TV 있던 레알 고시원
그냥 고오급 고시원 이런 느낌
시설만 좋지 생활형태는 결국 고시원같은 형태일것이다
라는 의견입니다.
애초에 주거형태로 나온 건물이 아니잖아요?
거기서 오는 한계가 있는거죠
그런 형태로 생활하시는 분들에겐 좋겠지만
1인가구 주거지원으로는 살짝 부족한감이 있습니다
(찾아보니 애초에 청년주거지원보다는 고시원,오피스텔 생활하시는 분들이 타겟인거같네요)
호텔이네 호텔이에요.~~
생각보다 좋네요:)
실제보다 크게 찍으려고 애쓴듯
저거보고 이러쿵저러쿵 할 필요가 없을 듯 하네요.
사회초년생들. 또는 지방에서 단신으로 서울 올라오는 분들에게는 최적이네요.
열악한 고시원보다 훌륭하고...(채광되지... 시설 이용가능하지...)
저거보고 뭐라 하는 건 이해안가는군요.
https://news.joins.com/article/23924805
김현미 "호텔 전셋방 전체물량 중 3% 뿐…반응 좋은 사업"
[출처: 중앙일보] 김현미 "호텔 전셋방 전체물량 중 3% 뿐…반응 좋은 사업"
교통이 강남가는게 약간 불편한데 종로나 광화문은 버스로 10분컷입니다. 버스 정말 많아요. 중앙차선에..
근데 주위가 좀 어수선해요. 앞쪽은 모텔들이 쫙 늘어서 있고 뒷쪽으로는 풍물시장이라서 어르신들 엄청 다니심.
풀옵션이 임대료가 더 비싼 건 어찌보면 당연하긴 하지만 당시 금액이 상당했던 점, 선택이 불가능했던 점, 사전에 설명이 없었던 점 때문에 대부분이 입주를 포기했었습니다.
저건 어떨지 모르겠네요.
비지니스 호텔에 있는 욕조는 풀사이즈 욕조가 아닌 작은 사이즈의 욕조이긴 합니다.
일반 욕조회사에서는 만들지도 않아요. 좁은 화장실에 설치할 수 없을까 알아봤는데 안 팔더군요.
저 가격이면 정말 좋은게 아닌가 싶네요
https://news.joins.com/article/21922185
1인가구로 살거라면 좋아보이네요.
원룸촌이 보증금은 몰라도 월세가 저거보다 비쌀겁니다.
원룸촌 사업자들이 정의당이었나요?
그리고 저 호텔 개조한 곳은 옵션장난질로 방송에서 욕먹은 곳입니다.
관리비 + 다양한 옵션 등등해서 실제 저 월세만큼 돈이 더 나온다고....
그리고 1인가구를 위해서 저런 것을 많이 만든다고 하더라도... 1인가구는 사실 오래 지속되는 형태가 아니죠. 결국 결혼을 해서 가정을 꾸리게 되면 저런 주거 형태는 벗어나게 될텐데...
청년들을 위해서 복지 차원에서 하는 건 좋지만 지금 문제라고 인식되는 3-4인 가구의 전세 매물 부족에 대해서 해결할 방안이 아닌 거죠...
저 호텔 개조 주거 형태가 살만하다? 이게 지금 문제의 본질인가요? 전세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그걸 1인가구의 증가가 원인이라고 생각해서 저런 걸 공급한다? 그것도 세금을 들여서?
3-4인 가구를 위한 공공임대를 내놓는다고 하던데... 지금도 빈 공실인 곳을 소득 제한 없이 임대하겠다지요? 위치가 어디일지, 어떤 집인지... 지금도 공실이면 거기 들어가려고 할까요? 전세집을 구하는 다양한 요인중에 하나가 아이 학군 / 직장까지의 출퇴근 거리 / 생활 편의성 이런 거일텐데, 지금도 공실이면 이런 부분에서 뒤쳐지는 집일 가능성이 크죠.
지금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전세집의 가격이 올라가서 문제인거지 경기도 외곽의 교통 불편한 곳에 공공임대 공급한다고 한들 얼마나 갈까요....
. 대책 안세우면 저들이 애 낳으면서 친중국성향의 사람들이 대량 생산되겠죠 .
그리거 갸들이 투표둰을 행사하고 친중국성향 정치인이 들어슬겁니다. 화교들이 나라 장악하는 그 루트를 밟는거죠
저긴 아니겠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814663
관리비가 많이 비싸다고
그걸 알려주셔야
청년주택 누가 반대하는 사람 있나요?
도대체 왜 핀트를 못 잡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나는 판자 에 살고 있나 보군요
근데 지금 실질적으로 문제되는 2~3인 가구인데
2~3인 가구용은 절대 아니라고봅니다;;
빌트인가구도 없이 저정도면 엄청 좁아요
평수표시 저래도 전용률 40도 안될겁니다.
기존 개조임대주택도 인기없는 이유가 있죠.
그리고 지금 부족한건 저런집이 아닌데 뭐하는건지 참..
쪽방 안살아 봤나 ...
저도 2천이 없어서 고시원 살았습니다만 ㅎㅎ
월세는 30만 원대인데, 가구 대여료와 청소비, 식사비 등에 관리비와 보증금 이자까지 더하면 월 부담액은 70~80만 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원래 저정도 하나요? 한 500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