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매카니즘에 문외한이라 궁금했는데요.
락업 클러치라는게 연비향상에 큰 역할을 한다는데요.
악셀에서 발을 떼도 속도가 잘 안줄때
악셀에서 발 떼는 순간 속도가 빠질때
전자가 락업클러치 상황인것 같은데
이렇게 좋은 기술이라면 왜 모든차가 적용하지 않는지?
락업 클러치의 단점은 무엇인지(반응성인가요?)
궁금합니다. 설명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락업 클러치라는게 연비향상에 큰 역할을 한다는데요.
악셀에서 발을 떼도 속도가 잘 안줄때
악셀에서 발 떼는 순간 속도가 빠질때
전자가 락업클러치 상황인것 같은데
이렇게 좋은 기술이라면 왜 모든차가 적용하지 않는지?
락업 클러치의 단점은 무엇인지(반응성인가요?)
궁금합니다. 설명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최근에는 낮은 단수에서도 최대한 자주 걸리도록 만들어서 연비를 높인다고 들었는데요, 그러려면 결국변속기 값이 올라갈 듯 합니다.(자세한 설명은 다음 분께서..)
https://mirror.enha.kr/wiki/%EB%9D%BD%EC%97%85%20%ED%81%B4%EB%9F%AC%EC%B9%98
엔진과 변속기가 기계적으로 완전히 물리는것을 락업클러치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최고단 항속 조건에서만 락업클러치가 걸렸는데 최근에는 여러단에서도 걸라는걸로 알고있네요.
락업 클러치의 단점이라기보다는,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구조로 인한 단점(동력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락업 클러치가 이용되는 것이지요.
자동변속기의 구조
유압식 자동변속기는 엔진과 바퀴축이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습니다. 극단적으로 설명하자면, 엔진에 선풍기 날개가 달려있고, 반대쪽에 바퀴축과 바람개비가 달려있는 모습입니다. 엔진이 선풍기 날개를 돌리면, 거기서 나오는 바람(유압)으로 바람개비가 돌아가고 바람개비와 연결된 바퀴가 돌아가는거지요.
이 구조의 장단점.
장점은 선풍기 날개와 바람개비의 회전속도가 같지 않더라도 이상없이 부드럽게 작동한다는 것 입니다. 이 때문에 클러치를 밟지 않아도 쑥쑥 변속되는 자동변속이 가능하며, 수동에 비해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해집니다. 단점으로는 선풍기 날개와 바람개비 사이에서 손실이 발생하여 엔진 힘을 100% 바퀴에 전달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이는 출력과 연비를 떨어트리게 되지요.
락업클러치는?
동력손실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풍기 날개와 바람개비의 회전속도가 일치할 때 둘 사이에 막대기를 쑤셔넣어 직접 연결함으로서 동력손실을 최소화 하는 장치입니다. 연비나 성능으로 보면 락업이 자주, 오래 걸려있는게 좋습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어지간히 옛날 차에도 다 달려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구조나 제어 등의 문제로 인해 자주-오래 걸리도록 만들지는 못했습니다. 3~4단에서만 살짝 물리는 정도였죠. 물론, 요즘의 미션은 락업을 가능한 자주, 오래 걸려있게 만들고 있습니다.
(오일온도.엔진부하량...등)
기존 3단자동변속기나 4단자동변속기
차량들도 락업클러치가 다있었고
4단변속기 차량 운행시 3단락업은 거의 안걸리고
4단락업만 거의 걸려 연비주행에 나뻤고
제가지금타는 6단자동은 3단부터 락업이 걸리거니와
충분히 가속되지않았음에도 락업이걸려
연비주행에는 이득이겠으나
저속저알피엠부터 미리 락업이잡히니
차가 답답하게 나가는느낌이나고
고속이아닌 중속 락업에선 추월시
급가속하면 락업떼고 기어내리는 시간까지 꽤길게 느껴집니다
유튜브에 보면 오토미션 작동 원리를 설명한 영상이 꽤나 있습니다 토크컨버터의 작동 원리 영상인데 중간에 락업클러치에 대해서도 나오니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ㅎㅎ
#CLiOS
그에 따라 엔진브레이크가 자꾸 걸린다, 저속에서 꿀렁거린다 등이 불만이 생기기도 합니다.
일정 조건에 만족하면 클러치를 미트 시켜서 유체 흐름에 의한 간접 동력 전달 방식이 아니라
직결 상태로 엔진의 출력을 기어로 전달합니다.
락업 클러치는 주로 고단 기어에 적용하고, 악셀러레이터를 일정한 깊이로 밟은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TCM 로직이 구성되는데, 저단 기어와 최대한 적극적으로 락업 클러치가
물리도록 하지 않는 이유는 몇 가지 있습니다.
저단 기어는 주로 시내 구간이고, 가감속이 잦기 때문에 락업 클러치를 적극적으로
시도하면 오히려 연비에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락업을 하더라도 몇 초 안 되서
제동에 의해 락업을 해제 하기 때문이고, 락업 체결까지 rpm 이 상승했다가 락업 후 rpm 이 떨어지는
불쾌한 승차감의 반복이 생기기 때문에 연비 외에도 승차자가 싫어하는 주행이 되니까요.
그래서 TCM 로직에서 락업에 대해서 해봐야 소용없는 저단 기어와 악셀 개도량 불규칙 등
여러 조건은 배제하고 이상적인 경우에 하도록 구성합니다.