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한글 문서'를 별도 프로그램없이 바로 볼 수 있게 됐다.
네이버는 소프트웨어 업체 '한글과컴퓨터'와 손잡고 웨일 브라우저에 '한글 뷰어'를 기본 탑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확장자가 'hwp'로 끝나는 한글 문서 파일은 웨일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뷰어 프로그램없이 확인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학교와 정부기관 등 한글문서의 사용이 많은 단체에서 웨일 브라우저와 한글 뷰어의 사용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다.
(생략)
docx는 doc 대체하려고 처음부터 공개 규격으로 설계된 정식 ISO 표준입니다. 그래서 워드 말고도 수많은 프로그램 (심지어 구글드라이드 조차도요) 이 docx를 최소한 읽기는 지원하는거고요.
당장 한컴에서도 한워드가 있는데 특정 회사 제품의 독자규격은 아니죠 ㅎ
제대로 안 푸는 이유가 그겁니다.
물론 편집기의 능력은 HWP가 압도적이지만요..
편의성이 워드보다 휠씬 떨어져서....
잘 안쓰네요 ㅠㅠ
프로그램 자체의 UI 나 반응 속도 등등을 말했어요 ㅠㅠㅠㅠ
한글은 협업도 안되고...
워드처럼 부드러운 느낌이 없어서 아쉽네요
2018 사용중이라 2020은 개선됬는지는 잘 모르겟어요 헤헤
MS워드 쓰면 뭔가 생각대로 안 만들어져서...
가끔 문서 작업 하는 실무형 개발자 입장에서 문서 들여쓰기 맞출때 화딱지 납니다. ㅠㅠ
(아니에염....한글 기능이좋아서 그런게 아니라yuno님이 능력자라서 그런거에염...)
진짜 ms에서 워드는 거의 꽁짜로뿌려도 한글을 쓸정도니까요.
출력물로 처리되는 문서는 한글을 워드가 못따라옵니다.
화면에띄우는 문서는 파워포인트가 갑인이유랑 비슷해요
(워드로 문서만들면 절대 이쁘게만들수가 없어요.)
전세규 작성해보신분은 공감하실겁니다..ㅋㅋㅋ
맥용 한글 써봤습니다.
아이패드용 한글도 써봤습니다. ㅠㅠ
기업입장에서는 괜찮은것 같습니다. 기존 한글 뷰어가 기업에서는 자유롭게 쓸 수가 없어서 단순 hwp 문서 내용 확인이나 출력만 필요한 기업에서도 정품을 샀어야 했거든요. (서면?으로 승인을 받으면 된다는데 기업 입장에서는 정품 1카피 사는게 훨씬 덜 번거롭습니다.)
설마 프린팅 기능 이런거 다 막지는 않을거라고 믿습니다.
워드프로세서 그 자체로 봤을 때는 MS word 보다 나은게 많지 않나요?
워드 줄 안맞는 문제는 도대체 해결이 안됩니다.
특히 뭔가 추가해야 한다던가 할때 되면 아오...
그래서 저는 아직 한글을 깔아서 씁니다.
왜 가 따구인지 진짜 ㅠㅠ
퍼블리셔가 더 나은 듯 ㅠㅠ
워드랑 파워포인트랑 안쓰면 답이없어요..
그냥 한글로 만든 각잡은문서 워드로쓰려다 그냥 한글결재한 1인입니다..
그럼 위 의견에 동의 못하면 비정상이라는 건가요? 왜 @CameraManager님 이 정상이다 비정상이다 를 나누시는지 모르겠네요.
PDF form으로 바꾸는 것은 동의합니다만,
우리나라의 서식이 그렇게까지 독특한 것이 아닙니다.
실례로 PDF form 쓰는 것 자체가 거진 테이블 위주로 되어 있습니다.
편집기능 자체는 워드보다는 한글이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HWP 포맷 공개가 보다 올바르게 되어서 국제 표준으로까지 인정받았으면 하기도 한데, 한컴은 뭐 그리 바보같은 짓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PDF 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은 결국 한글이나 워드나 기타 프로그램들 이죠.
jpg나 psd 파일이 존재하는 목적 자체가 다른데 무슨 비교를 하고 계신지 모르겠네요.
PDF폼이라고 PDF에 있는 내부 기능이 있습니다. PDF는 파일 특성상 일부 유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한 수정이 불가능 하지만 PDF from을 이용하면 이러한 단점을 보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DF form을 이용하면 현행에서 PDF로 배포하는 양식 파일의 단점을 대처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한글 워드로는 이게 생성이 되지 않으며, 어크로뱃 같은 PDF 수정 프로그램을 써야합니다.
문제는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공문서서식은 한글 표 로 만들어놔서 pdf로 배포해도 소용없는경우가많아요..사람들이 빡치는이유가 이거죠.
열람용이 아닌 작성용문서가;;;;
일단 공문서서식은 무조건 표로되있어서 워드로 만들면답이안나와요. 그렇다고 공문서서식을 엑셀로 만들어배포할수도 업고.
엑셀을 워드처럼사용하는 사람이 많은이유가
여기에 있죠.;;;;
그냥 워드로 작성하면몰라도요.
문제는 일반민원인들은 출력후 종이제출을하고
공무원이 감독권한있는 그런종류는 담당부서에서 그런수고를 안할려고한다는거죠.
(공무원들이 나쁘다기보다는 보통 그런민원인들은 그런의견제시안하죠.)
관공서랑일해보시면 저런게 될수없는 이유를 알게되죠..일반민원은 워드랑 한글이랑 pdf 동시제공되는거 많아요..
그래서 그걸할바에는 일반민원은 한글 워드 일반pdf 로제공되죠.(아크로벳이 공짜가아니니까요..최소한 워드랑 한글은 공무원컴 기본설치프로그램이지만 아크로벳은 별도구매죠..)
문제는 한글로만 서식이지원되는 서식은 워드나 pdf로 작성해서 보내면 100% 담당자에게 연락옵니다. 문제는 이런거 받는담당자가 한글아니면 처리못하는경우가 정말 많아요.
문서보안이 중요한 문서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어요! 최신 문서도 잘 열린다고 합니다.
복잡한 서식은 보통 깨지는 경우가 많던데요
어릴적 배웠던 F5~F8 단축키가 있는 한글이 유독 표를 만들 때 그립더군요...
Word의 표기능은 진짜 HWP에 비하면 쓰레기죠. Dos용 하나한글이 표 그리기는 더 편했...
없어지면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MS 오피스 가격이 크게 올라갑니다.
ㅋㅋㅋㅋㅋ 고통은 알지만,
그래도 사라지라고 하는 건 ㅋㅋㅋㅋㅋ~
표, 그림 설정이 너무 불편해요.
뭐.. 애니메이션이 부드러운건 좋더군요.
워드는 솔직히 학습곡선도 문제고
편집 기능도 해괴해요..
마소 오피스와 구글꺼 병행해서 사용중인데 전혀 불편함이 없네요
hwp 혼자 강제종료되면서 날라가고 갑자기 혼자 파일 손상되면서 못열어보는경우를 군대에서 너무 많이 겪었어요...
행정병 전역하고 10년넘게 한글 안쓰다가 얼마전 일이 있어서 한글문서 편집하는데
몇번 하다보니 까먹었던 단축키도 다 떠오르고 뭔가 후련한 기분이 들더군요
그래봤자 해외로 보내는 문서엔 못 쓰고 뭣보다 엑셀, 파워포인트 때문에 MS오피스는 다 사잖아요.
한글 때문에 MS오피스보다 더 비싼 돈 주고 한글오피스 추가 구입하기 꺼려지죠.
한글 망하게 하려고 MS워드만 몇천원에 팔던 시절도 있었죠.
글자(한글)은 국산인데 그 글자를 다루는 워드프로세스는 외산만 있는걸 정녕 원하시나 모르겠네요.
단지 한글 사기 돈 아깝고 후지다(정작 사서쓰지도 않으면서 후진지는 어케 아는지 모르겠지만) MS랑 Adobe에 예속되는건 절대 반대고, 막말로 한컴 휘청하면 국민 세금이라도 투입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미래를 위해서.
당장 지금도 대부분 국가 서식은 docx나 pdf로도 많이 제공하고 한컴도 공공문서용 한글은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웨일도 거기에 한손 보탠다니 좋은 소식이에요.
한컴이 욕먹는 것은 포멧을 완전히 열지 않은 부분 아닌가요.
문서라고 하면 한프로그램에 귀속 되면 안되겠죠.
워드는 한글에서 열리잖아요.
한글 문서 - 아래아한글
와 ! 복사 안되나요 ?
개 악질이네 .
하지만 MS의 세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서 한글은 계속 있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와꾸좋아한다->HWP
대충 글씨만 치고 알아서 문서작성->DOC
기업용은 MS오피스보다 한글오피스가 약간 더 비싸더군요.
개인은 뭐.... 엑셀이면 다 되서 워드고 한글이고 필요가...
오피스도 오피스 없으면 리더 깔아서 잘만 출력하는데
아래아한글은 리더 깔면 되는데 불많이 많더군요.
물론 리더 용량, 라이센스 문제가 있는데, 이걸 해결해달라고 해야죠.
한글문서 작성 많이해보신분들이 왜 자꾸 아래아한글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 상황에 맞기 때문이죠.
게다가 옛 한글이나 세로입력등도요.
표로 작성한다고 내용 파악이나 전달이 잘 되는 것도 아닌데요....
레거시코드에 이거저거 붙여오다보니 답없어진거죠. 지금 유지보수 사정만 봐도 유실된 코드가 있어도 이상하지 않을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한/글을 워드보다 좋아하는 사람은 많아도 docx보다 hwp를 선호하는 사람은 없을텐데 공개 해서 손해볼게 없지 싶네요. 리더용으로 풀 라이선스 구매하는 수요가 없어지는게 두려우려나요?
웨일 쓰고 있는데 너무 좋은 소식이네요.
저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수십메가짜리 졸업논문 DOCX파일 수차례 날려보시면 압니다 ㅋㅋ...ㅠㅠㅠㅠㅠ
회사다니고 부터는 엑셀 파워포인트만 써서
하긴 공문서들은 서식 딱딱 맞춘 문서들을 만드니 한글이 편하긴 하겟네요!
이젠 기능까지 부정 당하는 수준인데
한컴도 이 부분에 대해서 이미지 개선을 좀
해줬음 싶네요.
기본적으로 기안 쪽은 ODT 편집기로 작성해서 업로드할 수 있고,
기존 공문들도 PDF로 다 변환해서 보구요.
요새는 ODT로만 기안을 해야해서 조금 불편한게 있지만, HWP에 종속되지 않고 PDF로 볼 수 있으니 좋은면도 있을 듯 합니다.
한글 기능이 많고 단축키 활용이 편한 것은 사실이나 갈라파고스라서 반드시 구입해야 하는 것은 너무 불편해요...
적어도 국제 인증 포맷으로 호환은 되었으면 좋겠어요.
국민들이 문서 읽고 수정하는 정도의 적당한 편집은 무료 프로그램으로 가능해요.
hwp 포맷이 '한컴 오피스'에서만 읽고 수정할 수 있는 포맷이 아니더라구요.
공공서식용 한글은 무료로 풀었습니다. 편집/출력/저장 모두 가능한 버전입니다.
작년에 문재인 정부가 한컴이랑 협력해서 만든 게 있었군요.
드디어 이 문제가 상식적으로 처리되었네요. 역시 문재인 정부입니다. ㅠ
https://www.mois.go.kr/frt/bbs/type013/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72668#none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공공서식 작성 편의 제고를 위해, 한글과컴퓨터사와 협력하여
무료 '공공서식 한글' SW(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 배포하고 있습니다.
에디터블 PDF는 너무 제한적이죠. 표 안에 작성할 내용이 조금만 많아져도 칸 늘이기조차 안 되니까요. 사진 첨부도 안 되고요.
워드 그 망할 들여쓰기는 정말 이해가 안가요 ㅎ
크롬 쓰다가 hwp 볼때만 웨일을
https://campustecnologicoalgeciras.es/wp-content/uploads/2017/07/OoPdfFormExample.pdf
그리고 최근에는 MS워드 대신 리브레오피스로 거의 다 작성합니다.
리브레오피스의 UI가 상당히 후지기는 하지만, 최근에는 버그가 상당히 많이 잡힌 것 같아요. 생각보다 안정성은 좋아졌다고 보입니다. 필요한 기능은 없는 경우도 거의 없습니다. 진짜임...
물론 정부과제 같은건 어쩔 수 없지만...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마크다운 같은 마크업 문법으로 문서 작성하는게 제일 좋더군요. 그림 관련해서 불편한 거 빼고는, 사실 활용도 자체가 차원이 달라요. 다른 포멧으로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사실 odt나 docx도 마크업 문법입니다. xml이쟎아요.
다만 마크업 포멧을 GUI로 편하게 작성해 주도록 도와주는 툴이 리브레오피스,MS워드인 거죠.
한컴의 경우에는... 음... 뭐 이것도 마크업이긴 한데 자료구조가 너무 스파게티가 되어 있어서 리버스 엔지니어링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니... 한컴의 GUI는 매우 훌륭합니다. 많은 분들이 동의하시는 바와 같이 MS워드 같은 것 보다 훨씬 우월합니다. 그런데 hwp 포멧은 답이 안 나오는 쓰레기라고 생각됩니다.
즉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경쟁은 권장할 것이지만... 공공문서의 포멧이 특정 기업에 종속되어 있다는 것, 또 그 포멧이 빅데이터나 시멘틱 기술에 역행하는 구시대적 포멧이라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