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DC는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를 발행합니다.
여기에 7월 30일자로 화이저 코로나19 백신의 청소년 접종 부작용 보고를 정리해서 발표했습니다.
한국도 이제 청소년 접종을 막 시작했을할 것입니다. 이 자료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cdc.gov/mmwr/volumes/70/wr/mm7031e1.htm
우선 이 자료는 VAERS라고 하는 미국 백신 접종 부작용 보고 시스템이 있습니다. 여기에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한 것을 각 개인이나, 의료진이 보고를 하는데, 여기 올라온 것을 분석한 것입니다. 즉, 부작용이 가벼워서 그냥 보고 안하고 지나간 것도 꽤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입원을 했다던지, 사망했다던지 하는 경우는 아마 거의 모두 보고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병원에 가지 못하고 그냥 집에서 사망한 케이스도 있었을 것이고, 이런 데이터는 포함되지 못했을 겁니다. 이런 한계를 염두에 두시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2020/12/14~2021/7/16까지 데이터를 정리했습니다. 이때까지 총 890만명의 12~17세 청소년들이 화이저 백신을 접종하였습니다. 이중에서 12~17세의 긴급사용승인이 이뤄지기 이전인 5/10일 이전의 데이터는 제외하였습니다.
총 9,246건의 부작용 보고가 있었으며,
90.7% (8,383건), 가벼운 부작용
9.3% (849건), 심각한 부작용, 이중 4.3%(397건)가 심근염이었습니다.
중증을 보인 사람의 70.7%(609명)이 남성이었고(빨간 박스), 나이 중간값은 15세였습니다.
사망자가 14명이었는데, 16~17세가 10명으로 71.4%를 차지했습니다. 사망 원인별로 보면,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2명, 자살 2명, 뇌출혈 2명, 심장문제 1명, 마이코박테리움 감염 1명, 현재 조사중 6명 이었습니다.
보고된 특이한 부작용은,
기절한 청소년이 1,228명으로 14.4%를 차지했는데, 이중 901건이 기준을 충족했으며, 548명(60.8%)이 여성이었고, 나이 중간값은 15세였습니다. 이들 중 147명(16.3%)는 이미 이전에 주사 바늘에 대한 공포감 경력이 있었던 사람들이었고, 145명(16.1%)가 응급실로 이송되었다고 합니다.
여학생들을 중심으로 주사 바늘에 대한 공포감으로 기절하는 경우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성인 접종과 많이 다른 점이었습니다. 이점은 한국에서도 고려할 만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대비도 어느 정도는 하고 있어야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한편 중증 부작용자(863명)에서는 흉통이 많았으며, 이에 따른 트로포닌 수치 상승(심장 근육세포 파괴시 증가), 심근염, c-reactive protein(염증반응이 있을 때 증가)상승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즉, 중증 부작용의 상당수가 심근염 관련 증상이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체 숫자를 놓고 본다면 397건으로, 44.6명/100만도스 수준이었습니다. 자연 발생과 비교해서 그렇게 크게 상승한 수치는 아닌 걸로 보여집니다.
기타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주사부위 통증(약60%), 피로감((40~50%), 두통(40~50%), 근육통(30~40%), 발열(약30%), 오한(약25%), 구역감(15~20%) 등이 있었습니다.
일부 mRNA백신 접종 후 생리에 변화가 온다는 주장이 최근에 나오고 있는데, 이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나 데이터는 없었습니다. 이 문제로 미국의 경우 여학생을 둔 부모들이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일이 많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진짜 이런 문제가 있었다면 이 보고서에서 검토가 이뤄졌을텐데, 아무런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실제 이런 부작용 보고는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련 정보가 나오면 다시 리뷰해 드리겠습니다.
요약)
1. 미국에서 12~17세 890만명이 백신을 접종하였고, 보고된 부작용 건수는 9,246건(0.1%) 이었다.
2. 이들 보고된 부작용의 90.7% (8,383건)이 가벼운 부작용이었고, 9.3% (849건)가 심각한 부작용이었다. 심각한 부작용의 46.8% (397건)가 심근염이었고, 발생 빈도는 44.6명/100만도스 수준이었다. (즉, 심근염 발생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고, 청소년들은 백신 접종 후 적어도 5일, 길게는 2주 정도 심장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자제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1. 성인 접종의 경우, 접종 초기 의료진들 접종에서, 총 13,794,904회 접종 중, 총 6,994건의 부작용 보고가 VAERS에 있었습니다(약 0.05%). 이중 90.8%(6,354건)이 가벼운 것이었고, 9.2%(640건)이 심각한 부작용이었습니다.
3. 여학생들을 중심으로 주사 바늘에 대한 공포감을 가진 아이들이 기절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비도 어느 정도는 하고 있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4. 기타 백신에 대한 부작용은 성인 접종과 유사한 주사부위통증, 피로감, 두통, 근육통, 발열 등이었다.
5. 일부에서 주장하는 생리불순, 생리양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는 없었다.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여집니다)
양질의 정보 감사드립니다.
심각한 부작용 비율은 상당히 낮아보이는데, 성인에 비교해도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까요?
항상 고맙습니다.
언제나 잘 정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여기 팁 게시판에도 여러 글로 리뷰해드렸던 데이터들을 보시면, 델타 변이에 대해 백신의 효과가 조금 감소하는 경향은 있으나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 여러 연구 결과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따라서 과학적인 접근법은, "백신이 델타 변이에 효과가 없다"가 아니라, "그 마을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라고 접근해야 하는 것입니다.
단박에 이해했네요.
관련해서 좋은 전문가 인터뷰가 있어서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https://abc7news.com/covid-vaccine-and-menstrual-cycle-side-effects-women-coronavirus-period/10551643/
저도 이 임상 시험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데 얼른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근데 임상 나이 때가 어떻게 되나요?
관련한 전문적 지식은 없지만 저의 상식선에서 설명을 풀어 주시니 이해도 빠르고 납득도 되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리고... 수고스럽겠지만 다음에도 부탁 드립니다.
일반인들은 접하기도 어렵고 알아보기도 힘든 정보들인데
알기 쉽게 풀어서 전해주시니까.. 참 감사하네요.
감사합니다.
이부분이 공감됩니다. 제 아내도 주사 바늘에 대한 공포가 있어서 숨차는 경우가 발생했었어요 신종플루 백신때도 그랬으니 코로나 백신 부작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5908327CLIEN
큰 도움이 돠엇습니다
전체 청소년 접종자 중 경증 부작용 비율은 0.0942%, 중증 부작용 비율은 0.0097%... 이렇게 계산하는 게 맞을까요?
중증으로 따지면 1만명중에 한명 꼴이네요. 청소년들에 대한 백신 접종도 적극적으로 검토되면 좋겠습니다
교차접종에 관한 자료 볼만한 곳이 있을까요? AZ + 화이자 (또는 모더나)는 많이 있는데
화이자 + 모더나 또는 모더나 + 화이자의 교차접종에 관한 자료가 궁금합니다.
본의아니게 이런 경우가 생길수 있을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
대학병원 교수님을 지인으로 알고 있어서 들었는데,
대충봐도 확실히 알수 있는 건
의료진이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백신에 많이 아파한다. 였습니다.
화이자 1차 접종 5일차인데 간헐적으로 답답한 흉통이 있어요..
근처 내과에 가니 청진기로 심장박동 들어보구 정상이라고 하네요.. 핸드폰 심박계에서도 확인 가능한 정보일텐데
숨이 못쉴 정도의 답답함과 가슴 쥐어짜짐이 있으면 응급실에 가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데 .. 걱정입니다.
청소년들도 큰 문제는 없는것으로 봐도 되겠네요
Immunocompromised people
The currently FDA-authorized COVID-19 vaccines are not live vaccines and therefore can be safely administered to immunocompromised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HIV infection or other immunocompromising conditions or people who take immunosuppressive medications or therapies. Although COVID-19 vaccine efficacy is unknown in these groups, immunocompromised people might be at increased risk for severe COVID-19, and the potential benefit of COVID-19 vaccination outweighs the uncertainties. However, data suggest immune response to COVID-19 vaccination might be reduced in some immunocompromised peopl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eople receiving chemotherapy for cancer, people with hematologic cancers such as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people receiving stem cells or organ transplants, people receiving hemodialysis, and people using certain medications that might blunt the immune response to vaccination (e.g., mycophenolate, rituximab, azathioprine, anti-CD20 monoclonal antibodies, Bruton tyrosine kinase inhibitors).
People who are immunocompromised should be counseled about the potential for reduced immune responses to COVID-19 vaccines and the need to continue to follow current prevention measures (including wearing a mask, staying 6 feet apart from others they don’t live with, and avoiding crowds and poorly ventilated indoor spaces)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COVID-19 until advised otherwise by their healthcare provider. Close contacts of immunocompromised people should also be encouraged to be vaccinated against COVID-19 to help protect these people.
The safety, efficacy and benefit of additional doses of COVID-19 vaccines in immunocompromised persons continues to be evaluated. Clinical guidance for this population will be updated pending any amendments to the Emergency Use Authorizations. The utility of serologic testing to assess immune response to vaccination is unknown. Serologic testing outside of the context of research studies is not recommended at this time.
https://www.cdc.gov/vaccines/covid-19/clinical-considerations/covid-19-vaccines-us.html
오히려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아이가 백신을 빨리 맞았으면 좋겠는데 한국은 이식 환자 접종 우선 보다 청소년 접종 불가가 우선인것 같습니다. 성인 이식 환자들은 우선적으로 맞았다던데 참 답답하네요 ㅠㅠ
에제 대학병원 진찰했는데 특이점 발견 못했고요. 목요일 mri 찍어볼예정입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임산부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없는거죠??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6100319CLIEN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6332838CLIEN
이 정도 데이터면 안전성 평가는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